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153 참죽나무, 삼색참중나무 그리고 가죽나무와 구분법

낙은재 2016. 9. 7. 08:23

참죽나무


참죽나무

양평 용천리 어느 민가에 있는 참죽나무의 멋진 개화기 모습


이번에는 가죽나무에 이어 참죽나무를 탐구한다. 우리 뿐만아니라 다른 나라 사람들도 가죽나무와 참죽나무를 구분하기 어려워 한다. 원산지 중국에서도 모두 춘(椿)으로 참죽나무는 향기가 난다고 향춘(香椿) 가죽나무는 악취가 난다고 취춘(臭椿)으로 부른다. 그래서 당연히 형제간은 아니더라도 사촌쯤은 될 줄 알았는데 우리나라 분류 체계를 보면 아래와 같이 전혀 다르다.


참죽나무 : Medusandrales목 멀구슬나무과 참죽나무속 

가죽나무 : 운향목 소태나무과 가죽나무속


이게 가죽나무인데

먼 모습만 봐서는 정말 구분이 어렵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위 참죽나무는 꽃이고 이 가죽나무는 열매이다.


양평 용문 강가의 가죽나무 개화기 모습

꽃이 위로 솟아 주로 아래로 처지는 참죽과 비교가 된다.


문,강,목,과,속,종으로 구분된 6단계 식물분류체계상 최하위 속이 같으면 형제간이랄 수 있고 과가 같으면 4촌은 되며 목이 같다면 6촌은 되는데 이건 완전 사돈팔촌도 안되는 관계 같다. 황당하다. 뭐 이럴 수가? 그러나 이게 끝은 아니다. 이건 어디까지나 제대로 업데이트 안된 우리나라 분류체계이고 제대로 된 외국 분류체계를 보니 멀구슬나무과나 소태나무과 모두 같은 무환자나무목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면 그렇지 최소한 6촌지간은 되어야 이를 헷갈려하는 일반인들의 체면도 서지 않겠나.. 


이 것이 멀구슬나무이다. 

참죽나무는 멀구슬나무과이니까 촌수로 따지면 가죽나무보다는 더 가깝다. 


멀구슬나무

하지만 멀구슬나무는 2~3회 기수 우상복엽인 잎차례와 꽃 모습에서 참죽나무와 많은 차이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참죽나무를 참죽나무속(Cedrela)로 분류하지만 우리를 제외한 모두는 투나속(Toona)으로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참죽나무의 최근 분류는 무환자나무목 멀구슬나무과 투나속이 된다. 이미 우리 국표식에서도 참죽나무의 원예종인 Toona sinensis 'Flamingo'를 투나속 삼색참중나무로 등록한 바 있다. 원종인 참죽나무는 참죽나무속(Cedrela)으로 그 원예종인 플라밍고는 투나속으로 분류하고 있는 이중적인 어정쩡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이제는 외국에선 참죽나무는 Cedrela sinensis Juss.가 아닌 Toona sinensis (Juss.) Roem.의 학명으로 표기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Cedrela는 아예 아메리카 원산 종에 국한하여 사용한다. 이를 중국에서는 양춘(洋椿)속이라고 부른다. 


신분류로 정리를 해 보면

참죽나무 : 무환자나무목 멀구슬나무과 투나속  Toona sinensis

가죽나무 : 무환자나무목 소태나무과 가죽나무속 Ailanthus altissima


비록 목이 같다고 하더라도 엄연히 과와 속이 다른 종이며 실제로 열매, 수피, 잎모양 등에서 많이 다르므로 이를 비슷한 수종이라고 지나치게 강조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영어로는 참죽은 Chinese mahogany로서 그 목재의 우수성이 뛰어나 세계최고의 목재라고 불리는 마호가니를 대체할 수 있는 나무라는 것을 강조한 이름이며 가죽은 Tree of heaven으로서 빨리 자라는 큰 키에서 유래된 이름을 사용 하여 연관성이 전혀 없다. 일본만 해도 참죽은 중국이름을 그대로 사용 チャンチン(香椿)으로 부르며 가죽은 ニワウルシ(庭漆)옻나무의 일종으로 명명하고 있다. 


