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버드나무과

391 이나무 - 겨울 열매가 무척 아름다운 의동(椅桐)

낙은재 2017. 10. 24. 20:59

이나무

맛은 없지만 식용 가능한 열매이다. 생식도 가능하다.


이나무

겨울에 낙엽후 이런 장관을 보이니까 영어명이 Chinese wonder tree 아니겠는가.


이나무

열매는 낙엽후 겨울을 보내고 봄까지 나무에 달려있다.


오동나무를 닮은 또 하나의 나무로 그 이름이 특이한 이나무라는 것이 있다. 한자어는 아니고 우리말 이름인데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일본이 원산지이다. 우리나라 자생종이라서 순수 우리말 이름인 이나무인가보다 하겠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이 나무의 중국 이름 의수(椅树)에 영향을 받아 의나무(椅--)라고 하다가 이나무로 변했다고 한다. 일본은 이 나무잎이 오동을 닮은 데다가 넓은 잎으로 밥을 싸서 다녔다고 반동(飯桐) 즉 이이기리(イイギリ)라고 한다. 그래서 이 나무의 영어명이 일본 이름 그대로 Igiri 또는 Iigiri이다. 


이나무속(Idesia)의 속명 이데시아는 17세기 중국을 탐사한 러시아 주재 덴마크대사의 이름을 따서 이 나무를 처음으로 묘사한 러시아 식물학자 Maximovich가 일본에서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명명한 것인데 이 속에는 이나무가 유일한 종이다. 이나무속은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낡은 앵글러체계와 중국이 채택하고 있는 크론키스트 분류체계에서는 이나무과(Flacourtiaceae)로 분류하지만 최신 서구와 일본에서 채택하고 있는 APG체계에서는 버드나무과(Salicaceae) 이나무속으로 분류된다. 이나무과(Flacourtiaceae)는 89개 속에 800여 종이 분포하는 거대한 속이었는데 APG 시스템에서는 공중분해되어 소멸되었는데 그 대부분은 버드나무과로 편입되었다.


우리가 이나무과라고 부르는 Flacourtiaceae는 실상 이나무과가 아니고 아프리카와 중국 남부 및 열대 아시아가 원산인 Flacourtia를 모식속으로 하는 과(科)인데 이 모식속의 중국이름은 자리목속(刺篱木)이다. 중국도 자리목과라고 하지 않고서 대풍자과(大风子科)라고 부른다. 이 대풍자(大风子)는 자리목(刺篱木)과는 또 다른 나무로서 그 열매에서 얻는 기름이 대풍자유인데 한 때 이 기름이 한센병(마풍병 : 麻风病) 치료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널리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는 대풍자 중에서 특히 태국대풍자(泰国大风子)가 널리 알려져 있는데 그 나무의 학명은 Hydnocarpus anthelminthica이다. 참고로 모식종(模式種, type species)이란 분류학에서 속(屬)을 정의할 수 있는 종(種)을 말하며 이는 개별 표본이다.


지금으로부터 거의 10년 전인 2008년 1월에 동경에 가서 시내 정원미술관이라는 곳에 들렀다가 그 미술관 후원에서 빨간 열매가 주렁주렁 온 나무를 뒤덮고 있는 매우 아름다운 나무를 발견하고서 그 모습에 반하여 세상에 이런 나무도 일본에는 있구나 하고 감탄하였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한참 후 이 나무가 우리나라에도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나무이며 그 이름이 이나무라는 것을 알게되었을 때 왜 여태 모르고 있었을까 참으로 궁금하였다. 남쪽지방으로 이사를 간다면 마당에 심고싶은 나무 리스트에 그때부터 들어가 있던 나무이다. 그런데 서양의 도감정보에 의하면 내한성이 예상외로 강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내한성이 약하다는 동양 3국의 설명들과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그래서 기회가 되면 중부지방에서 노지월동을 시도해 볼 예정이다. 


이나무

동경 정원미술관 2008년

바로 이 모습에 취하여 쌀쌀한 동경의 1월 날씨에 저 의자에서 한참을 앉았다가 왔다.


이나무는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달려있는 빨간 열매의 아름다움 뿐만아니라 잎모양도 아름답고 수형도 좋아 관상수로서 매우 적합한데다가 알고보니 열매에는 평균 36%의 기름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대부분인 60~80%가 불포화 지방산이라서 최고의 식용유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중국에서는 이 나무에서 채취한 식용유가 면역력강화, 고지혈증 개선, 혈압 강화, 노화방지에 좋으며 심지어는 항암효과에까지 그리고 세포의 산소섭취량을 줄여 지구력을 향상시킨다는 등 매우 다양한 효능이 있다고 뒤늦게 발견하느라 바쁘다. 


그리고 최근 중국에서는 이나무가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하여 식재하는 수종 즉 탄휘(碳汇)수종으로 선정되었으며 또한 신재생 에너지의 자원으로서의 역할 뿐만아니라 관상수로서 그리고 건강식품으로서, 고품질 식용류로서, 향기가 좋은 밀원식물으로서 등 매우 다양한 가치가 있어 나무의 거의 전 부분이 보물과 같은 가치가 있다고 황금수(黄金树)라고도 불리운다고 한다. 그러니까 중국은 범국가적으로 이 이나무의 관상수로서 그리고 경제수종으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식재를 장려하고 있는 것이다. 토양을 가리지 않고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며 가뭄에도 강하고 성장도 빨라서 여러모로 적합한 수종임에는 틀림이 없다.


