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교잡종 180

1205 목련 '골든 선' - 황목련과 백목련의 교잡종

목련 '골든 선'은 미국 오하이오주 매디슨에 있는 David G. Leach(1913~1998)박사가 황목련과 백목련을 교잡시켜 개발한 품종이다. David G. Leach(1913~1998)박사는 미국 오하이오주에 있는 The Holden Arboretum 즉 홀덴수목원 부설 연구기관인 David G. Leach Research Station의 대표이자 미국 원예협회장을 역임한 바 있는 세계적인 만병초 육종가이다. 아직 만병초를 탐구하지 않아서 그의 이름이 생소하지만 나중에 진달래과를 다룰 때 자주 등장할 것 같다. 앞 1200번 게시글에서 다룬 목련 '아이보리 챌리스' 즉 Magnolia 'Ivory Chalice'와 목련은 아니지만 737번 게시글의 산딸나무 '마담 버터플라이'가 그가 개발한 품종이..

1204 목련 '골드 크라운' - 황목련 백목련 자목련의 복합교잡종

목련 '골드 크라운'은 학명 Magnolia 'Gold Crown'로 표기되어 어떤 혈통이 섞인 교잡종인지를 알 수가 없지만 알고보면 복잡하다. 이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핸더슨빌에 살던 저명한 육종가 August Kehr(1914-2001)박사가 미국 일리노이대학의 교수인 Joseph C. McDaniel (1912-1982)박사가 개발하여 1974년에 등록한 황색과 자색이 혼합된 색상의 꽃이 피는 브루클린목련 '우즈먼' 즉 Magnolia x brooklynensis 'Woodsman'과 자신이 선종하여 1986년 등록한 목련 '선댄스' 즉 Magnolia 'Sundance'를 1984년에 교잡시켜 7년 후인 1991년에 첫 꽃이 핀 복합교잡 품종이다. 꽃의 지름이 25cm나 되게 크며 화피편은 8~..

1203 목련 '버터플라이스' - 황목련과 백목련의 교잡종

학명 Magnolia 'Butterflies'로 표기되는 목련 '버터플라이스'는 앞 게시글에서 본 'Yellow Lantern'과 마찬가지로 미국 미시건주의 블룸필드 힐에서 평생 목련 육종에만 전념한 Phil Savage Jr. (1917~2002)가 개발한 품종으로서 '옐로 랜턴'보다 3년 늦은 1989년에 소개되었다. 하지만 교잡에 사용한 부모종은 황목련과 백목련으로 여기에다가 자목련까지 섞였던 '옐로 랜턴'과는 다르다. 필 새비지가 오하이오주에서 발견하여 1989년에 명명하여 소개한 열매가 매우 잘 맺히는 황목련 원예 품종인 Magnolia acuminata 'Fertile Myrtle'을 한쪽 부모로 사용하고 백목련 '사와다스 크림' 즉 Magnolia denudata 'Sawada's Cream..

1202 목련 '옐로 랜턴' = 심장황목련과 접시꽃목련의 교잡종

Magnolia 'Yellow Lantern'이라는 학명에 목련 '옐로 랜턴'이라는 국명으로 국표식에 등록된 노란 꽃이 피는 품종이 있는데 이는 미국이 낳은 또 한 명의 걸출한 목련 육종가인 미시건주 Phil Savage Jr. (1917~2002)가 개발한 품종이다. 미국에는 유명한 목련 육종가들이 많지만 그 중에서 노스캐롤라이나주의 August Kehr(1914-2001)박사가 개발하여 등록한 목련이 무려 31종이나 된다고 하는데 이 필 새비지 주니어가 개발한 품종은 그 이상으로 더 많은 것 같다. 여태까지는 그가 개발한 품종으로는 백목련 '사와다스 핑크' 한 품종만 다뤘지만 앞으로는 그의 이름이 자주 등장할 것 같다. 목련 전문 육종가로 목련협회장까지 역임한 그는 그의 인생 전부를 오로지 목련과 함..

1201 목련 '선댄스' - 황목련과 백목련의 교잡종

목련 '선댄스'의 학명은 Magnolia 'Sundance'로 표기하는데 여기서 품종명 Sundance는 미국에서 사람이나 지명으로 많이 쓰이며 특히 폴 뉴먼과 로버트 레드퍼드 주연의 영화 '내일을 향하여 쏴라'에서 로버트 레드퍼드가 연기한 은행 강도 이름이 바로 선댄스 키드이기에 전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그리고 이 영화가 크게 성공하자 로버트 레드퍼드가 후원하여 매년 1월에 미국 유타주에서 개최되는 독립영화와 다큐멘타리영화를 위한 국제 영화제 Sundance Film Festival 즉 선댄스 영화제는 우리 귀에도 낯설지 않다. 하지만 원래 선댄스는 대평원에서 살던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매년 늦봄에서 초여름 사이에 모여서 태양 아래서 춤을 추면서 행하는 일종의 종교의식인 sun dance에서 유래되었다고..

