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벗나무속 107

1764 서양자두나무 – 벚나무(Prunus)속의 모식종

우리나라에 서양자두나무라고 학명 Prunus domestica L.로 등록된 외래종이 있는데 이 수종이 바로 장미과 중에서는 가장 많은 144종이 등록된 벚나무속의 모식종이다. 모식종(模式種)이란 영어로는 type species라고 하며 속(屬)을 정의할 수 있는 종(種) 즉 쉽게 말하여 속의 기준이 되는 종을 말한다. 모식종과 비슷하면 같은 속이고 아니면 다른 속이라는 뜻이 된다. 현재 이 벚나무속에는 자두나무와 벚나무 외에도 살구나무 매실나무 복사나무 아몬드 앵도나무 이스라지 및 귀룽나무 등 매우 다양한 수종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서양에서도 처음에는 여러 속으로 분류하였다가 린네에 의하여 아몬드속과 자두나무속 둘로 줄었다가 후세 학자들에 의하여 결국 자두나무속 하나로 통합된 것이다. 그런 속의 ..

1763 아몬드 그리고 행앵도리(杏櫻桃李)

장미과 수종으로 국내 등록된 540종 중 앞에서 이미 탐구를 마친 장미속을 제외한 나머지 목본 탐구를 이제부터 시작한다. 그 첫 번째 탐구대상으로 우리 자생종이 아닌 외래종인 아몬드부터 시작한다. 널리 알려진 수많은 우리 자생종 유실수나 아름다운 벚나무를 제쳐두고 웬 아몬드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장미과를 장미아과 등 3개의 아과로 분류할 때 가장 큰 아과가 바로 아몬드아과 즉 Amygdaloideae이며 앞으로 탐구할 대상이 거의 모두 아몬드아과로 분류되는 수종들이기 때문이다. 장미과 아몬드아과 아몬드족 벚나무속(Prunus)으로 분류되는 낙엽성 관목 또는 소교목인 아몬드는 현재 비록 아몬드아과의 모식종은 아니지만 1832년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인 George Arnott Walker-Arnott경(1..

103 상록 카롤리니아나귀룽과 월계수귀룽 그리고 월계수

우리나라에 귀룽나무 종류로는 귀룽나무와 서울귀룽나무 등 자생종 5개와 외래종 3개가 등록되어 있는데 그 중 상록인 캐롤라이나귀룽나무 하나만 제외하고는 모두 앞에서 살펴 봤다. 이번에는 그 나머지 하나와 흑해원산인 또 다른 상록 월계수귀룽나무라는 것도 간단하게 알아본다. 추위에 약하여 우리나라서 노지 월동은 일부 남부지방을 제외하고는 어려운 수종들이다. 등록명 : 캐롤라이나귀룽나무 학 명 : Prunus caroliniana (Mill.) Aiton 분 류 : 장미과 벚나무속 상록 교목 신학명 : Padus caroliniana Mill. 1768 신분류 : 장미과 자두아과 귀룽나무속 원산지 :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주 등 영어명 : Carolina laurel cherry 수 고 : 5 ~ 13m 개화기 ..

102 세로티나벚나무(미국귀룽나무)와 귀룽나무의 차이점

세로티나벚나무 우리나라에 아직 등록되지 않은 종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나무 세로티나벚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북남미대륙이 원산지이며 미국에서 도입되었기에 미국귀룽나무라고 알려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왜 이나무가 아직까지 등록되지 않았는지 의문이다. 정말 ..

101 귀룽나무 (구룡목), 흰털귀룽나무, 서울귀룽나무, 와테레이귀룽, 콜로라타귀룽

귀룽나무 귀룽나무! 일반인들은 별 관심이 없는 나무이지만 실제로는 내가 사는 여기 양평 주변에서는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이다. 봄이면 연두색 잎이 난 가지 끝에서 나무를 온통 다 덮을 기세로 푸짐하게 핀 총상꽃차례의 하얀 꽃차례가 바람이 불면 넘실대는 모양이 마치 아홉 ..

97 전설의 선과 반도(蟠桃) = 감복사 - 농가 유망 수종

감복사 이번에는 중국 전설의 선과(仙果) 반도에 대하여 알아본다. 세상에 위와 같이 생긴 복숭아도 있다. 이게 바로 중국 곤륜산에 산다는 전설의 선녀 서왕모가 인간 세상에 한두 번 내려올 때 가져와 주나라 목왕과 한나라 무제와 나눠 먹었으며 동방삭이나 손오공이 훔쳐 먹었다는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