알고보니 이렇게 좋은 나무가 우리 자생종으로 제주도와 전라도지방에서 오래전부터 자생하고 있었는데 우리는 왜 여태 활용은 커녕 존재조차도 알지 못하고 있었을까? 다음이나 네이버에서 이나무를 검색하면 국립수목원에서 운영하는 백과사전이 나오는데 거기에 간판으로 걸려있는 아래 사진이 우리의 현실을 대변해 준다. 아래 사진의 나무는 아무리 봐도 이나무가 아니고 피나무의 종류로 보인다. 명색이 대한민국 최고의 국립수목원이 조금만 신경을 쓰면 단번에 알 수 있는 것을 이렇게도 무심하게 내팽개치고 있다니. 헐!!! 


국립수목원 도감에 이나무라고 올려져 있는 사진인데 이나무가 아니고 피나무 종류 같다.

엉터리 사진을 올리는 것은 정말 민폐다.


중국에서 이 나무의 관상가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화다방향(花多芳香),유밀선(有蜜腺)     꽃향기가 짙고 꿀샘이 있으며  

수형우미(树形优美),과실장서(果实长序) 수형이 아름답고 과일줄기는 길다.

결과루루(结果累累),과색주홍(果色朱红) 주홍색 열매가 주렁주렁 달렸고 

형사진주(形似珍珠),풍취뇨뇨(风吹袅袅). 진주같은 그 모습 바람이 일렁인다.  


등록명 : 이나무

이  명 : 의나무, 팥피나무, 위나무

학  명 : Idesia polycarpa Maxim.

분  류 : 이나무과 이나무속 낙엽 교목

신분류 : 버드나무과 이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중국명 : 산동자(山桐子), 의(椅), 의수(椅树), 의동(椅桐), 투상홍(斗霜红)

일본명 : イイギリ(飯桐), 남천동

영어명 : Igiri, Chinese wonder tree

수  고 : 8~21m

수  피 : 담회색, 불렬

소  지 : 소지원주형, 가늘고 약함, 황갈색, 피공명료, 동절기 측지가 정비보다 길다

가  지 : 평전, 근윤생, 수관장원형, 당연지조자록색, 담황색장모

동  아 : 담갈색모, 4~6편추상린편

엽  편 : 박형질혹 후지질, 난형혹심상란형, 혹관심형, 13~16(20) x 12~15cm, 선단점첨혹미상, 기부통상심형, 변연유조적치, 처첨유선체, 상면 심록색, 광활무모, 하면유백분, 연맥유소유모, 맥액유종모, 기부맥액갱다, 통상5기출맥, 제2대맥사승도엽편의 3/5처

엽  병 : 장 6~12cm, 혹 그 이상, 원주상, 무모, 하부2~4개자색, 편평선체, 기부초팽대

꽃차례 : 단성, 자웅이주혹 잡성, 황록색, 방향, 화판결, 배렬성정생하수적원추화서

화서경 : 유소유모, 길이 10~20cm, 간혹 30~80cm까지도

웅  화 : 자화비 약간 큼, 직경 1.2cm

꽃받침 : 3~6편, 통상6편, 이와상배열, 장란형, 6 x 3mm, 밀모

수술대 : 실모양, 연모, 화약타원형, 기부착색, 측렬, 퇴화자방

자  화 : 웅와비 약간 작음, 직경 0.9cm

꽃받침 : 3~6편, 통상6편, 란형, 4 x 2.5mm, 외면밀모, 내면소모, 자방상위, 원구형, 무모

암술대 : 5~6, 향외평전, 주두도란원형, 퇴화수술다수, 화사단혹결

열  매 : 장과 성숙기 자홍색, 편원형, 3~5 x 5~7mm, 과경세소, 0.6~2cm, 

종  자 : 홍갈색, 원형

개화기 : 4~5월

과숙기 : 10~11월

내한성 : 영하 17도

용  도 : 목재 송연, 건축 가구 기구용재, 밀원자원, 방향 수형우미, 진주 같은 열매, 관상수, 열매와 종자에서 식용유 채취

종소명 polycarpa는 열매가 많이 달린다는 뜻이다.


이나무

변산반도


이나무

변산 내소사 주변


이나무

변산 내소사 주변


이나무


이나무

동경 신주쿠 부근


이나무 잎

잎자루에 샘선이 있다.


이나무 잎 전후면


이나무 잎 전후면


이나무


이나무 웅화(수꽃)

암꽃에 비하여 조금 크다.


이나무 웅화


이나무 웅화


이나무 자화(암꽃)


이나무 자화(암꽃)


이나무 자화(암꽃)


이나무 웅화와 자화(암꽃)가 한 나무에 있는 잡성주

자웅이주이지만 가끔 이런 잡성주 나무도 있다.


이나무


이나무

층층나무와 같이 가지가 옆으로 뻗는 성질이 있다.


이나무


이나무

열매차례가 긴 것은 무려 80cm에 달한다고 한다.


이나무

열매를 보려면 반드시 암그루를 심어야 하며 주변에 수그루가 있어야 한다.


이나무


이나무


이나무


이나무

일본에서는 이 나무의 목재가 가벼워 나막신이나 상자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이나무 정아와 측아

정아에 비하여 측아는 빈약하다.


이나무 새순


이나무 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