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교잡종/접시꽃목련 31

1160 접시꽃목련 '레네이 알바'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Lennei Alba'인 접시꽃목련 '레네이 알바'는 독일 원예가 Alfred Topf가 이탈리아에서 도입한 묘목에서 발견하여 그 당시 그 지역 포츠담 식물원장 Peter Joseph Lenne(1789-1866)의 이름으로 1852년 명명한 접시꽃목련 '레네이'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Lennei'와 매우 비슷한 컵 모양의 꽃이 피지만 그 색상이 순백색인 품종이다. 이는 1905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가장 유명한 정원설계사이자 육종가이던 Otto Froebel(1844–1906)이라는 사람이 1905년 처음 언급하였다. 그리고 1931년 네덜란드 알스메이르(Aalsmeer)에 있던 Willem Keessen(1883~1963)가 운..

1159 접시꽃목련 '픽처' - 일본에서 발견된 품종

접시꽃목련 '픽처'는 학명을 Magnolia x soulangeana 'Picture'로 쓰는데 품종명 'Picture'에 걸맞게 그야말로 꽃이 완벽하게 그림같이 아름답다는 평을 듣는다. 이 품종은 유럽에서 개발된 품종이 아니고 흔하지 않게 동양의 일본 누마즈시(沼津市)출신으로 요코하마에서 Hakoneya Nurseries를 운영하였던 육종가이자 화훼 수출업자인 Koichiro Wada (1907 ~ 1981)가 개발하여 그의 1925년 Japanese Garden Treasures라는 도감에 소개하였으며 나중인 1966년에 미국목련협회에서 소개함으로써 널리 알려진 품종이라고 한다. 하지만 1925년이라면 1907년에 태어난 Koichiro Wada의 나이가 맞지 않는다. 그렇다고 양조장을 운영한 그의 ..

1157 접시꽃목련 '아마빌리스'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Amabilis'로 표기되는 접시꽃목련 '아마빌리스'는 프랑스 북부 알자스(Alsace) 지방의 Bollwiller에 있던 프랑스에서는 매우 유명한 Baumann’s nursery의 1865년 카타로그에 수록되면서 알려지게 된 품종인데 순백색의 꽃이 피는 품종 'Alba'와 흡사하지만 수형이 보다 넓게 퍼지면서 느리게 자라고 앞 1154 게시글에서 본 '브로조니'보다 꽃의 색상이 좀 더 짙으며 화피편의 사이즈는 9 x 7cm인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그런데 영국의 동식물 전문화가 겸 자연학자인 John Guille Millais(1865~1931)는 이 품종은 네덜란드와 벨기에 원예가들이 교잡하여 육종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백목련과 매우 흡사한 특성을 가지고..

1156 접시꽃목련 '루스티카 루브라'

접시꽃목련 '루스티카 루브라'는 1900년 직전 네덜란드의 화훼 중심지인 보스콥에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원예사가 독일 Alfred Topf가 이탈리아에서 도입한 묘목에서 발견하여 1852년 명명한 접시꽃목련 '레네이'의 묘목에서 발견한 변종으로서 가장 늦게 피는 품종 중 하나인 '레네이'에 비하여 조기에 개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꽃이 크고 종 모양이며 모든 화피편이 짙은 장미색을 띠고 있다. 이를 영국 식물학자 원예가인 George Nicholson(1847~1908)이 Flora & Sylva라는 잡지에 기고함으로써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이다.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Rustica Rubra'의 품종명 'Rustica Rubra'는 시골서 온 붉은 색이라는 뜻으로 시골서 ..

1155 접시꽃목련 '베르바니카'

접시꽃목련 '베르바니카'는 앞 게시글의 접시꽃목련 '브로조니'와 마찬가지로 프랑스 식물 채집가이자 원예가인 André Leroy(1801~1875)의 1873년 카타로그에 수록되면서 처음 알려진 품종인데 성장이 더디고 개화시기가 늦으며 외면은 짙은 라벤더 핑크색이고 내면은 순백색인 크기 11 x 5 cm의 화피편으로 구성된 꽃을 피우는 것이 특징이다. 학명은 Magnolia x soulangeana 'Verbanica'로 표기하는데 품종명 'Verbanica'가 핑크색 또는 자주색 꽃이 피는 마편초과 식물인 버베나(verbena)를 뜻하는 프랑스어 verveine에서 온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일부에서는 함께 발표한 '브로조니'와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에서 육종되어 도입된 것이며 이 품종은 이탈리아 북..

