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86

1025 태산목 '클라우디아 와나마커' - 작은 꽃이 많이 오랫동안 피는 품종

학명 Magnolia grandiflora 'Claudia Wannamaker'로 표기되는 태산목 '클라우디아 와나마커'는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오렌지버그에 있는 Shady Grove Nursery의 대표 Johnny Brailsford가 1989년 선종하여 개발한 원예품종으로서 원조오가 마찬가지로 높이 18m까지 자라는 큰 나무이지만 잎과 꽃이 작은 대신에 무수하게 많은 꽃이 동시에 피면서 5월부너 9월까지 긴 개화기간을 지속한다. 그리고 피라미드형 수형도 아름다워 인기가 높다고 한다. 하지만 사이즈가 우리나라 가정에는 적합하지 않게 크고 내한성도 원종과 마찬가지로 영하 18도 정도 이므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어렵다. 품종명은 아마 어느 여자 이름인 것 같은데 누구인지 밝혀지지는 않는다. 등록명..

1024 태산목 '찰스 디킨스' - 열매가 아름다운 품종

선명하게 붉은 열매가 6~8주간 지속되는 변종으로서 미국 테네시주 윈체스터시의 Jewel Templeton씨가 테네시주 프랭클린 카운티에 있는 Charles Dickens씨의 정원에서 발견하여 소유주의 이름을 붙여 1965년 소개한 원예품종이다. 태산목과 어느 다른 종의 목련과의 교잡종인 것으로 판단이 되는데 그 수종이 넓은잎목련 즉 Magnolia macrophylla일 것이라고 추정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등록명 : 태산목 '찰스 디킨스' 학 명 : Magnolia grandiflora 'Charles Dickens'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상록 소교목 신분류 : 목련과 북미목련속 상록 소교목 원산지 : 미국 원산 태산목과 넓은잎목련의 교잡종으로 추정 육종가 : 테네시주 Jewel Templeton씨..

1023 태산목 '블랑샤르' - 좁게 직립으로 자라는 원예종

태산목 '블랑샤르'는 1989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있는 Robbins Nursery에서 선종한 원예품종으로서 키가 15m까지 자라지만 직립으로 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명 : 태산목 '블랑샤르' 학 명 : Magnolia grandiflora 'D.D. Blanchard'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상록 교목 신분류 : 목련과 북미목련속 상록 교목 원산지 : 미국 원산 태산목의 원예종 육종가 : 1989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의 Robbins Nursery 수 고 : 10~15m 꽃지름 : 20cm 내한성 : 영하 20도

1022 좁은잎태산목 = 태산목 ‘엑스마우스’

태산목은 그 이름에서 태산같이 키가 크고 웅장한 나무라는 이미지를 풍기는 미국 원산 상록 목련인데 우리나라에는 원종 외에도 그 변종 하나와 22개의 원예종이 등록되어 있어 놀랍다. 도대체 태산 같은 나무에 무슨 원예품종이 이렇게나 많을까 싶다. 여기서 두 가지를 파악할 수 있다. 하나는 태산목은 미국을 대표하는 나무 중 하나이기에 미국에서 인기가 높아 그동안 약 150종의 원예종이 개발되었지만 지금 현재까지 실제로 남아 있는 품종은 그다지 많지가 않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 22개 품종이나 등록되어 있다는 것은 국내 누군가는 유난히 태산목을 사랑한다는 것이 된다. 아마 그가 바로 미국에서 태어난 천리포수목원의 설립자인 민병갈박사가 아닌가 한다. 또 다른 하나는 태산목은 예상과는 달리 그렇게 큰 나무인 것만..

1021 태산목 – 크고 향기가 강한 아름다운 꽃이 피는 미국 원산 상록 목련

짙은 녹색의 광택이 번쩍번쩍 나는 큰 잎을 가진 상록 큰 나무에서 연꽃을 닮은 희고 거대한 꽃을 피워 강한 인상을 주는 교목을 우리나라 남부지방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데 이를 우리나라에서는 태산목(泰山木)이라고 한다. 이 나무는 내한성이 다소 약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온실이 아니면 볼 수가 없고 대전 쯤에 가서나 볼 수 있는데 국내가 아닌 중국 소주 졸정원의 호수가에 심어진 이 나무 실물을 처음 접했을 때 명패는 광옥란(广玉兰)이라고 되어 있었다. 목련을 중국에서 목란(木兰) 또는 옥란(玉兰)이라고 하는 것은 알았지만 태산목을 왜 광옥란이라고 할까 하고 나름대로 추측하다가 지름이 무려 30cm에 달하는 거대한 꽃을 보고서는 아! 가운데 심청이가 앉아도 될 만큼 꽃이 ..

