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교잡 아잘레아 84

1501 아잘레아 '팔레스트리나' - Vuykianum hybrids

학명 Rhododendron 'Palestrina'로 표기되는 아잘레아 '팔레스트리나'는 네덜란드 보스쿱에 있는 Vuyk Van Nes tree nursery에서 캠퍼철쭉 교잡종과 Rhododendron 'J.C. van Tol'이라는 품종간의 교잡으로 1926년 이전에 육종한 이른바 Vuykianum hybrids 중 하나이다. 품종 'J.C. van Tol'은 1890년에 네덜란드에서 J.C. van Tol이라는 사람이 육종한 부모종 미상의 적색 꽃이 피는 몰리스 교잡종 중 하나로서 낙엽성 관목이다. 이 아잘레아 '팔레스트리나' 품종은 지름 40~50mm의 백색 꽃이 2~3송이씩 모여서 피는 반상록 관목이다. 부모종 중 하나인 일본 캠퍼철쭉이 반상록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등록명 : 아잘레아 '팔레스트..

1500 아잘레아 '올드 페이스풀' – 게이블 교잡종

학명 Rhododendron 'Old Faithful'로 표기되는 아잘레아 '올드 페이스풀'은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농장을 경영하면서 진달래속 육종에 전념하였던 Joseph Gable(1886~1972)이라는 사람이 개발한 이른바 Gable-Hybriden 중 한 품종이다. 그는 우리나라 산철쭉과 일본 산철쭉인 캠퍼철쭉 등을 교잡시켜 내한성이 강한 품종 개발에 힘을 쏟은 사람으로서 그가 조성한 진달래 동산은 "The Flowering Forest of Joe Gable"로 불리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진달래 육종의 메카가 되었으며 그 자신은 나중에 수많은 후배 진달래 육종가들로부터 선생님으로 불렸다. 그가 육종한 품종들에는 그의 딸 들의 이름 등 여자와 관련된 이름이 많은데 이 품종명 올드 페이스풀은 그가 ..

1499 아잘레아 '니코' – 일본 사츠키 품종 일광(日光)

학명 Rhododendron 'Nikko'로 표기하는 아잘레아 '니코'는 일본에서 1979년 이전에 등장한 품종으로 일본 영산홍 즉 사츠키 원예 품종의 5대 원종으로 불리는 코잔 즉 황산(晃山)에서 파생된 품종이라고 한다. 지름 40~50mm의 가끔 흰색 줄무늬가 있는 핑크색 꽃이 피는데 연한 핑크색에서 진한 핑크색까지 나타나며 암술대가 두드러지게 튀어 나온 것이 특징이다. 등록명 : 아잘레아 '니코' 이 명 : 영산홍 ‘일광’ 학 명 : Rhododendron 'Nikko' 일본명 : さつき 日光(にっこう)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아잘레아, 영산홍아속 부모종 : 아잘레아 ‘코잔’ 육종가 : 1979년 이전 일본 내한성 : 영하 23도 추정

1498 아잘레아 '나르키시플로룸' - Ghent 교잡종 중 하나

아잘레아 '나르키시플로룸'은 학명 Rhododendron 'Narcissiflorum'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런 품종명이 붙은 이유는 지름 30mm의 노란 겹꽃이 10송이 정도씩 모여서 피는데 그 꽃 모습이 마치 수선화 즉 Narcissus를 닮았기 때문이다. 1855년 이전에 개발된 키가 1.2m까지 자라고 잎의 사이즈가 75 x 30mm로 큰 이 낙엽성 교잡종의 정확한 부모종은 모르지만 1825년부터 벨기에 Ghent지방에서 유럽과 미국 원산의 낙엽성 철쭉들을 교잡시켜 탄생시킨 이른바 Ghent 교잡종으로 분류가 된다. 영국 왕립원예협회인 RHS로부터 우수 정원수로 선정되어 수상한 바도 있는 이 품종은 한 때 벨기에의 유명한 원예가 Louis van Houtte(1810~1876)가 육종한 품종으로 ..

1497 아잘레아 '미시즈 엘 시 피셔' – 미국서 1940년대 육종된 품종

학명 Rhododendron 'Mrs. L. C. Fisher'로 표기되는 아잘레아 '미시즈 엘 시 피셔'는 미국 뉴저지의 러더퍼드(Rutherford)에 있던 Bobbink & Atkins nursery에서 1940년에 육종한 교잡종으로서 그 정확한 부모종은 알지 못한다고 한다. 지름 45mm의 짙은 반점이 있는 적자색 겹꽃이 시즌 중간에 피는 품종으로 내한성은 영하 18도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등록명 : 아잘레아 '미시즈 엘 시 피셔' 학 명 : Rhododendron 'Mrs. L. C. Fisher'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아잘레아 부모종 : 미상 육종가 : Bobbink & Atkins 1940년 내한성 : 영하 18도

