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교잡종/접시꽃목련 31

1170 접시꽃목련 '저스트 진'

접시꽃목련 '저스트 진'은 1970년대 영국 남부 도싯(Dorset)주에 있던 John Gallagher라는 사람이 접시꽃목련 묘목에서 우연히 발견한 품종으로서 왜성으로 자라고 크고 도란형인 잎 모양이 독특하고 4월 중순부터 기부에 짙은 핑크색 색을 띤 선명한 핑크색 컵 모양의 큰 꽃을 풍성하게 피우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그의 누이 이름인 Just Jean으로 품종명을 붙여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Just Jean'로 표기하여 1988년 RHS에서 출판하는 The Rhododendrons with Camellias and Magnolias에 수록되면서 알려지게 된 것이다. 등록명 : 접시꽃목련 '저스트 진' 학 명 : Magnolia x soulangeana 'Just Jea..

1169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루비'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Pickard's Ruby'로 등록된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루비' 또한 앞 게시글의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슈메틀링'과 마찬가지로 영국 캔터베리에서 원예농장을 운영하는 Amos Pickard(1913–1994)라는 사람이 일본에서 도입한 접시꽃목련 '픽처'를 기반으로 하여 다른 목련 품종들과의 자연 수분 방식에 의하여 개발한 원예 품종 23종 중 하나이다. 이 품종은 이른 봄에 빨리 피는 꽃이 컵모양이며 짙은 와인 또는 적자색인 것이 특징이라고 하는데 스위스에 건너 간 품종은 보다 더 짙다고 한다. 등록명 :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루비' 학 명 : Magnolia x soulangeana 'Pickard's Ruby'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소교목 원..

1168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슈메틀링'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슈메틀링'의 학명은 Magnolia x soulangeana 'Pickard's Schmetterling'이다. 피카드는 사람 이름이고 슈메틀링은 영어로는 butterfly 즉 나비를 뜻하는 독일어이다. 접시꽃목련에서는 흔하지 않게 좁고 긴 와인레드 색상의 화피편을 가지고 있으면서 잎은 거친 편이라는 이 품종은 어디서 개발되었으며 왜 이런 이름을 붙였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자. 목련이라고는 전혀 없던 유럽사람들은 1600년대 말에 미국에서 버지니아목련이 도입되면서 목련을 알게 된다. 그러다가 거의 100년 후인 1780~90년대에 미국에서 온 키만 크지 그다지 아름답지 않은 버지니아목련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아름다운 백목련과 자목련이 중국과 일본에서 서양으로 건너가게 된다. 아름다운 ..

1167 접시꽃목련 '코츠' = 접시꽃목련 '코아테스'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Coates'로 등록된 접시꽃목련 '코츠'는 미국 오리건주 스프링필드에 있는 Gossler Farms Nursery에서 접시꽃목련 '루스티카 루브라'의 묘목에서 특이한 변종을 발견하여 선종하여 개발한 품종으로서 라벤더 핑크색 병 모양의 큰 꽃이 피며 내한성이 강하고 키는 8m까지 직립하여 자란다고 한다. 아마 묘목을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있는 Leonard Coates Nursery로부터 공급받았는지 품종명을 'Coates'라고 붙여서 그들의 1973년 품목 리스트에 등재함으로써 처음 소개되었다. 일부에서는 이 품종이 자목련과 비치목련의 교잡종인 목련 '로열 크라운' 즉 Magnolia 'Royal Crown'을 많이 닮았다고 한다. 목련 '로열 크라운'은 ..

1166 접시꽃목련 '크림슨 스티플' = 목련 '크림슨 스티플'

접시꽃목련 '크림슨 스티플'은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Crimson Stipple'로 표기되는데 품종명 Crimson Stipple의 크림슨은 진홍색을 말하며 스티플은 점묘법(點描法) 즉 점을 찍어서 그림을 그리는 화법을 말한다. 이 품종의 백색 바탕의 화피편 외부에 진홍색 점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 품종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유명한 목련 육종가 Drury Todd Gresham ( ~1969)이 접시꽃목련 '레네이 알바'와 비치목련 '루브라'를 교잡시켜 개발하여 1962년 발표한 품종으로서 직립으로 왕성하게 넓게 퍼지면서 자라며 지름 30cm에 달하는 향기가 좋은 백색 바탕에 진홍색 점이 있는 큰 꽃이 피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비치목련은 나중에 다시 탐구하겠지만 1907년 영..

