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교잡종 180

1194 목련 '피카드즈 메므'

목련 '피카드즈 메므'라고 학명 Magnolia 'Pickard's Maime'로 등록된 교잡종이 있는데 이 또한 앞 게시글의 목련 '피카드즈 가닛'이나 목련 '피카드즈 글로우'와 마찬가지로 영국 남동부 캔터베리의 스토드마쉬(Stodmarsh)에서 농장을 하던 Amos Pickard(1913–1994)라는 사람이 개발한 Amos Pickard Magnolia Collection 중 한 품종이다. 이 품종도 일본에서 도입된 접시꽃목련 '픽처'에서 파생된 품종으로서 '픽처'와 어떤 정체를 알 수 없는 수종과의 교잡에 의하여 탄생된 것으로 추정만 하고 있다. 그래서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메므'라고 하지 않고 목련 '피카드즈 메므'라고 하는 것이다. 부모종인 픽처에 비하여 꽃잎이 더 넓으며 적자색이 보다 더 짙..

1193 목련 '피카드즈 글로우' =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글로우'

목련 '피카드즈 글로우' 또한 앞 게시글에서 본 목련 '피카드즈 가닛'과 마찬가지로 영국 남동부 캔터베리의 스토드마쉬(Stodmarsh)에서 농장을 하던 Amos Pickard(1913–1994)라는 사람이 개발한 Amos Pickard Magnolia Collection 중 한 품종이다. 이 품종도 접시꽃목련 '픽처'의 묘목에서 파생된 품종으로서 와인 레드색상을 하고 있다가 점차 백색으로 꽃색상이 바래는 것이 특징인데 꽃잎(화피편)도 그다지 많아 보이지도 않지만 가끔 여러 장의 겹꽃이 피기도 하므로 그냥 목련의 원예종 형식인 Magnolia 'Pickard's Glow'로 표기하는 것 같다. 하지만 접시꽃목련 외에는 또 다른 혈통이 추가된 부모종이 정확하지 않으므로 접시꽃목련의 원예종으로도 표기를 한다..

1192 목련 '피카드즈 가닛' =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가닛'

우리나라 국표식에서는 학명 Magnolia 'Piclcard'S Garnet'으로 국명을 목련 '피카드즈 가닛'으로 하여 등록되어 있지만 세계적으로는 이를 동양 전통의 목련들인 백목련과 자목련의 교잡종인 솔란지목련 즉 접시꽃목련으로 분류하여 Magnolia x souleangiana 'Pickard's Garnet'이라고 표기하는 학자들도 많다.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 국명도 접시꽃목련 '피카드즈 가닛'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이 품종 외에도 우리나라에 Piclcard'S라는 이름이 들어 간 목련 원예품종이 7종이나 등록되어 있는데 두 종은 접시꽃목련으로 나머지 5종은 그냥 목련으로 이름이 붙어 있다. 이는 모두 영국 남동부 캔터베리의 스토드마쉬(Stodmarsh)에서 농장을 하던 Amos Pickard(1..

1191 목련 '콜럼버스' = 비치목련 '콜럼버스'

목련 '콜럼버스'로 등록된 품종은 학명을 Magnolia 'Columbus'라고 표기하고 있지만 RHS를 비롯한 많은 학자들은 이를 비치목련으로 판단하여 Magnolia x veitchii 'Columbus'라고 표기한다. 그 이유는 이 품종은 비치목련에다가 백목련을 교잡시켜 육종한 품종이기 때문이다. 비치목련 자체가 교잡종인데 다시 백목련을 재교잡시켰으므로 다교잡으로 판단하여 Magnolia 'Columbus'로 표기하지만 비치목련 자체가 백목련과 캠밸목련의 교잡종이므로 혈통으로 보면 (백목련 x 캠밸목련) x 백목련이 되므로 결국 백목련과 캠밸목련의 교잡종이므로 비치목련으로 표기하여야 옳다는 것이다. 다른 종의 혈통이 더 섞이지 않았다면 비치목련이라고 해야 이치적으로 합당한 것 같다. 직립으로 10m..

1187 톰소니아나목련 - 미국 원산 버지니아목련과 트로페탈라우산목련의 교잡종

학명 Magnolia × thompsoniana de Vos에다가 국명 톰소니아나목련으로 등록된 교잡종이 있는데 이는 영국 런던의 Mile End 지역에서 그 당시 매우 영향력있는 너서리를 운영하였던 원예가 Archibald Thomson (1752-1832)이 미국 원산의 버지니아목련에서 채취하였던 종자에서 발아한 묘목에서 특이한 나무가 자라는 것을 1808년에 발견하여 이를 번식시켜 그냥 버지니아목련이라고 유통하였는데 영국 식물학자 John Sims(1749~1831)가 이를 보고서 1820년에 버지니아목련의 변종으로 파악하여 꽃이나 잎이 크다고 Magnolia glauca var. major Sims라고 명명한 바 있다. 이 품종은 큰 관목 또는 소교목인데도 가지가 느슨하게 쭉 곧게만 볼품 없이 자..

