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모감주나무
열매 색상이 자홍색이라서 아름답다.
무환자나무과 모감주나무속에는 전세계에 모두 3종이 분포한다. 우리 자생종 모감주나무외에 중국모감주와 엘레간스모감주나무가 그들이다. 중국모감주나무는 황산모감주나무라는 변종이 있고 엘레간스모감주나무는 대만모감주나무라는 아종이 있다. 따라서 모두 5종이 되는데 이들 모두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있다. 이들을 신학명으로 표기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아종관계가 분명해 진다. 그리고 최근에 국표식에서 외래종들의 등록 국명을 일제 정비를 하고 있어 과거 외래어로 매우 무질서하게 등록되었던 이름을 하나하나 수정하여 나름대로 정리하고 있는 것 같아 늦었지만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모감주나무의 현황
학 명 |
신 국명 |
구 국명 |
원산지 |
중국명 |
Koelreuteria paniculata | 모감주나무 | 모감주나무 | 한국, 중국 |
栾树(난수) |
Koelreuteria bipinnata | 중국모감주나무 | 비피나타모감주 | 중국 |
复羽叶栾树(복우엽란수) |
Koelreuteria bipinnata var. integrifoliola | 황산모감주나무 | 인테그리폴리올라모감주 | 중국 |
全缘叶栾树(전연엽란수) |
Koelreuteria elegans subsp. elegans | 엘레간스모감주나무 | 엘레간스모감주 | 피지 |
|
Koelreuteria elegans subsp. formosana | 대만모감주나무 | 포르모사나모감주 | 대만 |
台湾栾树(대만란수) |
모감주나무는 앞 포스팅에서 다뤘고 이번에는 중국모감주나무와 그 변종인 황산모감주나무를 알아보자. 과거 비피나타모감주라고 등록되었던 중국모감주나무는 중국 운남성 몽자시 해발 1800m 이상 고산지대에서 발견한 표본에 의하여 프랑스 식물학자 Adrien René Franchet(1834~1900)에 의하여 1886년 학명 Koelreuteria bipinnata로 발표된다. 여기서 종소명 bipinnata는 2회우상복엽을 말한다. 그래서 중국에서도 복우엽란수(复羽叶栾树)라고 한다. 서구에서 영어로 Chinese flame tree 또는 Chinese golden rain tree로 부르기 때문에 우리 이름도 중국모감주나무라고 한 것 같지만 사실 거의 모든 모감주나무가 중국원산인데 이것만 중국모감주나무라고 부르는 것은 어폐가 있다. 일본에서는 이 나무가 모감주나무에 비하여 전체 높이나 잎크기 그리고 꽃차례 등 전반적으로 크기 때문에 큰모감주나무라는 뜻으로 オオモクゲンジ(大木欒子)로 부른다.
원산지 중국에서는 소엽의 거치가 전혀 없거나 끝부분 한쪽에만 거치가 있는 종을 중국모감주나무의 변종으로 전연엽란수(全缘叶栾树)라고 부르며 학명을 Koelreuteria bipinnata var. integrifolia로 표기한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이를 별도 변종으로 등록하고 있으며 이 변종의 중국 별명이 황산란수(黄山栾树)인 점을 착안하여 황산모감주나무라는 이름으로 등록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제적으로는 이를 중국모감주나무에 통합 그 유사종으로 보고 있다.
등록명 : 중국모감주나무
과거명 : 비피나타모감주
학 명 : Koelreuteria bipinnata Franch.
분 류 : 무환자나무과 모감주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중국 호북성 이남
중국명 : 복우엽란수(复羽叶栾树)
영어명 : Chinese flame tree
일본명 : オオモクゲンジ(大木欒子)
수 고 : 20m
수 피 : 원형지 타원형 피공
가 지 : 소혹점
잎모양 : 평전, 2회우상복엽, 잎축과엽병-향축면 상시 종행추곡적단유모
대 엽 : 45~70cm
소엽편 : 9~17편, 호생, 흔소대생, 지질혹근혁질, 사란형, 3.5~7 x 2~3.5cm, 정단단첨지단점첨, 기부활설형혹원형,약편사, 변연유내곡적소거치, 양면무모혹상면중륵상피미유모, 하면밀피단유모, 유시잡이추곡적모
소엽병 : 3mm, 근무병
화 서 : 원추화서대형, 장35~70cm, 분지광전, 여화경동피단유모
화 악 : 5렬달중부, 열편활란상삼각형혹장원형, 유단이경적연모급유소상선체, 변연증치식상
화 판 : 4, 장원상피침형, 판편장6~9m x 1.5~3mm, 정단둔혹단첨
판 조 : 장1.5~3mm, 피장유모, 인편심2렬
수 술 : 8매, 장4~7mm, 화사피백색, 전개적장유모, 하반부모교단, 화약유단소모
자 방 : 3릉상장원형, 피유모, 삭과타원형혹근구형, 구3릉, 담자홍색, 노숙시갈색, 4~7 x 3.5~5cm, 정단둔혹원, 유소철첨, 과판타원형지근원형, 외면구망상맥문, 내면유광택
종 자 : 근구형, 직경 5~6mm
화 기 : 7~9월
과 기 : 8~10월
용 도 : 관상용 정원수, 가구용 목재, 종자 착공업용유, 꽃 - 염료, 열매 - 염주
약 용 : 근 - 소종, 지통, 활혈, 구충, 풍열해수, 화 - 청간명목, 청열지해
특 징 : 속성수
내한성 : 영하 17도
중국모감주나무
중국모감주나무
중국모감주나무
중국모감주나무
2회 우상복엽이다.
중국모감주나무
중국모감주나무
최대 20m까지 자라서 모감주나무보다 큰 나무이다.
중국모감주나무
중국모감주나무 자웅화
중국모감주나무 자웅화
중국모감주나무 좌 - 웅화, 우 - 자화
중국모감주나무
중국모감주나무
열매가 아름다워 관상가치는 높지만 내한성이 약하여 우리나라 중부서는 노지월동이 어렵다는 것이 아쉽다.
등록명 : 황산모감주나무
과거명 : 인테그리폴리올라모감주
학 명 : Koelreuteria bipinnata var. integrifolia (Merr.) T.C.Chen
분 류 : 무환자나무과 모감주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중국 광동성 안휘성 등
중국명 : 전연엽란수(全缘叶栾树), 별명 - 황산란수(黄山栾树)
일본명 : マルバモクゲンジ(丸葉木欒子)
변종명 integrifolia는 거치가 없는 잎이라는 뜻이다.
황산모감주나무
잎에 거치가 없다.
황산모감주나무
황산모감주나무
황산모감주나무
황산모감주나무
'무환자나무과 > 무환자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8 리치(Litchi chinensis) = 荔枝(여지) - 남방 4대 과일 중 하나 (0) | 2018.03.25 |
---|---|
457 엘레간스모감주나무와 대만모감주나무 (2) | 2018.03.22 |
455 모감주나무 - 여름에 화려하게 꽃피는 아름다운 정원수 (0) | 2018.03.20 |
454 무환자나무(無患子--) 재난을 물리치고 평안을 기원하며 심는 나무 (0) | 2018.03.18 |
124 문관과(문관나무) - 크산토케라스 소르비폴리움 (0) | 2016.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