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86

1005 화서함박꽃나무 - 중국 모엽천녀화(毛叶天女花)

중국 사천성과 운남성 그리고 티베트가 원산인 중국명 모엽천녀화(毛叶天女花)가 우리나라에 화서함박꽃나무로 등록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목란속으로 분류할 때는 모엽옥란(毛叶玉兰)이라고 하다가 최근 천녀화속(天女花属)으로 독립시켜 분류하면서 이름을 모엽천녀화(毛叶天女花)라고 한다. 앞에서도 여러 번 언급한 바 있지만 옥란(玉兰)과 천녀화(天女花) 즉 함박꽃나무의 차이점은 잎이 난 다음 꽃이 피냐 아니면 잎이 나기도 전에 꽃이 피느냐이다. 옥란은 우리 자생종 목련이나 중국에서 오래 전에 도입된 백목련과 자목련으로 대표되는데 이른 봄에 잎이 나기도 전에 꽃을 한꺼번에 활짝 피우며 꽃송이가 위로 그리고 북쪽을 향하는 것이 특징이라면 함박꽃나무들은 늦봄부터 초여름까지 잎이 난 다음 꽃의 일부가 순차적으로 계속 피고지는..

1004 중국함박꽃나무 - 중국 원엽천녀화(圆叶天女花)

함박꽃나무의 학명 Magnolia sieboldii는 세계적으로 대부분 3개의 아종으로 구분을 한다. 원아종인 Magnolia sieboldii subsp. sieblodii는 우리나라와 중국 만주 등지에서 자생하며 중국아종인 Magnolia sieboldii subsp. sinensis는 중국 사천성에서 자생하며 일본아종인 Magnolia sieboldii subsp. japonica는 일본 관동 이서 지역에서 자생한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이들을 3개의 아종으로 구분하지 않고서 자기들 나라에 자생하는 원아종과 중국아종을 모두 원종으로 취급하여 원아종은 원종의 학명 그대로 Magnolia sieboldii라고 표기하고 중국명을 천녀목란(天女木兰)이라고 하고 중국아종은 학명을 Magnolia sinensi..

1003 함박꽃나무 = 산목련과 겹함박꽃나무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 목련속에는 그 이름이 xx목련이 아닌 xx함박꽃나무라는것이 6종이나 등록되어 있다. 뭔가 나름대로 차이점이 있길래 이렇게 목련이라는 이름을 두고 함박꽃이라는 이름을 붙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들 6종은 다음과 같다. 우리 토종 함박꽃나무와 그 하위 품종인 겹함박꽃나무 그리고 아종인 중국함박꽃나무 및 중국 원산의 화서함박꽃나무와 윌슨함박꽃나무 마지막으로 교잡종인 하이다운함박꽃나무가 그 6종이다. 목련속 수종들 중에서 이들부터 탐구하는 이유는 우리 자생종이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 함박꽃나무가 꽃 자체는 전체 목련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꽃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함박꽃나무는 숲속 골짜기에서 자라는 키가 7~10m까지 자라는 낙엽 소교목으로서 한중일 모두에서 자생하는 수종..

1002 목련과 백목련, 자목련 및 목란과 옥란 그리고 신이화 목필화 북향화의 유래

세계적인 통합 추세에 맞서 중국은 목련과를 22개 속으로 세분 원종 기준으로 약 200여 종으로 구성된 목련과의 범주에 관하여는 세계 식물학자들의 의견이 일치되는 것 같으나 목련과 내에서 속의 분류에 관하여는 매우 다양한 분류법이 난무한다. 과거 최대 17여 개의 속으로 분류하였다가 일부를 통합하여 한때 6개 속으로 축소 분류하기도 하였지만 최근에는 유전자검사에 의하여 백합나무속을 제외한 나머지 속들은 거의 모두 목련속으로 통합시키는 것이 대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경우도 목련속(Magnolia)과 Michelia(초령목)속 그리고 망글리에티아속(Manglietia)과 백합나무속(Liriodendron) 등 4개 속으로만 분류하며 서구 대부분과 일본에서는 Michelia(초령목)속마저도 목련속(Magn..

1001 목련과 식물의 특징과 하위 목련속 등의 이합집산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가 주 원산지이며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그리고 서인도제도 및 일부 남아메리카가 부원산지인 목련과(木蓮科)는 미주대륙과 아시아라는 멀리 떨어진 대륙에서 자생하는 이른바 격리분포(disjunct distribution) 식물이다. 격리분포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목련의 경우는 현재 대륙이 형성되기도 전부터 지구상에서 자생하고 있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학자들은 목련은 신생대 전반기인 제삼기(6,500만 년 전~200만 년 전)부터 지구상에서 생존해온 초창기의 현화식물(顯花植物) 중 하나로 파악하고 있다. 일부 화석 자료에 의하면 목련의 역사는 9,500만년 전까지도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그 당시는 지구상에 아직 벌이 없었기에 딱정벌레에 의하여 수분이 이루어졌으므로 목련의 심피(..

1000 식물의 분류와 지상 최초의 현화식물인 목련

생물의 분류 우주는 생물과 무생물로 구성되어 있다는데 요즘에 그 중간에 속하는 애매한 것들도 있다고 한다. 거기까지는 우리 일반인들이 쉽게 알 수 있는 영역이 아닌 것 같고 생물 즉 Life form 또는 organism은 동물과 식물로만 구성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알고 보니 Animalia(동물)과 Plantae(식물) 외에도 Archaea(고세균류) Bacteria(박테리아) Chromista (유색조식물) Fungi(곰팡이류) Protozoa(원생동물) Viruses(바이러스)등 6개의 분류군으로 더 세분한다. 이들 8대 분류군들로 구성된 생물계의 최상위 등급을 영어로는 kingdom이라고 하는데 이는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도입할 당시인 1753년에 이미 사용한 용어이다. 이 킹덤을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