갈매나무과 상동나무속은 동아시아와 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아프리카와 미주에도 일부 분포하는 전세계 38종으로 구성된 속인데 우리나라에는 제주도와 전라남도 해안가에 일부에 상동나무 한 종만 자생한다. 이 속은 프랑스 식물학자인 Adolphe-Théodore Brongniart(1801~1876)이 1826년 Sageretia라는 속명을 붙였는데 이는 또 다른 프랑스 식물학자인 Augustin Sageret(1763~1851)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상동나무는 당초 린네의 직계 제자로서 스웨덴 탐험가이자 자연학자인 Pehr Osbeck(1723~1805)이 갈매나무속으로 분류하여 1757년 Rhamnus thea Osbeck라고 명명하였던 것을 200여 년 후인 1968년 미국 식물학자인 Marshall Conring Johnston(1930~ )이 현재의 상동나무속으로 변경하여 재명명한 학명 Sageretia thea (Osbeck) M.C.Johnst.가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 학명으로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종소명 thea는 차(tea)의 대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프랑스 학자 Brongniart가 속을 창설하면서 1826년에 명명한 학명 Sageretia theezans Brongn.를 널리 사용하였기에 아직도 이 학명으로 표기하는 도감들이 많다. 하지만 현재의 학명이 비록 훨씬 나중인 1968년에 발표되었지만 1757년으로 소급 적용되기에 후순위로 밀려난 것이다. 서양에서는 이를 영어로 mock buckthorn이라고 하는데 이는 갈매나무를 닮았기 때문이며 또한 Chinese sweet plum이라고도 한다. 아마 이 수종을 서양에 최초로 소개한 사람인 린네의 사도 Pehr Osbeck이 중국 광동지방에 4개월간 머물면서 식물을 채집한 경력이 있는데 그 당시에 발견하였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보인다.
상동나무가 16종이나 자생하는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꽃이 매화를 닮았고 그 꽃잎이 새부리와 비슷하며 반덩굴성이라고 작매등(雀梅藤)이라고 부르며 별명으로 산색자(酸色子) 또는 대절자(对节刺) 자동록(刺冻绿)이라고 부르는데 맛이 시고 가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 자두라는 서양 영어 이름과는 많이 다르다. 이 수종을 분재용으로 많이 활용하는 일본에서는 이를 쿠로이게(クロイゲ)라고 하면서 그 어원 미상이며 따라서 한자어도 모른다고 하는데 류큐지방에서 자생하는 이 수종의 이름은 아무래도 검은(クロイ) 열매와 가시(トゲ)가 있다는 점에서 합해진 이름이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다. 내한성이 겨우 영하 4도에 불과한 이 수종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제주도에서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제주도 지방에서 불리던 이름 상동낭에서 온 이름인데 그 유래는 겨울에도 잎이 생생하다고 생동(生冬)나무에서 온 이름으로 대부분 풀이하고 있다.
상동나무는 열매를 먹기도 하고 잎을 차로 마시고 가시가 있어 울타리용으로 심기도 하지만 예로부터 중국에서 잎은 창양종독(疮疡肿毒) 즉 각종 부스럼이나 종기 치료용으로 쓰고 뿌리는 해수(咳嗽) 즉 기침과 항기(降气) 즉 화를 내리고 화담(化痰) 즉 가래를 삭이는 용도의 약으로 썼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상동나무 잎 추출물이 대장암이나 폐암 세포를 죽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 입증되어 약용수로 관심이 많은 수종이다.
등록명 : 상동나무
학 명 : Sageretia thea (Osbeck) M.C.Johnst.
분 류 : 갈매나무과 상동나무속 반상록 덩굴성 관목
원산지 : 한중일
중국명 : 작매등(雀梅藤)산색자(酸色子) 대절자(对节刺) 자동록(刺冻绿)
일본명 : 쿠로이게(クロイゲ)
영어명 : mock buckthorn, sweet-plum or Chinese sweet plum
줄 기 : 소지 가시 호생 근대생 갈색 단유모
엽 편 : 지질, 대생 혹 호생, 타원형 구원형 난상타원형 난형 근원형
잎크기 : 1~4.5 x 0.7~2.5cm
잎모양 : 정단첨예 둔원형 기부원형 근심형 변연세거치
잎색상 : 상면 녹색 무모 하면 천록색 무모 연맥유모
잎면맥 : 3~4(5)조 상면 부명현 하면 명현 돌기
잎자루 : 2~7mm 단유모
꽃특징 : 무경 황색 방향 통상 2~수개 족생 정생 액생
꽃차례 : 수상화서 원추상 수상화서
화서축 : 2~5cm 융모 단유모밀생
꽃받침 : 3각형 3각상란형 1mm
꽃부리 : 숫갈형 정단 2천렬 내권 단우악편
암술대 : 극단 주도 3천렬
자 방 : 3실 매실 1배주
열 매 : 핵과 근원구형 지름 5mm 성숙시 흑색 자흑색 1~3분핵 신맛
종 자 : 편평 2단 미요
개화기 : 11월
결실기 : 익년 3~5월
내한성 : 영하 4도
용 도 : 차대용 약용 열매 식용 분재용 울타리용
'기타 과 식물 > 갈매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4 망개나무 - 청미래덩굴과는 전혀 다른 교목 (2) | 2025.04.10 |
---|---|
2113 줄청사조 – 줄무늬 잎맥이 뚜렷한 남방 수종 (0) | 2025.04.09 |
2112 먹넌출과 청사조(靑蛇條) (10) | 2025.04.06 |
2110 오리갈매나무 – 산황나무속 모식종 (0) | 2025.03.31 |
2109 산황나무 - 갈매나무속이 아닌 산황나무속 (2)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