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시오카르파포플러 = 중국 원산 대엽양(大叶杨)
사시나무 중에서 가장 잎이 크며 열매는 융모로 덮여 있다.
라시오카르파포플러 = 중국 원산 대엽양(大叶杨)
우리나라에 등록된 사시나무속 중에서 마지막으로 중국 남쪽에서 온 라시오카르파포를러를 알아보자. 학명이 Populus lasiocarpa이므로 학명을 그대로 우리 국명으로 하고 있어 암기하기 어렵지만 털이 있는 열매를 뜻하고 있어 나름대로 이 나무의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원산지 중국에서는 열매의 털이 아닌 잎이 가장 큰 양(杨)이라고 대엽양(大叶杨)으로 부르고 있어 이 나무의 또 다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 나무 잎은 무려 길이가 30cm에 달하여 사시나무속 나무들 중에가 가장 크다. 중국에서 주로 따뜻한 남쪽지방에 분포하지만 내한성도 매우 강하여 우리나라 정도의 기후에는 전국 어디라도 별 문제가 없다.
하나 흥미로운 것은 중국에는 이 나무와 매우 흡사한 나무가 있는데 그 이름이 의양(椅杨)이다. 이 의양과 대엽양은 사진으로 봐서는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비슷하지만 잎의 사이즈와 뒷면 털의 유무 차이로 구분하는데 둘 다 우리나라 이나무의 잎 모습과 매우 비슷하다. 이나무는 우리 자생종이지만 중국에서도 자생하는데 중국 정명은 산동자(山桐子)이지만 별명이 의수(椅树) 즉 의나무인데 이 것이 변하여 우리나라 이름 이나무가 된 것이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이 나무를 큰잎사시나무나 이나무잎사시나무 등으로 불러도 좋으련만 라시오카르파포플러라고 하니 라틴어에 익숙하지 않은 우리들은 정말 어렵다.
중국 원산 의양(椅杨)
대엽양과 매우 흡사한 나무이다. 둘 다 잎 모습이 우리나라 이나무를 많이 닮았다.
우리나라 이나무
이나무과 이나무속 낙엽 교목이다.
등록명 : 라이오카르파포플러
학 명 : Populus lasiocarpa Oliv.
분 류 :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대엽양(大叶杨)
수 고 : 20m, 지름 50cm
수 관 : 탑형혹원형
수 피 : 암회색, 종렬, 지조장이희소, 황갈혹희자갈색, 능척, 눈시 피융모, 혹소유모
맹 아 : 대, 란상원추형, 미구점질, 기부린편구융모
잎특징 : 난형, 사시나무속 중 최대, 15~20 x 10~15cm, 선단점첨, 희단점첨, 기부심신형, 상구2선점, 변연반권적원선거치
잎색상 : 상면광활량녹색, 근기부밀피유모, 하면담록색, 유모, 연맥모현저
잎자루 : 원, 모, 8~15cm, 통상중맥과 함께 홍색
웅화서 : 9~12cm, 화축유모, 포편도피침형, 광활, 적갈색, 선단조렬, 수술30~40
과 서 : 장15~24cm, 축구모, 삭과란형, 장1~1.7cm, 밀피융모, 유병혹무병, 3판렬
종 자 : 봉상, 암갈색, 3~3.5mm
개화기 : 4~5월
결실기 : 5~6월
생장지 : 해발 1,300~3,500m
용 도 : 재질 무름, 가구, 판재용
라시오카르파포플러 = 중국 원산 대엽양(大叶杨)
라시오카르파포플러 = 중국 원산 대엽양(大叶杨)
라시오카르파포플러 = 중국 원산 대엽양(大叶杨)
라시오카르파포플러 = 중국 원산 대엽양(大叶杨)
라시오카르파포플러 = 중국 원산 대엽양(大叶杨)
라시오카르파포플러 = 중국 원산 대엽양(大叶杨)
'기타 과 식물 > 버드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1 이나무 - 겨울 열매가 무척 아름다운 의동(椅桐) (0) | 2017.10.24 |
---|---|
376 미루나무와 이태리포플러, 은사시나무 실제 구분 (0) | 2017.09.02 |
374 이태리포푸라(이태리포플러), 캐나다포플러 I-214 (0) | 2017.08.30 |
373 미루나무 = 미류나무, 북미원산 포플러의 일종 (0) | 2017.08.27 |
372 양버들 - 흔히 그냥 포플러라고 불리는 롬바디포플러 (1) | 2017.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