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 207

2008 소르부스 폴그네리 – 폴그너팥배나무, 석회화추(石灰花楸)

소르부스 폴그네리라는 이름으로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마가목속으로 등록된 수종이 있다. 마가목속으로 등록된 26종 중 대부분은 국명이 xxx마가목 또는 xxx팥배나무로 등록되어 있는데 이상하게 아직도 두 종은 학명 발음 그대로 등록되어 있다. 이 소르부스 폴그네리도 그 중 하나이다. 무슨 이유로 이 수종의 이름 수정이 누락되었는지 모르지만 관례대로 한다면 폴그너팥배나무라고 해야 될 듯하다. 왜냐하면 단엽 구조를 가진 마가목속 수종들 일부에게 우리나라에서 xxx팥배나무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가목속 분리론자들에 의하여 단엽구조를 가진 다수의 수종들이 여러 다른 속으로 분리되었지만 그 경우에도 이 수종은 우리 자생종 팥배나무와 같은 속인 Alniaria속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우리 자생..

2007 중국팥배나무 - Thomsonaria속으로 변경된 미맥화추(美脉花楸)

중국팥배나무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수종이 있는데 우선 그 이름만 들었을 때는 우리 자생종 팥배나무 비슷한 중국 특산 수종인 것으로 인식하기 쉽다.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우선 우리 자생종 팥배나무가 중국에서도 자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수종이 우리 자생종 팥배나무와 아주 가까운 것도 아니다. 한때는 둘 다 마가목속 즉 Sorbus속으로 분류되었고 다시 함께 꽃받침이 탈락하는 낙악조(落萼组) 즉 Sect. Micromeles로 더 나아가 잎맥이 곧게 평행으로 잎 가장자리까지 뻗는 특성을 가진 직맥계(直脉系) 즉 Ser. Alnifoliae로 세분류되어 매우 유사한 근연종인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으나 최신 분류법에 의하면 팥배나무는 Alniaria속으로 분류되고 이 중국팥배나무는 Thomsonaria속으..

2006 대과팥배나무 - Wilsonaria속으로 변경

대과팥배나무 또한 그 이름은 팥배나무이지만 현재는 우리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마가목속인 학명 Sorbus megalocarpa Rehder로 등록되어 있다. 이 수종은 중국 사천성과 운남성 등 남방이 원산지인데 비치가문에 의하여 중국에 파견된 영국 태생 전설적인 식물채집가인 Ernest Henry Wilson (1876~1930)에 의하여 1903년에 이미 영국에 도입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학명이 부여된 것은 미국 하버드대학 아놀드수목원에 의하여 재차 중국에 파견된 윌슨이 1908년 중국 사천성 보흥현(宝兴县) 목평진(穆坪镇)에서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하버드대학 아놀드수목원의 Alfred Rehder (1863~1949)교수가 1915년 발표한 Sorbus megalocarpa Rehder가 최초이다. 우..

2005 유럽팥배나무 - 마가목속에서 Aria속으로 변경

유럽팥배나무라는 이름으로 현재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종이 있는데 학명은 팥배나무의 Aria alnifolia와는 무관한 마가목속으로 분류되어 Sorbus aria라고 표기되어 있어 어리둥절하게 만든다. 이게 팥배나무라는 것인가 아니면 마가목이라는 것인가? 이들 둘 외에도 우리나라 마가목속에는 팥배나무라는 이름을 가진 수종이 5종이나 더 있다. 단풍팥배나무 대과팥배나무 애런섬팥배나무 중국팥배나무와 헤드룬드팥배나무가 그들이다. 이들도 모두 팥배나무속 즉 Aria속이 아닌 마가목속 즉 Sorbus속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들 7종의 공통된 특징은 잎이 기수우상복엽이 아닌 단엽이라는 점에서 전형적인 마가목들과는 확연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오늘 현재 마가목속으로 분류되어 국내 등록된 수종들 중에는 잎..

2004 캐시미어마가목

캐시미어마가목은 이름 그대로 인도 아대륙의 최북단인 캐시미어 지역 원산인 마가목이다. 캐시미어 즉 Kashmir는 인도 북부와 파키스탄의 동북부 그리고 중국 남서부 등 3개국에 걸친 광범위한 지역을 말하는데 과거에는 영어로 Cashmere라고 표기하였으며 현재도 일부에서 그렇게 표기한다. 지질학자이자 식물학자이며 고생물학자인 Hugh Falconer (1808~1865)라는 스코틀랜드 사람이 1930년부터 오랫동안 인도에 거주하면서 동인도회사에서 설립한 인도 Saharanpur(사하란푸르)식물원과 캘커타식물원의 책임자 또는 인도 정부의 농업과 원예산업 고문직을 담당하면서 주변 지역에서 수많은 새로운 식물들을 발견하고 채집하여 표본을 남겼는데 이 수종도 그 속에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그가 183..

