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5 은목서 = 은계(銀桂)의 정명은 목서 - 목서의 품종 3 은목서라고 불리는 은계의 우리나라 정명은 목서이다. 은목서라고 불리는 은계의 우리나라 정명은 목서이다. 목서 중에서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보이는 품종이 바로 은목서라고 불리는 은계가 아닐까 한다. 그러니까 원산지 중국에서는 목서 중에서 꽃 색상이 등황색 또는 등홍색, 주홍.. 물푸레나무과/목서(계화)속 2017.02.23
284 금계(金桂) = 금목서 - 목서의 품종 2 금목서 중국명 : 금계(金桂) 금목서 중국명 : 금계(金桂) 목서를 꽃의 색상으로 구별하면 원산지 중국에서는 단계와 금계 그리고 은계 등 세 종류의 분류군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모든 목서가 확연하게 셋으로 구분이 되게 색상 차이가 뚜렷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중국에는 150여 종류의.. 물푸레나무과/목서(계화)속 2017.02.22
283 금목서 = 단계(丹桂) - 목서의 품종 1 금목서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원산지 중국에서는 단계라고 하지만 우리는 금목서라고 한다. 목서 Osmanthus fragrans 원산지 중국에서는 은계라고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은목서를 별도 등록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그냥 목서라고 하는 것이 옳다. 우리나라의 목서 분류 우리나라의 국가표준.. 물푸레나무과/목서(계화)속 2017.02.21
282 목서(木犀)와 은목서 목서 우리나라 금목서 = 중국 단계 = 일본 금목서 목서 우리나라 금목서 또는 은목서 = 중국 금계 = 일본 박황목서 목서 우리나라 은목서 = 중국 은계 = 일본 은목서 지난 2016년 1월 올린 <18 목서와 계화 종류들>은 당시 나 자신이 매우 좋아하는 나무이지만 우리나라 국립수목원의 도감.. 물푸레나무과/목서(계화)속 2017.02.20
281 미국개나리와 서양개나리 미국개나리 미국개나리 장주화 미국개나리 단주화 개나리속은 유럽의 발칸반도에서 자생하는 구주개나리를 제외하면 모두 아시아가 원산지인데 이상하게 우리나라에는 미국개나리와 서양개나리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개나리가 있다. 이게 뭔 일인가? 그런데 이들의 학명을 보니 모두 Fo..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8
280 구주개나리, 발칸반도 원산 유럽 개나리 구주개나리 구주개나리 장주화 구주개나리 단주화 개나리속은 모두 우리와 중국 일본 등 아시아가 원산지이지만 유일하게 알바니아와 세르비아 등 유럽 남동부 발칸반도가 원산지인 종이 있는데 그게 바로 구주개나리이다. 여기서 구주(歐洲)는 구라파주 즉 유럽대륙을 뜻한다. 참고로 ..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7
279 기랄디아나 개나리 = 진연교(秦连翘) 기랄디아나 개나리 = 진연교(秦连翘) 장주화 기랄디아나 개나리 = 진연교(秦连翘) 단주화 우리나라에는 당개나리와 의성개나리외에 또 하나의 중국 원산 개나리가 있다. 그게 바로 기랄디아나 개나리로 등록된 중국의 진연교(秦连翘)이다. 중국의 자생지인 섬서성..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7
278 의성개나리 = 금종화(金钟花), 개나리와 의성개나리 구분법 의성개나리 = 금종화(金钟花) 줄기가 곧추서는 것이 개나리와는 확연하게 다른 모습이다. 의성개나리 = 금종화(金钟花) 장주화 꽃이 주로 아래로 향하는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 경북 의성(義城)지방에 가면 약용 작물로 많이 재배하는 개나리가 있는데 이는 우리 자생종은 아니고 ..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7
277 당개나리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이런 처지는 모습에서 영어명 weeping forsythia가 붙었다. 우리나라 일부에서도 이를 처진개나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꽃부리의 끝이 둥근 것이 특징 중 하나 당개나리로 우니..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6
276 장수만리화 = 장수개나리, 장수만리화도 향기는 없다. 장수만리화 사진출처 : 국생정 국생정 기재문과는 달리 거기에 첨부된 위 사진에는 잎 뒷면에 털이 있는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기재문에서 꽃받침열편은 밝은 황색이라고 하였는데 위에서 보이는 색상이 과연 밝은 황색인가? 또한 이 꽃잎의 어디가 비틀려 있다는 말인가? 참으로 황당하..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