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0 난장이골담초 - 중국 왜금계아(矮锦鸡儿) 난장이골담초 난장이골담초는 중국 내몽고와 몽고에서 자생하는 키가 30~50cm 불과한 왜성종 골담초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왜금계아(矮锦鸡儿)라고 부르며 학명 또한 난장이라는 뜻의 종소명이 포함된 Caragana pygmaea이다. 원래 린네가 1753년 아카시나무속인 Robinia pygmaea로 명명하였던 것.. 콩과/콩아과 2019.11.30
869 북경골담초 북경골담초 북경골담초는 1909년 러시아 식물학자 Vladimir Leontjevich Komarov(1869~1945)가 북경 태항산맥(太行山脉)의 서산(西山)에서 발견하여 Caragana pekinensis Kom.이라고 명명한 키가 2m까지 자라는 관목으로서 가지는 갈색이고 어린 가지와 잎 그리고 꽃받침 등이 온통 털로 덮여 있으며 길이 1.2c.. 콩과/콩아과 2019.11.30
868 시베리아골담초 '로르베르기' 시베리아골담초 '로르베르기' 시베리아골담초는 키가 6m까지도 자라는 엄연한 나무인데도 계속 골담초라고 초(草) 즉 풀이라고 하려니 어색하다. 이렇게 목본에다가 초라는 이름을 붙이면 키가 나즈마한 관목 뿐이라면 그래도 넘어갈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시베리아골담초와 같이 소교.. 콩과/콩아과 2019.11.29
867 시베리아골담초 시베리아골담초 시베리아골담초 6m까지 자라는 소교목이다. 전세계 89종이 분포하는 골담초속의 모식종은 시베리아에서부터 중국 몽고를 거쳐 유럽에 걸쳐져 있는 카자흐스탄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자생하는 Caragana arborescens로서 우리나라 이름은 시베리아골담초이다. 이는 영어 일.. 콩과/콩아과 2019.11.29
866 참골담초 = 조선골담초 참골담초 우리나라 국표식에 참골담초로 두 개의 학명이 등록되어 있다. 그것도 모두 정명으로 말이다. 하나는 1784년 독일학자 Peter (Pyotr) Simon von Pallas(17451~1811)가 시베리아에서 발견하여 아카시나무속 Robinia altagana var. fruticosa라고 명명하였던 것을 1816년 오스트리아 태생 Wilibert Swibert Jose.. 콩과/콩아과 2019.11.29
865 좀골담초 - 몽고나 만주 시베리아 외에 북한지역에서도 자생하는 우리 자생종 좀골담초 좀골담초 골담초에 비하여 잎의 사이즈는 작고 숫자는 많으며 꽃의 길이는 약간 짧다. 전세계 골담초속은 모두 89종의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아시아와 동유럽에 자생한다. 그 중 약 60종이 중국에 자생하며 우리나라는 골담초와 좀골담초 그리고 참골담초 .. 콩과/콩아과 2019.11.28
864 반용골담초 - 골담초가 아닌 좀골담초의 변종 또는 원예종 반용골담초 1942년 네덜란드에서 채취된 이 표본 외에는 사진 하나도 구할 길이 없다.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약칭:국표식)에 골담초의 변종으로 반용골담초라는 우리 자생종이 하나 등록되어 있다. 학명은 Caragana sinica var. megalamtha Schneid로 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국명은 반용골담초라.. 콩과/콩아과 2019.11.27
863 골담초 - 중국 원산 금계아(锦鸡儿), 국내서도 서식지가 발견되어 우리 자생종으로 분류 골담초 꽃은 처음에는 노란색이지만 나중에 붉게 변하며 엽축은 대부분 탈락하지만 간혹 가시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 콩과 식물 중 미모사아과(Mimosoideae)와 실거리나무아과(Caesalpinioideae)에 속하는 식물의 탐구를 마치고 이제는 콩아과(Leguminosae)에 속하는 식물의 탐구에 나선다. 콩아과는.. 콩과/콩아과 2019.11.26
816 우리나라에 콩과에 등록된 목본 30개 속 바우히니아속 모식종 Bauhinia divaricata (미등록종) 일명 난초나무 콩과에는 중요한 농작물인 다양한 종류의 콩으로만 구성된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 콩과에 등록된 목본속의 수가 아래와 같이 무려 30개 속이나 된다. 앞으로 이 속들을 하나하나 탐구할 예정이다. 우선 그 속명들과 모식종 .. 콩과/콩아과 2019.09.28
815 콩과 - 인류에게 중요한 식용작물과 아름다운 수목들이 즐비한 과 봉황목 또는 불꽃나무로 불리는 등록명 델로닉스 레기아 콩과는 식용 콩 종류만으로 구성된 것은 절대 아니고 이렇게 아름다운 교목도 매우 많이 포함되어 있다. 콩과(科)는 난초과와 국화과를 제외하면 세상에서 가장 큰 과로서 무려 700여 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식물의 수는 약 2만.. 콩과/콩아과 2019.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