2003 소르부스 포레스티 – 포레스트마가목

마가목속 수종들은 과거에는 학명 그대로 국명으로 등록된 경우도 많았지만 최근에는 나름대로 적당한 우리 이름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거의 모두 그렇게 등록되어 있지만 아직도 학명 그대로 등록된 수종이 있다. 이 소르부스 포레스티도 그 중 하나로서 학명 Sorbus forrestii를 그대로 읽어서 등록한 것이다. 왜 일부를 남겨두었는지 그 깊은(?) 뜻은 알 수가 없다. 여하튼 이 수종은 특이하게도 1921년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이자 탐험가인 George Forrest (1873~1932)가 운남성 배음산(背阴山)에서 채집한 표본이 그동안 묻혀있다가 영국 리버풀대학에서 뒤늦게 1972년부터 관심을 가지고 파헤쳐 1921년 포레스티가 채집한 표본 19583번의 바로 그 마가목임이 밝혀진다. 그래서 ..

2002 빌모랭마가목 – 중국 천전화추(川滇花楸)

빌모랭마가목은 19세기 프랑스 식물학자인 Maurice Lévêque de Vilmorin (1849~1918)의 이름에서 온 이름이므로 마치 프랑스 등 유럽원산 마가목으로 오해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중국 사천성과 운남성 해발 2800~4400m의 고지대에서 자생하는 중국 특산 수종이다. 중국에서는 사천성과 운남성을 합한 간칭(简称)인 천전(川滇)과 마가목을 뜻하는 화추(花楸)를 합하여 천전화추(川滇花楸)라고 한다. 운남성 동부에 있는 큰 호수 일명 곤명호(昆明湖)인 전지(滇池) 부근이 과거에 전족(滇族)의 터전이었기 때문에 현재도 전(滇)이 운난성의 간칭이 되었다.  이 수종은 중국 광동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파리 선교회 소속 프랑스 신부이자 유명한 식물채집가인 Père Jean-Marie Delavay ..

2001 제협마가목 - 제엽(梯葉)마가목으로 수정을 요함

제협마가목이라고 엉뚱한 이름으로 등록된 마가목 수종이 있다. 이 수종은 Ernest Henry Wilson (1876~1930)이 중국 사천성 와산(瓦山) 해발 2000~2600m 고지대에서 채집한 표본을 기반으로 독일 식물학자인 Bernhard Adalbert Emil Koehne (1848~1918)이 Sorbus scalaris Koehne이라는 학명을 1913년에 발표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scalaris는 영어로 ladder 즉 사다리를 의미한다. 이 수종의 10~14쌍으로 이루어진 소엽편이 마치 사다리와 같이 보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원산지 중국에서도 이를 제엽화추(梯叶花楸) 즉 사다리 모양의 잎을 가진 마가목이라는 뜻으로 부른다. 그 외에도 중국에서는 표본이 발견된 자생지를 따라서 와산화..

2000 사전트마가목 – 중국 만수화추(晚绣花楸)

사전트마가목의 학명 Sorbus sargentiana Koehne은 독일 식물학자인 Bernhard Adalbert Emil Koehne (1848~1918)이 1913년에 발표한 것이다. 이 수종은 중국 사천성 서남부와 운남성 중부 해발 2000~3200m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데 영국 태생 전설적인 식물채집가인 Ernest Henry Wilson (1876~1930)이 1908년 중국 사천성 파랑산(巴郎山)에서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명명한 것이다. 어네스트 윌슨은 영국 태생으로 당초에는 영국 비치가문의 Veitch Nurseries에서 중국에 파견한 채집가이지만 임무를 완수한 후에는 미국 하버드대 부설 아놀드수목원을 위하여 채집활동을 이어가게 된다. 그 이후 쭉 미국에서 생활하다가 사망한 사람이다. 1..

1999 각시중국마가목

앞 게시글에서 본 땅마가목 외에도 왜성 마가목이 또 있다. 그게 바로 중국 운남성 서북부와 사천성 서남부 지방 해발 3000~4000m의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각시중국마가목이다. 이 수종은 1906년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이자 탐험가인 George Forrest (1873~1932)가 운남성 여강(丽江) 유역에서 발견하여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독일 식물학자인 Friedrich Ludwig Emil Diels(1874~1945)이 1912년 Sorbus reducta Diels라는 학명을 부여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reducta는 원래는 reduce 즉 감소하다라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왜성을 뜻한다. 그래서 영어 일반명이 dwarf Chinese mountain ash 또는 pygmy rowan인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