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관과(文冠果) - 소르비폴리움크산토세라스
이번에는 가볍게 비교적 덜 알려진 수종 문관나무에 대하여 알아보자. 중국 고유종으로서 강수량이 많지 않은 건조한 땅에서도 잘 자라며 내한성도 높아 매우 생명력이 강하여 환경개선용 수종으로 중국정부에서 특히 서북지역에 식재를 장려하는 수종이다. 게다가 기름 성분을 많이 함유한 밤같은 열매을 맺어 고품질 식용유 또는 바이오 에너지로도 사용하며 잎과 꽃 열매 모두 약재로 쓰이며 꽃도 아름답고 향기가 있어 밀원식물 또는 관상수로서도 손색이 없는 나무이다.
무환자나무과 크산토세라스속 유일한 수종이며 키가 5m정도 최대 8m까지 자라는 소교목이다. Xanthoceras는 노란 뿔이란 뜻으로 이 나무의 꽃잎 사이에 특이하게 노란색 뿔같은 모양의 분비기관이 있기 때문이다. 원래 중국 북방의 척박한 지역이 원산지라서 우리나라 전역에서 노지 월동에는 전혀 문제 없으며 어디서든 잘 자란다. 다만 아름다운 꽃을 많이 보려면 양지쪽에 심는 것이 좋다.
식용과 약용가치가 있으므로 북한지역에서는 진즉부터 산악지역에 많이 심었다고 하며 열매가 밤같은데 기름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기름밤나무라고도 불리고 있다는데 이걸 2011년 등록하면서 그 등록 정명을 소르비폴리움크산토세라스라고 하는 만행(?)을 우리나라 산림청에서 저지르고 있어 오늘 또 분개하지 않을 수 없다. 원산지 중국의 이름 문관나무도 있고 문관과도 좋고 아니면 우리말로 기름밤나무도 좋은데 왜 하필 학명의 로마자 한글표기 자동명명시스템(?)으로 등록하였는지 정말 이해 할 수 없다. 이러고도 당신들이 내세운 슬로건 '대한민국 식물 이름의 통일화 및 표준화가' 이루어 지겠는가?
그런 만행을 저지르고도 일말의 양심도 없는지 문관과나 기름밤나무는 이명으로 조차도 표기하지 않고 있다. 우리 국민 중 이 나무를 아는 사람들 99%는 문관나무나 기름밤나무로 알고 있을 것인데 자기들만 아는 외우기 어려운 이름으로 등록하고 이명도 없이 그냥 두면 누가 등록된 줄이나 알겠는가? 이것이 식물이름의 통일화인지 묻고 싶다. 더구나 기름밤나무는 국어사전에도 등록된 보편성이 있는 이름이거늘 어디 엉뚱한 이름으로 등록하고서 숨기고 있냐 말이다. 이 사람들 이러다가 나중에는 학명이 Diospyros kaki Thunb인 우리나라 감나무 보고도 카키디오스파이로스라고 할 사람들이다. 헐..
최근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외래어 식물명 표기를 기존의 종명을 앞세우고 속명을 뒤로하던 방식을 변경하여 속명을 앞에 두고 종명을 뒤로 돌리는 수정 작업을 한 것 같다. 따라서 이 문관과도 기존 소르비폴리움크산토세라스에서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으로 변경등록되어 있다. 학명과 일치시킨 것은 진일보한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우리이름 기름밤나무나 문관나무로 변경하지 않은 것은 아쉽다. 2017.9.6 수정
등록명 : 소르비폴리움크산토세라스
개정명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일반명 : 문관과, 기름밤나무, 문관나무
학 명 : Xanthoceras sorbifolium Bunge
분 류 : 무환자나무과 크산토세라스속 소교목
원산지 : 중국 고유종
중국명 : 문관과(文冠果)
수 고 : 2 ~ 5m
개화기 : 5월, 양성화와 웅화(수꽃)이 동시에 피는 잡성주
결실기 : 가을
종소명 sorbifolium는 마가목속(sorbus) 나무의 잎을 닮았다는 데서 왔다.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어린 묘목에서도 곧바로 꽃이 핀다.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열매는 3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속에 6~18개의 종자가 맺힌다.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지름 약 1.8cm
문관과(文冠果)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무환자나무과 > 무환자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8 리치(Litchi chinensis) = 荔枝(여지) - 남방 4대 과일 중 하나 (0) | 2018.03.25 |
---|---|
457 엘레간스모감주나무와 대만모감주나무 (2) | 2018.03.22 |
456 중국모감주나무(Koelreuteria bipinnata)와 황산모감주나무 (2) | 2018.03.21 |
455 모감주나무 - 여름에 화려하게 꽃피는 아름다운 정원수 (0) | 2018.03.20 |
454 무환자나무(無患子--) 재난을 물리치고 평안을 기원하며 심는 나무 (0) | 2018.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