1165 접시꽃목련 '버건디'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Burgundy'인 접시꽃목련 '버건디'는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있는 W. B. Clarke’s nurseries에서 1930년 경에 이웃집 정원에서 재배하던 목련 품종에서 번식한 것으로서 접시꽃목련 '루스티카 루브라'와 비슷한 색상의 꽃이 피지만 다른 특성을 보여 1943년에 꽃 색상이 버건디 포도주 색상 같다고 'Burgundy'라는 품종명을 붙였다고 한다. 이런 내용이 미국 원예가 John Caspar Wister(1887~1982)가 1955~1956년에 쓴 Swarthmore Plant Notes에 기록되어 있음으로써 널리 알려진 것이다. 짙은 자색의 꽃이 다른 어떤 품종보다도 빨리 피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일부에서는 'Burgundy Ro..

1164 접시꽃목련 '알렉산드리나'

프랑스 원예가 솔란지가 백목련과 자목련을 교잡시켜 처음 개발한 수종인 접시꽃목련은 나무의 사이즈도 적당한데다가 그 원예품종들의 꽃들이 모두 아름답다. 그래서 세상에서 가장 널리 보급된 인기있는 목련 품종들이라서 우리나라만 하여도 무려 29종의 접시꽃목련이 등록되어 있어 대체로 그 개발된 시기 순서로 탐구하고 있다. 이번에 파악할 Magnolia x soulangeana 'Alexandrina' 즉 접시꽃목련 '알렉산드리나'는 미국 원예가 John Caspar Wister(1887~1982)가 1955~1956년에 쓴 Swarthmore Plant Notes에 처음 등장하는 이름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훨씬 이전인 1831년부터 프랑스 파리 근교 Montrouge(몽후쥬)에 있던 프랑스 ..

1163 접시꽃목련 '롬바디 로즈'

접시꽃목련 '롬바디 로즈'는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Lombardy Rose'로 표기하는데 Lombardy는 밀라노를 주도로 하는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하는 주이다. 이탈리아에는 20개의 행정구역이 있는데 그 중에서 인구 천만 명의 롬바르디아주는 인구로는 이탈리아 전체의 1/6이고 경제력으로는 1/5을 차지하고 있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이라고 한다. 북쪽 스위스 접경은 알프스산맥이고 남쪽에는 벼와 포도를 많이 생산하는 대평원이 있어 느릅이나 포플러 단풍나무 서어나무 등 매우 다양한 수종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목련이나 철쭉 종류의 재배에 적합하여 화훼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우리나라서 많이 심은 이태리포플러도 이태리 북부 롬바디 인근 지역에서 교잡된 것이지만 진짜 롬바디..

1162 접시꽃목련 '릴리푸티안' - 일본에서 미국으로 건너간 왜성종

접시꽃목련 '릴리푸티안'의 학명은 Magnolia x soulangeana 'Lilliputian'로 표기한다. 품종명 'Lilliputian'은 1726년 아일랜드 작가 조너선 스위프트가 쓴 갈리버여행기에 나오는 소인국 Lilliput에 사는 사람들 즉 소인을 말한다. 그만큼 이 품종은 나무의 사이즈도 꽃의 사이즈도 작기에 붙인 이름이다. 이 품종은 미국 앨라배마주 샘스에 있던 Semmes Nurseries의 1946년 카타로그에 수록되면서 알려진 품종인데 아마 앨라배마에서 육종한 것은 아니고 일본에서 그 이전에 도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는 Semmes Nurseries의 전신이 바로 일본인 이민자 Tsukasa Kiyono가 설립한 Kiyono Nurseries이기 때문이다. 키요노는 1914..

1161 접시꽃목련 '산 호세'

접시꽃목련 '산 호세'는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San Jose'로 표기되는데 품종명 산 호세는 원래 마리아의 남편인 Saint Joseph 즉 성 요셉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산호세(San Jose)시를 뜻한다. 왜냐하면 이 품종이 그 도시에서 1920년부터 1950까지 활동하였던 W.B. Clarke & Co. Nursery의 대표 Walter Bosworth Clarke(1876~1953)가 1938년에 개발하여 그렇게 명명하여 1940년 그들의 카타로그에 처음 수록하면서 알려졌기 대문이다. W. B. Clarke는 목련뿐만 아니라 라일락 매화 등 다양한 정원수의 품종 개발로 유명한 육종가인데 우리나라에 등록된 버들목련 '더블유 비 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