1496 아잘레아 '마사 히치콕' – 글렌 데일 교잡종 중 하나

학명 Rhododendron 'Martha Hitchcock'로 표기되는 아잘레아 '마사 히치콕'도 1940~50년대에 진달래속 육종으로 유명한, 미국 농무부에서 근무하던 공무원으로서 나중에 미국 국립수목원장을 역임한 Benjamin Yoe Morrison (1891~1966)이 개발한 이른바 Glenn Dale Hybrids 중 한 품종이다. 이 품종은 미등록종인 중국에서 백화두견(白花杜鹃)이라며 학명을 Rhododendron mucronatum으로 쓰는 품종에다가 일본에서 진여의 달(真如の月)로 쓰는 원예품종인 ‘신뇨-노-츠키’라는 품종을 교잡시켜 개발한 품종이다. 짙은 적자색 넓은 테두리가 있는 지름 75mm의 백색 꽃이 피는 품종으로서 키는 1.2m까지 자라는 상록 관목이다. 사이즈 70 x 30..

1495 아잘레아 '루이즈 다우들' – 글렌 데일 교잡종 중 하나

학명 Rhododendron 'Louise Dowdle'로 표기되는 아잘레아 '루이즈 다우들'은 1940~50년대에 진달래속 육종으로 유명한, 미국 농무부에서 근무하던 공무원으로서 나중에 미국 국립수목원장을 역임한 Benjamin Yoe Morrison (1891~1966)이 개발한 이른바 Glenn Dale Hybrids 중 한 품종이다. 이 품종은 ‘Vittatum’이라는 품종과 중국의 백화두견白花杜鹃)이라며 학명을 Rhododendron mucronatum으로 쓰는 품종에다가 일본의 원예품종인 ‘신뇨-노-츠키’라는 품종을 교잡시켜 개발한 품종이다. Rhododendron ‘Vittatum’은 일본 영산홍을 닮은 중국의 심스아잘레아에서 파생된 적자색 줄무늬가 있는 백색 꽃이 피는 원예 품종이고 백화두..

1494 아잘레아 '리틀 뷰티' - Vuykianum hybrids 중 하나

아잘레아 '리틀 뷰티'는 학명을 Rhododendron 'Little Beauty'로 표기하는데 Little Beauty라는 품종은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네덜란드에서 1950년에 개발한 상록 영산홍아속 품종이고 또 다른 한 품종은 1891년 이전에 영국 비치가문에서 육종한 인편이 있는 두견아속의 품종인데 우리나라에 등록된 품종은 국명이 아잘레아로 붙어 있는 것으로 봐서 아무래도 천리포에 있다는 전자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 품종은 네덜란드 보스쿱에 있는 Vuyk Van Nes tree nursery에서 네덜란드에서 1920년에 개발한 일본 산철쭉 즉 캠퍼철쭉의 원예 품종인 ‘Favorite’라는 품종과 일본 구루메철쭉의 한 품종인 호접무(胡蝶の舞) 즉 ‘Amoenum’을 교잡시켜 개발하였다고 한다. 꽃..

1493 아잘레아 '레모노라' – 몰리스 교잡종 중 하나

학명 Rhododendron 'Lemonora'로 표기되는 아잘레아 '레모노라'는 낙엽성 관목으로 황색 계통의 꽃이 피는 철쭉의 원예 품종으로서 네덜란드 보스쿱에서 T. Vuyk & Son이라는 농장에서 재배되던 것을 발견하고 K. Wezelenburg & Son이라는 업체에서 1912년에 명명하여 소개한 품종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품종은 벨기에 Ghent지방에서 시작된 유럽 자생종과 미국에서 도입된 철쭉간의 혼혈인 겐트교잡종이 네덜란드 보스쿱으로 넘어 와서 중국과 일본에서 도입된 황철쭉 등과 다시 교잡된 이른바 몰리스(Mollis) 교잡종이라고 불리는 품종 중 하나이지만 정확한 부모종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고 한다. 품종명 Lemonora는 여성의 이름으로 추정은 되나 정확히 누구인지는 모르지만 이 이..

1492 아잘레아 '라 로시' – 게이블 교잡종 중 하나

학명 Rhododendron 'La Roche'로 표기되는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농장을 경영하면서 진달래속 육종에 전념하였던 Joseph Gable(1886~1972)이라는 사람이 개발한 이른바 Gable-Hybriden 중 한 품종이다. 그는 우리나라 산철쭉과 일본 산철쭉인 캠퍼철쭉 등을 교잡시켜 내한성이 강한 품종 개발에 힘을 쏟은 사람으로서 그가 조성한 진달래 동산은 "The Flowering Forest of Joe Gable"로 불리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진달래 육종의 메카가 되었으며 그 자신은 나중의 수많은 진달래 육종가들의 선생님으로 불렸다. 그가 육종한 품종들에는 그의 딸 들의 이름 등 여자와 관련된 이름이 많은데 이 품종명 'La Roche'도 어느 여성의 이름으로 보인다. 이 품종은 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