1020 버지니아목련 '문글로우'

버지니아목련 '문글로우'는 미국 일리노이주 잭슨빌에 있는 Heritage Trees, Inc.의 대표 Earl Cully (1927~2017)가 그의 농장에서 1975년에 식재한 묘목 중에서 유난히 왕성하게 자라는 변이종을 발견하여 선종하고 1999년 미국 특허를 신청하여 2001년에 승인을 취득한 품종이다. 원종에 비하여 왕성하게 10m 이상 직립으로 자라고 영하 36에서도 견디는 강한 내한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크고 강한 레몬 향을 가진 꽃을 약 30일간 피우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그리고 내한성이 강하여 USDA Zone 6 또는 5에 해당하는 일리노이주에서도 상록을 그대로 유지했다고 하므로 우리나라 전역에서는 상록수로 봐도 될 듯하다. 미국 특허 신청명은 'Jim Wilson'이지만 유통..

1019 아우스트랄리스버지니아목련 - 버지니아목련의 남부 변종

미국 원산 버지니아목련에는 변종이 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우리나라에도 등록되어 있다. 학명 Magnolia virginiana var. australis Sarg. 로 그리고 국명을 아우스트랄리스버지니아목련으로 등록된 것이 그 것이다. 주로 미국 동남부지역에 자생하기 때문에 남쪽이라는 뜻의 australis가 변종명으로 붙은 것이다. 원종과 차이점은 키가 18m까지 자라서 더 크고 거의 대부분 상록이며 꽃향기가 더 진하다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실물을 보지 않고서 사진만으로는 그 차이점을 전혀 구분할 수가 없다. 1919년 미국 하버드대 아놀드수목원의 Charles Sprague Sargent (1841~1927)교수가 명명한 학명이 여전히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있는데 그 사이 원종으로 승격하여 Mag..

1018 버지니아목련 - 목련속 모식종이며 유럽 최초의 목련

미국 동부 남쪽 플로리다에서 북쪽 뉴욕주 롱 아일랜드까지의 대서양 연한 저지대나 습지에서 자생하는 반상록 새로운 교목이 영국 식물학자이자 선교사인 John Baptist Banister (1654~1692)에 의하여 발견되어 그를 파견한 런던 주교이자 식물애호가인 Henry Compton(1632~1713)에게 1688년 보내져 교구에서 자라게 되는데 이게 유럽 최초의 목련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목련속 즉 Magnolia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는 1703년보다 15년이나 앞서게 된다. 앞 1001번 게시글에서 언급한 바 있지만 Magnolia라는 속명의 사용은 프랑스 식물학자이며 그 시대 대단한 식물탐험가인 Charles Plumier (1646–1704)가 카리브해의 프랑스령..

1017 심장황목련 '미스 허니비' - 황목련 변종의 원예종

심장황목련은 미국 원산의 키가 30m까지 자라는 대교목인 황목련 즉 Magnolia acuminata 중에서 특이하게 키가 30% 정도인 6~9m에 지나지 않으며 꽃 색상이 보다 더 노란 변종을 말한다. 그 잎모양이 하트(심장)형이라서 그렇게 변종명을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라고 붙였기에 우리나라에서도 심장형 잎을 가진 황목련이라는 뜻에서 심장황목련이라고 명명한 것이다. 하지만 모든 잎이 심장형인 것은 아니다. 그런데 이 변종의 원예종으로 등록된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 'Miss Honeybee'라는 것이 있는데 이를 우리나라서는 심장황목련 '미스 허니비'라고 부르고 있다. 이는 1972년 오하이오주 페인스빌에 있는 James ..

1016 심장황목련 - 하트형 잎을 가진 황목련의 왜성 변종

미국 조지아주 오거스타에서 1790년에 처음 발견된 심장황목련은 황목련보다 키가 작고 꽃의 노란 색상이 더 진한 변종으로서 학명을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 (Spach) Dandy로 표기한다. 이는 원래 1839년 프랑스 식물학자 Édouard Spach (1801~1879)가 목련과 Tulipastrum americanum var. subcordatum Spach로 명명하였던 것인데 1964년 영국 식물학자 James Edgar Dandy (1903~1976)가 현재의 목련속으로 변경하여 재명명한 것이다. 현재 일부에서는 이를 원종인 황목련에 통합시켜서 분류하기도 하지만 아직 대부분의 학자들은 변종으로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이 변종 또한 잎이 나오면서 꽃이 피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