1200 목련 '아이보리 챌리스' - 황목련과 백목련의 교잡종

목련 '아이보리 챌리스'는 학명 Magnolia 'Ivory Chalice'로 표기되는데 품종명 Ivory Chalice는 아이보리색 성배를 뜻한다. 이 품종의 꽃 모양이 마치 성배와 같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 품종은 오하이오주 매디슨에 있는 David G. Leach Research Station의 대표이자 특히 만병초의 육종가로 유명한 David G. Leach (1913~1998)박사가 황목련과 백목련을 교잡시켜 개발하여 1985년에 발표한 품종이다. 잎이 나기 전에 화피편 9장으로 구성된 지름 16cm의 연한 노란색 꽃이 핀다. 미국에는 매디슨이라는 지역명이 매우 많아 여기저기 있는데 여기서의 매디슨은 오하이오(Ohio)주의 Lake County에 있는 마을 이름이므로 소설 '매디슨카운티의 다리'..

1199 목련 '옐로 피버' - 황목련과 백목련의 교잡종

목련 '옐로 피버'는 앞 게시글의 목련 '엘리자베스'와 마찬가지로 미국 원산 황목련과 중국 원산 백목련의 교잡종인데 이런 교잡종에 대하여는 누가 학명을 부여한 바가 없기에 그냥 넓은 의미의 목련의 원예품종이라는 뜻에서 Magnolia 'Yellow Fever'라고 학명 표기하는 것이다. 이 품종은 약간의 연한 핑크색을 띤 지름 15~20cm의 노란 꽃이 잎이 나기 전에 피지만 꽃망울일 때는 노란 색상이 진하지만 점차 아이보리 색으로 옅어지게 된다. 속성수로 잘 자라며 넓게 직립으로 키가 10m 이상 자라는 교목이며 타원형 또는 장란형 잎은 거치가 없으며 가을 단풍은 관심을 끌지 못한다. 이 품종은 미국 루이지애나주 오푸르사스(Opelousas)에 있는 Louisiana Nursery의 대표이자 육종가인 ..

1198 목련 '엘리자베스' - 최초의 노란색 목련 원예 품종

학명 Magnolia 'Elizabeth'로 등록된 목련 '엘리자베스'는 목련 육종가들 사이에서는 매우 커다란 의미를 갖고 있는 품종이다. 자연 상태에서 피는 식물의 꽃을 있는 그대로 즐기기에 결코 만족하지 못하는 서양 사람들은 목련에 관하여도 그들의 끊임없는 탐욕(?)을 여지 없이 드러낸다. 그래서 그들은 우선 꽃의 모양과 색상 그리고 개화시기 및 개화 지속 기간 등에 대하여 자기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개선을 시도하게 된다. 여기에다가 강한 내한성도 중요한 포인트이고 나무의 성장세나 전체의 사이즈와 수형 그리고 강한 꽃향기 및 심지어는 번식의 용이성도 상업성 차원에서는 그들이 원하는 중요한 품종 개발 목적 중 하나가 된다. 이런 다양한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노란색 꽃이 제대로 돋보이게 피는 목련 품종을 만..

1197 목련 '얼티미트 옐로' - 황목련과 자목련의 교잡종

학명 Magnolia 'Ultimate Yellow'에 국명을 목련 '얼티미트 옐로'로 하여 등록된 교잡 원예 품종이 있는데 이는 미국 일리노이대학의 교수이자 목련 전문 육종가로 유명한 Joseph C. McDaniel (1912-1982)박사가 브루클린목련 즉 Magnolia x brooklynensis와 미국 원산으로서 노란 꽃이 피는 황목련 즉 Magnolia acuminata를 교잡시켜서 얻은 종자에서 자란 묘목 중에서 특이한 것을 매사추세츠주 시츄에이트(Scituate)에 사는 Harry Heineman이라는 사람이 1991년에 발견 선종하여 1996년에 발표된 품종이다. 이 품종명에 대하여는 두 가지 의문점이 있다. 하나는 브루클린목련 자체가 황목련과 자목련의 교잡종인데 여기에 다시 황목련을 ..

1195 목련 '피카드즈 오팔' =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오팔'

목련 '피카드즈 오팔'도 학명 OpalMagnolia 'Pickard's Opal'로 표기하여 등록하고 있지만 이 또한 백목련과 자목련의 교잡종으로 판단하여 RHS를 비롯한 많은 기관에서 Magnolia x soulangeana 'Pickard's Maime' 즉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오팔'로 표기하고 있다. 이 품종도 앞 게시글에서 본 피카드즈 시리즈들과 마찬가지로 영국 남동부 캔터베리의 스토드마쉬(Stodmarsh)에서 농장을 하는 Amos Pickard(1913–1994)라는 사람이 개발한 Amos Pickard Magnolia Collection 중 한 품종이다. 따라서 이 목련 '피카드즈 오팔'도 접시꽃목련 '픽처'의 묘목에서 파생된 품종인데 넓게 퍼지면서 자라는 낙엽성 큰 관목으로서 기부에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