악기 재료로 최고로 치는 남미 원산 목재 마호가니인데 요즘은 반출이 통제되고 있어 그 대체목에 대한 관심이 높다.


참죽나무가 중국원산이라는 데는 이의가 없으나 언제 도입되었는지에 대하여는 확실하지 않지만 고려말에 도입된 것 같다는 주장은 보인다. 일본은 고대에 들어 왔다고 기록하고 있다. 같이 도입시기가 모호한 가죽나무는 귀화식물로 분류하고 이 참죽나무는 외래 재배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리고 앞 글 가죽나무에서 언급한 바 있지만 가죽나무의 어원이 스님들이 즐겨 먹는 나물인 참중나무와 대비하여 못 먹는 중나무라고 가중나무라고 하며 심지어는 한문으로 가죽나무를 가승목(假僧木) 참죽나무를 진승목(眞僧木)이라고 정작 중국에서는 통하지 않는 우리식 한자로 표시하는 자료도 보이는데 이 것은 별 근거가 없다고 본다. 그러므로 참죽나무의 이명이 참중나무라고 하더라도 그 중은 스님을 뜻하는 것이라고 확신할 수 없으므로 억지로 가승목 진승목하면서 한자화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삼색참중나무

참죽나무가 죽순과 같이 그 순을 먹을 수 있다고 참죽이라고 하던 산림청이 위 참죽나무 원예종을 최근에 등록하면서 삼색참죽나무가 아닌 삼색참중나무로 등록하여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산림청에서 운영하는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에서도 참죽나무의 어원 논쟁에 뛰어들고 있다. 참죽나무의 순을 대나무처럼 먹을 수 있다고 참죽이라고 한다면서.. 그런데 좀 이상하다. 그 유래가 대나무 죽순처럼 먹을 수 있는 나물이라서 죽나무로 불렀다는 말인데 그렇다면 앞에서 본 예와 같이 한자로 표기하면 참죽나무는 진죽목(眞竹木)이 되고 가죽나무는 가죽목(假竹木)이 되는 것인가??  전혀 죽순과 닮지 않은 참죽나무 새순을 설마 대나무 죽순에 비유하였을까? 그리고 먹을 수 있는 나무순이 어디 이것 뿐이던가? 이것도 별 설득력이 없는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나라에서 최고로 권위(?)있는 국생정의 주장이지만 이 설을 많이 따르는 분위기는 아닌 것 같다. 게다가 최근 2011년에 국표식에서 외국에서 들어온 참죽나무의 원예종 하나를 신규등록하면서 그 이름을 죽나무가 아닌 중나무(삼색참중나무)로 등록하고 있다. 그들 주장대로 죽나무의 어원이 죽(竹)이라면 어찌 참중나무가 되었을까? 그렇다면 죽나무의 어원을 스님을 뜻하는 중(僧)으로 인정이라도 하고 있다는 이야기인지 정말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게 죽순인데 아래 참죽나무순과 어디 비슷하기라도 한가?


죽나무순


나는 오히려 국표식에 기록된 참죽나무의 이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일반적으로 생각할 때 외국에서 나무가 들어오면 그 나라에서의 이름이 무엇인지가 궁금하지 스님들이 좋아하는 나물인지 아니면 죽순같이 생긴 나물인지가 중요하지는 않다고 본다. 나물의 향이 좋아 누가 좋아하고 아니하고는 나중 일이라고 본다. 따라서 중국 이름 椿이 딸려 온 나무라면 당연히 우리식 한자음으로 춘으로 읽던가 아니면 그들 중국사람들의 발음을 참고하였을 것이라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참죽나무의 이명 충나무, 쭉나무 그리고 가죽나무를 개듁나무로 표기한 옛날 자료와 16세기 중종때 발간된 사서통해의 춘(椿)나무를 지칭하는 튱나무 모두 중국식 발음에서 파생된 것이라는 주장이 여전히 설득력있어 보인다. 실제로 지금도 중국인들의 椿 발음은 우리글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쮼~ 비슷하게 들린다. 튱나무가 듁나무나 쭉나무 충나무로 다시 중나무로 최종적으로는 죽나무로 변천한 것이라는 설을 지지하고 싶다. 따라서 중나무는 스님을 뜻하는 것이 아니고 죽나무를 발음대로 표기한 것일 수도 있는 것이고. 먹는 것은 참죽 못 먹는 것은 가죽이라는 것은 먹는 진달래를 참꽃이라고 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면 되겠다. 


