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1 카스피주엽나무 - 카스피해 원산 카스피주엽나무 카스피해 인근 아제르바이젠의 코카서스지방과 이란 북부지역이 원산지인 카스피주엽나무가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도 자생 주엽나무가 있고 인근 중국에만도 자생하는 주엽나무 종류가 6종이나 되는데 어떻게 저 멀리 카스피해 원산이 우리나라에까지 .. 콩과/실거리나무아과 2019.10.25
830 주엽나무 = 쥐엄나무, 민주엽나무, 아자비과즐 그리고 주엽나무와 조각자나무의 구분점 콩과 주엽나무속 주엽나무는 우리 자생종이지만 어마어마한 가시가 줄기와 가지에 달려있는 키가 25m까지도 자라는 나무인데 이를 아는 우리 국민들은 별로 없다. 주엽이라는 그 이름만 들어 봤을 때는 한자어로 표기가 될 것 같지만 그 이명들이 주염 또는 쥐엄이나 쥐엽나무라는 것들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우리말이 틀림없어 보인다. 하지만 순수한 우리말은 아니고 중국의 조협(皂莢)에서 변한 말이라고 한다. 국어학자들은 한자어 조협(皂莢)에 나모가 붙어서 조협나모(17세기~18세기) >주엽나모(17세기) >주염나모(18세기~19세기) >쥐엄나무(20세기~현재)가 되었다고 상세하게 맨처음 ㅎ이 탈락하고 조가 주로 바뀌고 비음이 동화하여 엽이 염으로 변하여 주염나모가 되었다가 나모가 나무로 변하면서 반모음 J가 앞으로 .. 콩과/실거리나무아과 2019.10.25
829 조각자나무 = 중국 주엽 - 가시가 무시무시한 교목 조각자나무 가시가 통통한 원주형인 것이 주엽나무와 차이점이다. 조각자나무 열매가 크게 말리지 않는 것이 주엽나무와 차이점이다. 어느덧 콩과 식물도 목본 32속 중 자귀나무속 아카시아속 실거리나무속 등 이미 8개 속의 탐구를 마쳤다. 이번에는 주엽나무속에 대하여 알아보자. 주.. 콩과/실거리나무아과 2019.10.22
828 김노클라두스 디오이쿠스 - 켄터키 커피나무 김노클라두스 디오이쿠스 = 켄터키 커피나무 열매가 달린 모습 김노클라두스 디오이쿠스 = 켄터키 커피나무 20m 이상 매우 크게 자라는 교목이다. 우리나라 콩과에는 김노클라두스 디오이쿠스라는 어려운 이름으로 등록된 생소한 수종이 있다. Gymnocladus dioicus로 표기되는 학명은 원래 1753.. 콩과/실거리나무아과 2019.10.20
827 델로닉스 레기아 = 봉황목(鳳凰木), 불꽃나무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무 중 하나 델로닉스 레기아 = 봉황목, 불꽃나무 델로닉스 레기아 = 봉황목, 불꽃나무 바로 이런 꽃이 만개한 모습에 서양에서도 비교 대상이 없는 꽃나무라고 극찬을 한다. 콩과에는 흥미로운 수종이 많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 델로닉스 레기아만큼 아름다운 나무가 있을까 싶다. 우리나라 이름 델로.. 콩과/실거리나무아과 2019.10.18
826 공작실거리나무 - 세계적인 아름다운 정원수 공작실거리나무 공작실거리나무 실거리나무속에서 가장 아름답기로 유명한 수종은 뭐니뭐니 해도 공작실거리나무일 것이다.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 Poinciana pulcherrima L.로 명명하였으나 Poinciana속이 실거리나무속과 델로닉스속 등으로 분해되어 없어지자 1791년 스웨덴 .. 콩과/실거리나무아과 2019.10.16
825 멕시코실거리나무 멕시코실거리나무 꽃도 수술도 모두 노란색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가 원산인 실거리나무와 남미에서 온 극락실거리나무에 이어서 이번에는 멕시코에서 온 멕시코실거리나무를 알아보자. 19세기 미국의 가장 저명한 식물학자 Asa Gray(1810~1888)가 1861년 Caesalpinia mexicana A. Gray로 명명.. 콩과/실거리나무아과 2019.10.14
824 극락실거리나무 - 남미 원산의 아름다운 희귀종 극락실거리나무 극락실거리나무 전세계 실거리나무속에는 모두 150여 종의 식물로 구성되어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우리 자생종 실거리나무를 포함 모두 5개의 종이 등록되어 있다. 그 중에 하나는 바로 인도에서 발견된 세피아리아실거리인데 이는 이미 실거리나무에 통합되었으므로 생.. 콩과/실거리나무아과 2019.10.14
823 실거리나무(우리 자생종) = 세피아리아실거리 (외래종) 실거리나무 실거리나무 콩과 실거리나무속 즉 Caesalpinia는 1753년 린네가 이탈리아 의사겸 식물학자인 Andrea Cesalpino(1519~1603)를 기려 그의 이름으로 속명을 정한 것이다. 안드레아 체살피노는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하기 이전에 의학적 효능보다는 열매나 종자에 의하여 식물 분류를 시.. 콩과/실거리나무아과 2019.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