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물푸레나무과 59

302 우리 자생종 수수꽃다리 그리고 라일락과 차이점

수수꽃다리 라일락에 비하여 전혀 손색이 없게 아름답다. 수수꽃다리속을 탐구하다가 보니 수백 년 또는 수천 년부터 이땅에서 자라왔던 십여 종의 우리 자생종 나무들이 서양에서 온 라일락 단 한 종에 묻혀 수수꽃다리속 전체가 마치 서양식물인 양 우리 국민들이 인식하고 있어 무척 ..

300 라일락 = 서양수수꽃다리, Syringa(라일락속)의 모식종

서양수수꽃다리 = 라일락 정원에서 해거리를 하는 경우가 많다. 즉 한 해 많이 피면 다음 해 좀 뜸하다. 서양수수꽃다리 = 라일락 흰서양수수꽃다리로 등록되었으나 서양수수꽃다리로 통합분류한다. 서양수수꽃다리 = 라일락 우리나라 물푸레나무과에는 모두 12개 속이 등록되어 있는데 ..

298 부르크워오디목서, 데코루스목서와 중국 델라바이목서의 교잡종

부르크워오디목서 부르크워오디목서 목서속에는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된 두 개의 인기 교잡종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우리가 잘 아는 중국 목서와 일본 구골나무 사이에서 거의 자연스럽게 태어난 교잡종인 구골목서이고 또 다른 하나는 영국의 부르크워오디 앤드 스킵워스(Burkwood and Sk..

296 윤나넨시스목서 = 중국 원산 야계화(野桂花), 운남계화(云南桂花)

윤나넨시스목서 중국 원산 야계화(野桂花), 운남계화(云南桂花) 델라바이목서와 마찬가지로 봄에 개화하므로 가을에 꽃피는 금목서 은목서들과는 구분이 된다. 중국 운남지방에는 여러 종류의 목서가 자생하고 있지만 그 중 우리나라에 등록된 것으로 델라바이목서 외에 또 하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