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 센달나무, 가늘고 긴잎 후박나무 센달나무 이번에는 녹나무과 우리 자생종 중 마지막으로 후박나무속 센달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후박나무속에는 전세계 100여 종이 분포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앞에서 탐구한 후박나무와 이 센달나무 두 종만 등록되어 있다. 이 또한 경남과 전남 극히 일부 지방을 제외하면 거의 제주도..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10.04
167 후박나무 그리고 중국 후박(중국목련)과 일본 후박(일본목련) 후박나무 제주도와 남부지방 일부에서만 자생하는 또 하나의 남부수종 후박나무를 알아본다. 우선 후박나무라고 하면 키가 20m까지 자라고 잎도 거의 50cm까지나 되는 일본목련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연세가 드신 분들이거나 남부수종이 자라지 못하는 중부지방에서 그런 경..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10.03
166 육박나무 육박나무 육박나무 나무 수피가 얼룩말 무늬의 6각형 조각으로 벗겨진다고 그 이름이 붙었다는 또 하나의 녹나무과의 수종 육박(六駁)나무를 탐구한다. 여기서 박(駁)은 얼룩말 박자이다. 제주도와 전남 그리고 경남 일부에서만 자생하는상록 교목인데 그 수피가 과거 해병대 얼룩무늬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30
165 녹나무과 삼출맥 나무들 구분 포인트 - 녹나무, 생달나무, 참식나무, 새덕이 평안수 녹나무속 계피나무의 일종인 난서육계의 아름다운 삼출엽맥 중국인들은 이 나무가 집안의 평안을 가져다 준다고 화분에 많이 키운다. 녹나무과를 모두 마치기 전에 일단 정리를 좀 하고 가야겠다. 모두 상록이며 혁질에 주로 긴 타원형 그리고 결각이 전혀 없고 거치 또한 거의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9
164 새덕이 = 흰새덕이 새덕이 무척 아름답게 보이지만 이른 봄에 피는 꽃이므로 크게 주목을 받지는 못한다. 새덕이 이번에는 참식나무속 또 다른 우리 자생종 새덕이에 대하여 공부한다. 이 나무는 참식나무속 모두 수종이 그렇듯이 자웅이주인데 수꽃이나 암꽃 모두에 암술이 있는데 그 암술머리가 유난히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8
163 참식나무, 노랑참식나무, 식나무와는 전혀 다른 나무 참식나무 참식나무 참식나무 이번에는 학명의 속명이 Neolitsea로 까마귀쪽나무속의 litsea에 대비 신(新)이라는 Neo가 앞에 붙은 참식나무속을 탐구한다. 그래서 까마귀쪽나무속을 목강자속(木姜子属)이라고 부르는 중국에서는 이 참식나무속을 신목강자속(新木姜子属)이라고 한다. 일본도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8
162 까마귀쪽나무 = 구럼비나무와 엘롱가타까마귀쪽 까마귀쪽나무 추석에 달나라 계수나무의 정체를 파악하다가 계수나무, 월계수, 계피나무, 생달나무와 녹나무를 거쳐 여기까지 왔으니 내친김에 몇 개 안 남은 녹나무과 수종들을 모두 섭렵하고 가야겠다. 녹나무과는 전세계 45개 속에 2,850개의 수종이 있는 방대한 과인데 다행히도(?) 우..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6
161 녹나무 = 장목(樟木), 생달나무와 차이점 녹나무 이제 녹나무속 마지막으로 녹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녹나무속에는 전세계 약 300종이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아래 4종이 등록되어 있다. 생달나무와 로우레이로이녹나무(베트남 계피나무)는 앞에서 다뤘고 둥근잎녹나무는 밖에서는 녹나무의 이명으로 처리되고 있어 생략한다.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5
160 생달나무 - 우리 토종 계피나무 생달나무 학명 : Cinnamomum yabunikkei H.Ohba 이번에는 우리나라에도 자생하는 계피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전세계에 녹나무속으로 분류되는 나무가 약 300종이 되는데 그 중에서 계피를 채취할 수 있는 나무는 겨우 10여 종이다. 그 중 하나가 우리나라 제주도와 전남 및 경남지방에 자생하는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3
159 계피와 시나몬, 계피나무, 육계나무, 실론계피나무, 인도네시아계피나무, 사이공계피나무 실론계피나무(미등록종) 학명 : Cinnamomum verum 서구인들의 입맛에 가장 적합하여 이것만을 시나몬이라 부르기도 한다. 달나라 계수나무를 탐구하다가 계화(목서)와 계수나무 그리고 월계수를 거쳐서 이제 수정과를 만들거나 커피에 타서 먹는 계피를 채취하는 나무 즉 계피나무에까지 이..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