거의 모든 멀구슬나무과 식물들이 아열대지방이 원산지이지만 이 참죽나무만이 온대지방에 생존이 가능한 수종으로서 길림성 등 중국 북부지방이 원산지인 가죽나무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추위에 약한 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도 평양이남에서만 분포되어 있다. 중국이나 우니라에서는 나물로도 인기가 있지만 서양에서는 단단하고 붉은 목재로 전자기타 등을 만드는 고급 목재로 마호가니를 대체할 수 있는 수종으로 인정받아 인기가 높으며 유럽에서는 북유럽에서도 생존이 가능한 유일한 멀구슬나무과 수종이므로 관상용 및 조경용에 사용된다. 


또 한 중국에서는 남의 아버지를 높여 부를 때 춘(椿)이라 하며 남의 어머니를 뜻하는 훤(萱)과 함께 부모를 뜻하여 椿萱并茂(춘훤병무)라는 문구를 덕담으로 교환한다. 이는 장자의 소요유편에서 나온 말로서 그 뜻을 풀이하며 "귀댁의 양부모님들 모두 건강하세요!" 라는 뜻이 된다. 이와 대비되는 말이 난계제방(兰桂齐芳)인데 "자손들 모두 잘 되세요!" 라는 뜻이 된다. 즉 부모는 죽나무와 원추리에 자식은 난초와 계화(목서)에 비유한것이 흥미롭다.  


등록명 : 참죽나무

이  명 : 참중나무, 충나무, 쭉나무

학  명 : Cedrela sinensis Juss.

이  명 : Toona sinensis (Juss.) Roem.

분  류 : 멀구슬나무과 참죽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향춘(香椿)

일본명 : チャンチン(香椿), 별명 쿠모야브리(雲破り)