1154 접시꽃목련 '브로조니'

접시꽃목련 '브로조니'는 프랑스 식물 채집가이자 원예가인 André Leroy(1801~1875)의 1873년 카타로그에 수록되면서 처음 알려진 품종인데 자주색을 띤 백색의 길이 13cm 너비 8cm의 큰 화피편 9개로 구성된 컵과 컵받침 형상의 꽃이 피는 것이 특징이다. 프랑스에서 개발된 품종은 아니고 이탈리아의 Camillo Brozzoni라는 사람이 육종한 것이라서 그의 이름으로 품종명이 붙어 학명을 Magnolia x soulangeana 'Brozzonii'로 표기한다. 이 품종을 영국 캔터베리의 Pickard, Magnolia Gardens의 1966년 카타로그에 수록된 'Pickard's Brozzonii'와 동일한 종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 품종은 영국 왕립원예학회인 RHS로부터 우수 정원..

1153 접시꽃목련 '레네이' - 꽃이 크고 색상이 짙은 인기 품종

접시꽃목련 '레네이'는 19세기 중반에 개발된 짙은 핑크색 또는 암자색의 지름 20cm나 되는 아름다운 꽃이 피며 잎도 길이가 25cm로서 매우 크고 키는 7.5m까지 자라는 소교목으로서 영국 왕립원예학회인 RHS로부터 우수 정원수 즉 AGM로 선정된 인기 높은 원예 품종이다. 이 또한 접시꽃목련이므로 당연히 중국 원산의 교목인 백목련과 관목인 자목련의 교잡종이다. 그런데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Lennei'를 자세히 뜯어보면 세 명의 유럽 사람의 이름으로 구성되어 있어 정말 아이러니하다. 속명 Magnolia는 프랑스 식물학자 Pierre Magnol(1638-1715)에서 온 것이며 교잡종명 soulangeana는 이를 인위적으로 교잡하여 처음 성공한 프랑스 원예가 Etien..

1152 접시꽃목련 '트라이엄판스'

학명 Magnolia x soulangeana 'Triumphans'로 표기되는 접시꽃목련 '트라이엄판스'는 1841년 독일 식물학자 Julius Friedrich Wilhelm Bosse(1788~1864)가 쓴 독일어 판 Vollständiges Handbuch der Blumengärtnerei 즉 Complete manual of flower gardening에 처음 수록되면서 알려진 접시꽃목련의 원예 품종인데 화피편의 외부가 적색인 것이 특징이다. 품종명 'Triumphans'는 승리라는 뜻으로 나중에 영어로 '승리를 거둔' 또는 '득이만면한'이라는 뜻인 Triumphant로 품종명을 표시한 것도 동일한 품종으로 보고 있다. 등록명 : 접시꽃목련 '트라이엄판스' 학 명 : Magnolia x s..

1151 접시꽃목련 '노르베르티'

접시꽃목련 '노르베르티'는 프랑스 파리 근교 Montrouge(몽후쥬)에 있던 프랑스 최초의 상업적인 원예종묘사인 Cels nursery의 1835년 카타로그에 수록되고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이자 정원설계사인 John Claudius Loudon (1783~1843)이 1838년 발간한 독일어 판 Arboretum et fruticetum britannicum 즉 영어명 The trees and shrubs of Britain인 도감에 Magnolia x soulangeana 'Norbertii'라고 수록됨으로써 자료가 남아 있는 초창기 접시꽃목련의 원예종 중 하나이다. 자색이 짙은 지름 10~20cm에 달하는 매우 큰 꽃이 뒤늦게 피는 특성이 있으며 가지는 무성하고 키는 5~8m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1150 접시꽃목련 '스페키오사'

접시꽃목련 '스페키오사'는 프랑스의 원예가 솔란지가 1820년 백목련과 자목련을 교잡시켜 탄생시킨 교잡종인 접시꽃목련에다가 Magnolia x soulangeana라는 학명을 부여하여 발표한 1826년으로부터 불과 6년 후인 1832년 벨기에 태생 네덜란드 로마카톨릭교회 사제이자 식물학자인 Pierre Corneille Van Geel(1796~1838)이 출간한 Sertum Botanicum이라는 도감에 수록됨으로써 세상에 널리 알려진 접시꽃목련의 가장 초창기 원예품종 중 하나이다. 이 품종은 이미 1825년에 프랑스 파리 근교 Montrouge(몽후쥬)에 있던 프랑스 최초의 상업적인 원예종묘사인 Cels nursery에서 판매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영국의 원예 저술가이자 국제목련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