1186 프록터목련 - 별목련과 버들목련의 교잡종

학명 Magnolia x proctoriana Rehder에 국명을 프록터목련이라고 하여 우리나라에 등록된 교잡종 목련이 있다. 이는 일본 원산의 별목련과 또 다른 일본 원산의 버들목련의 교잡종으로 추정된다. 이 교잡종의 탄생 배경은 다음과 같다. 1928년 미국의 T. R. Proctor라는 사람이 버들목련 묘목 중에서 발견하여 선종한 품종으로서 1928년에 매사추세츠의 하버드대 부설 아놀드수목원으로 보내진다. 이를 받은 아놀드수목원에서는 검증을 거쳐 1939년에 Alfred Rehder(1863-1949)교수가 교잡종으로 판단하여 원 발견자의 이름으로 Magnolia x proctoriana라고 명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 이전이던 그 이후이던 별목련과 버들목련의 교잡종은 이 학명으로 표기하여야 하는 ..

1185 비스너목련 - 함박꽃나무와 일본목련의 교잡종

학명 Magnolia x wiesneri Carr에 국명을 비스너목련이라고 등록된 목련 교잡종이 있는데 이는 바로 앞 게시글에서 본 고텐부르크목련과 마찬가지로 후박속의 일본목련 즉 Magnolia obovata와 함박꽃나무속의 우리 자생종 함박꽃나무 즉 Magnolia sieboldii와의 속간 교잡종이다. 앞 고텐부르크목련은 우리 자생종 함박꽃나무가 아닌 중국 사천성과 운남성에서만 자생하는 희귀종인 윌슨함박꽃나무 즉 Magnolia wilsonii라는 점만 다르다. 실제로 중국에서 서강천녀화(西康天女花) 또는 서강옥란(西康玉兰)이라고 부르는 윌슨함박꽃나무는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중국 동북지방에서 자생하는 함박꽃나무와 큰 차이가 없어서 일반인들은 구분하기 어렵다. 그러니 그 교잡종인들 크게 차이 날 이..

1184 고텐부르크목련 - 일본목련과 윌슨함박꽃나무의 교잡종

고텐부르크목련이라고 학명 Magnolia x gotoburgensis Nitz.로 등록된 교잡 목련이 있는데 이는 전체 면적이 약 53만평에 달하여 유럽에서 가장 큰 식물원 중 하나인 스웨덴 예테보리에 있는 Botanical Garden of Gothenburg 즉 예테보리식물원에서 큐레이터로 일하던 스웨덴 수목학자 Tor Gustaf Nitzelius(1914 ~1999)박사가 일본목련 즉 Magnolia obovata와 중국 원산의 윌슨함박꽃나무 즉 Magnolia wilsonii를 교잡시켜 탄생시킨 교잡종이다. 이를 Tor Nitzelius 자신이 1992년에 Magnolia x gotoburgensis Nitz.라는 학명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그 이전이던 그 이후이던 일본목련과 윌슨함박꽃나무의..

1183 브루클린목련 '블랙 뷰티'

브루클린목련 '블랙 뷰티'라고 학명 Magnolia brooklynensis 'Black Beauty'로 등록된 품종이 있는데 이 또한 브루클린목련을 처음으로 개발한 미국 뉴욕 브루클린식물원의 Kitchawan Research Center에서 앞 포스트에서 본 '에바마리아'나 '옐로우 버드' 또는 '해티 카탄'과 마찬가지로 미국 원산 황목련과 동양에서 건너간 자목련의 교잡으로 개발한 품종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상하게 이번에는 색상이 노란색과는 전혀 다른 짙은 암자색 꽃이 피는 품종이다. 그냥 단순히 황목련과 자목련만의 교잡만으로 어떻게 자목련 그것도 색상이 진한 '니그라' 같은 진한 색상의 꽃이 그대로 나왔다는 것인지 정말 궁금하다. 생각하건데 이 연구소의 에바마리아박사가 1954년에 자목련 '니그라'와..

1182 브루클린목련 '골든 걸'

학명 Magnolia x brooklynensis 'Golden Girl'로 표기하는 브루클린목련 '골든 걸'은 브루클린목련을 처음 개발한 브루클린식물원의 개발팀인 Evamaria Sperber박사나 Doris Stone여사가 개발한 품종이 아니다. 그렇다고 앞 1179번 게시글에서 본 브루클린목련 '우즈먼'을 개발한 미국 일리노이대학의 Joseph C. McDaniel (1912-1982)교수도 아니다. 이들과 마찬가지로 미국 원산의 황목련에다가 동양에서 도입된 자목련을 교잡시켜 노란색 목련을 개발한 육종가가 또 있었던 것이다. 그가 바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살던 세계적인 목련 육종가 August Kehr(1914-2001)박사이다. 그는 미국 뉴욕주 코넬대학에서 육종학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농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