영어명 : Chinese mahogany, Chinese toon

수  고 : 20m

수  피 : 거침, 심갈색, 편상탈락

잎차례 : 긴 입자루, 우수우상복엽, 30~50cm 이상

소  엽 : 16~20개, 대생 혹 호생, 지질, 난상피침형 혹 난상장타원형

잎크기 : 9~15 x 2.5~4cm, 선단미첨, 기부1측원형, 1측 설형, 비대칭, 밋밋함 혹 소거치, 양면무모

잎특징 : 무반점, 배면 분녹색, 측맥 18~24조, 평전, 중맥 거의 직각, 배면 약간 돌출

소엽병 : 5~10mm

꽃차례 : 원추화서, 잎과 동일 길이, 투명 단유모 혹 무모, 소지에는 작은 취산화서, 다화

꽃특징 : 화장 4~5mm, 화경단, 향기, 주로 밑으로 처지는 경우가 많음

꽃받침 : 5치열 혹 천파상, 외면 유모, 첩모

꽃  잎 : 5개, 백색, 장원형, 선단둔, 4~5mm x 2~3mm, 무모

꽃수술 : 10개, 그 중 5개 퇴화

화  반 : 무모, 근염주상

자  방 : 원추형, 5조의 가는 홈, 무모, 매실 8과 배주, 화주비 자방이 김, 주두반상

열  매 : 삭과 협타원형, 2~3.5c, 심갈색, 창백색피공, 과판엷음

종  자 : 기부 통상 둔, 상단막질장시, 하단 무시

개화기 : 6~8월

결실기 : 10~12월

식  용 : 어린 잎은 향기나며 채소로 식용가능

목  재 : 황갈색 홍색 띠, 문양이 아름다움, 견고한 질, 광택, 방부력 강, 가공 용이, 가구재, 실내장식용, 조선용, 악기용 우량목재

약  용 : 근피 및 과일은 수렴 지혈 및 거습지통용 약재

종소명 sinensis는 중국에서 온 것을 뜻하며 일본에서는 참죽나무가 환경이 좋으면 매우 높게 자란다고 구름을 뚫고 나가는 나무라고 쿠모야브리(雲破り)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참죽나무 열매


참죽나무

주로 잎의 거치가 없지만 이렇게 작은거치가 있는 경우도 있다. 

가죽나무는 아래 부분에 1~2조의 거치만 있으므로 구분이 된다. 


참죽나무


참죽나무

가지가 위로 뻗는다.


참죽나무

잎의 거치가 없는 경우가 많다.


참죽나무

잎은 호생하며 소엽은 대생 또는 호생이다.


참죽나무

가지가 위로 뻗는 특성이 잘 보인다.


참죽나무

수피가 세로로 갈라지며 나중에 벗겨진다.


참죽나무

어린 순은 붉은 색을 띠기도 한다.


참죽나무


참죽나무


참죽나무

어린 나무 잎 주맥과 줄기는 붉은색을 띠기도 한다.


참죽나무


참죽나무


참죽나무


참죽나무


참죽나무


참죽나무

원추화서가 주로 아래로 처진는 경우가 많다.


참죽나무


참죽나무

수술 10개 중 5개는 퇴화한다.


참죽나무


참죽나무

열매가 익으면 껍질 한쪽이 터진다.


참죽나무


참죽나무


참죽나무


참죽나무


참죽나무를 대량 재배하는 모습

중국인들이 참죽나무순 나물을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럼 지금부터는 참죽나무와 가죽나무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자. 


참죽나무와 가죽나무의 대표적인 차이점


구   분

참죽나무

가죽나무

 분   류 

 멀구슬나무과 참죽나무속

 소태나무과 가죽나무속

성정체

양성주

잡성 또는 자웅이주

소엽수 

16 ~ 20

13 ~ 27

잎차례

기수 또는 우수 우상복엽

기수 우상복엽

잎모양

거치가 없거나 작은 거치

1~2조의 거치

   

없음

잎 뒷면에 1개

잎냄새

좋은 향기

나쁜 냄새

   

거칠로 세로로 갈라져 떨어짐

매끈함

열  

삭과

시과

유관속 

5개

9개


 

가죽나무의 잎차례는 기수 우상복엽이라지만 실제로는 탈락하였거나 퇴화하였는지 위 사진과 같이 우수 우상복엽이 섞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원래 기수, 우수 모두 있는 참죽나무와의 구분 포인트가 되지 못한다.


가죽나무

열매에서는 가죽과 위 참죽과 구분이 쉽게 된다.


가죽나무

잎 아래 부분에 1조의 거치만 보이며 뒷면에 샘점이 있다. 

반면에 참죽은 거치가 없거나 있더라도 작은 거치가 여러 개 있다. 그리고 샘점은 없다.


가죽나무

수피가 매끈한 것이 참죽나무와 확연한 차이점이다.



참죽나무

엽흔에 5개의 유관속이 보인다. 


가죽나무

엽흔에 9개의 유관속이 보이므로 맹아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


등록명 : 삼색참중나무

학 명 : Toona sinensis 'Flamingo'

우리나라에는 참죽나무외에 참죽나무의 원예종 하나가 더 등록되어 있다.

참죽나무의 원예종이 확실함에도 불구하고 속명도 다르고 국명도 다르게 등록되어 있다. 


등록명 : 삼색참중나무

학 명 : Toona sinensis 'Flamingo'


등록명 : 삼색참중나무

학 명 : Toona sinensis 'Flamin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