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모감주나무 열매
꽃도 아름답고 열매도 꽃만큼이나 아름다워 우아하다는 뜻인 elegans라는 종소명이 붙었다.
대만모감주나무
대만모감주나무
초가을에 피는 노란 꽃이 마치 황금비가 내리는 것 같다고 서양에서 Taiwanese golden rain tree라고 부른다.
오세아니아 섬나라 피지의 바누아 레부섬에서 1865년 처음 발견되어 독일학자 Berthold Carl Seemann에 의하여 멀구슬나무속인 Melia elegans로 명명되었다가 1952년 미국 식물학자 Albert C. Smith에 의하여 모감주나무속으로 재분류되어 학명 Koelreuteria elegans (Seem.) A.C.Sm.로 불리는 엘레간스모감주나무는 현재 그 존재가 극히 미미한지 아니면 멸종되었는지 그 어떤 정보도 구하기 어렵다. 원종 보다는 당초에는 독립된 종으로 발표되었다가 나중인 1976년 미국 식물학자 Fred G. Meyer에 의하여 엘레간스모감주나무의 아종으로 편입된 대만모감주나무가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많이 보급된 것 같다. 이 종은 대만 특산식물이므로 Koelreuteria formosana라는 학명으로 오랫동안 불렸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이 학명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여기서 formosana는 대만을 지칭하는 옛 이름이다. 최신 APG 체계에서는 대만모감주나무의 학명을 Koelreuteria elegans subsp. formosana로 표기한다.
원종인 Koelreuteria elegans subsp. elegans는 엄연히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종인데도 불구하고 세계 어디에서도 그 존재감이 없고 거의 대부분 Koelreuteria elegans가 곧 Koelreuteria elegans subsp. formosana이라고 설명하고 있어 원종의 존재를 무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엘레간스모감주나무와 대만모감주나무가 각기 등록되어 있는데 그 엘레간스모감주나무가 과연 원종인지 아니면 대만 원산인 아종인지 알 수가 없다. 특히 국표식에서 엘레간스모감주나무의 영어명을 Chinese rain tree라고 기재하고 있어 더더욱 대만 원산인 아종이 아닌지 의심스럽다. 여하튼 원종인 엘레간스모감주나무의 특징은 당초 Seemann이 멀구슬나무속으로 간략하게 발표한 것 뿐이라서 아종인 대만모감주나무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도 알 수가 없다. 꽃과 열매가 모두 아름다워 정원수로 매우 인기가 높지만 피지 원산인 원종이던 대만 원산인 아종이던 모두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므로 내한성이 매우 약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나 남해안 일부지방 외에는 노지월동이 어려운 것이 흠이다.
당초 Melia elegans로 발표할 당시의 피지 원산 엘레간스모감주나무를 묘사한 글
등록명 : 대만모감주나무
과거명 : 포르모사나모감주
신학명 : Koelreuteria elegans subsp. formosana (Hayata) F.G. Meyer
구학명 : Koelreuteria formosana Hayata
분 류 : 무환자나무과 모감주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대만
중국명 : 台湾栾树(대만란수)
영어명 : Taiwanese goldenrain tree
일본명 : タイワンモクゲンジ(台湾木欒子)
수 고 : 15~17m 이상
가 지 : 소지구릉, 피단유모
잎특징 : 2회우상복엽 연엽병 장50cm, 엽병 2~2.5cm
소 엽 : 5~13편, 근혁질, 장원상란형, 6~8 x 2.5~3cm, 형상과 크기 변이심함
잎모양 : 정단장점첨지미첨, 기부극편사, 변연 초내만적거치 혹 중부이하 거치불명현 근전연
잎면모 : 양면무모혹하면맥액 염모
화 서 : 원추화서 정생, 대, 장달25cm, 분지와화경 단유모, 화 황색, 지름 5mm
악 편 : 5, 광란형혹 난상삼각형, 연모
화 판 : 5편, 피침형혹 장원형, 내측기부유2렬, 정단 우상소치 인편
판 조 : 피모
수 술 : 7~8매, 화사피모
자 방 : 피모
삭 과 : 팽창, 타원형, 구3릉, 장약4cm, 과판근원형, 외면망상맥문, 내면광택, 분홍색 성숙시 갈변
종 자 : 구형, 흑색, 지름 5mm
화 기 : 9~10월
목 재 : 황백색, 질취이개렬, 판재와 가구용재
내한성 : 영하 6도
대만모감주나무
대만모감주나무
2회 기수우상복엽을 보이며 잎에 거치가 있지만 변이가 심한 편이다.
대만모감주나무
잎의 거치가 거의 없는 편이다.
대만모감주나무
대만모감주나무
가을 단풍의 모습
대만모감주나무
대만모감주나무 자화화 웅화
꽃잎이 5장이라서 4장인 모감주나무나 중국모감주나무와 구분이 된다.
대만모감주나무
대만모감주나무 자화
대만모감주나무
꽃과 열매가 함께 보이는 것이 특징
대만모감주나무
대만모감주나무
대만모감주나무
대만모감주나무
대만모감주나무
대만모감주나무
대만모감주나무
'무환자나무과 > 무환자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9 용안(龍眼) (0) | 2018.03.28 |
---|---|
458 리치(Litchi chinensis) = 荔枝(여지) - 남방 4대 과일 중 하나 (0) | 2018.03.25 |
456 중국모감주나무(Koelreuteria bipinnata)와 황산모감주나무 (2) | 2018.03.21 |
455 모감주나무 - 여름에 화려하게 꽃피는 아름다운 정원수 (0) | 2018.03.20 |
454 무환자나무(無患子--) 재난을 물리치고 평안을 기원하며 심는 나무 (0) | 2018.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