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 312

1381 카토바만병초 - 미국 동남부 원산 아름다운 수종

카토바만병초라는 국명으로 등록된 Rhododendron catawbiense는 북미 대륙의 동쪽 캐나다 북동부 거의 끝에서부터 미국 남부 앨라배마주까지 남북으로 뻗어 있는 장장 2,400km나 되는 애팔래치아산맥의 남쪽 끝자락인 미국 버지니아주 남부과 앨래배마주 북부에서 자생하는 키가 3m인 상록 관목이다. 주 자생지가 과거 인디언 카토바족이 거주하던 카토바(Catawba)강 유역이라고 프랑스 식물학자이자 탐험가인 André Michaux(1746~1802)가 그렇게 명명한 것으로 그의 사후 아들이자 역시 식물학자인 François André Michaux(1770~1855)에 의하여 1803년 발간된 그의 유작 Flora Boreali-Americana라는 도감에 수록이 되어 있다. 지름 3~4.5cm..

1380 코카서스만병초 - 코카서스지방과 터키 원산 왜성 관목

유럽과 서아시아의 경계에 있는 흑해 주변에서 만병초가 몇 종 자생하는데 그 중 하나는 우리가 유럽만병초라고 부르는 Rhododendron ponticum으로서 이 수종이 바로 만병초아속의 대표격인 모식종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유럽만병초의 원종은 지역적으로는 흑해를 둘러싸고 있는 아시아지역에서 자생하여 과거 그 지역에 있던 폰투스왕국의 이름을 따서 린네가 그렇게 학명을 붙였지만 나중에 유럽지역인 불가리아 등지에서도 일부 자생지가 발견되었고 또한 유럽만병초의 변종 하나가 스페인과 포르투칼 등 이베리아반도에서 발견되었으므로 결과적으로 유럽만병초라는 이름이 완전 엉뚱한 이름은 아니게 되었다. 그리고 흑해 남동쪽 터키 아르트빈지역에서 스미노프만병초와 운게른만병초가 발견되어 각각 발견자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1379 운게른만병초 - 터키와 코카서스지방 원산

이 수종은 1885년 터키 동북부 그 당시 러시아이던 코카서스지방과의 경계에 가까운 지역인 아르트빈(Artvin)에서 독일 식물학자인 Franz Baron Ungern-Sternberg(1808~1885) 일행에 의하여 발견되어 이듬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에서 활동하던 독일 식물학자인 Ernst Rudolf von Trautvetter (1809~1889)에 의하여 명명된 것인데 종소명은 운게른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같은 지역에서 같은 시기에 발견된 스미노프만병초와 닮은 점이 많은 운게른만병초는 키가 2.4~6m까지 직립으로 자라며 길이 20~25cm인 잎은 도피침형으로 뒷면에 갈색 털이 밀생하지만 전면은 스미노프만큼 광택이 나지는 않는다. 꽃은 백색 또는 연한 핑크색으로 ..

1378 스미노프만병초 - 주름 꽃잎과 은색 잎이 특징인 터키 원산

1900년대까지만 하여도 원산지 일본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규슈 남단 산악 섬인 야쿠시마의 높은 산 정상 부근에서 주로 자생하는 야쿠시마만병초는 1921년 일본 식물학자 나카이에 의하여 Rhododendron yakushimanum라는 이름으로 신종발표 되었는데 그로부터 10여 년 후 일본 원예식물 수출업자로 유명한 코이치로 와다에 의하여 1934년에 영국으로 건너 가 금융재벌 로스차일드가문의 엑스베리 정원에 심어지게 된다. 거기서 영국 왕립원예학회의 위슬리정원으로 분양된 품종이 1947년 첼시꽃박람회에서 최우수 품종상을 받으면서 ‘코이치로 와다’라는 품종명이 붙게 된다. 그리고 1980년대 초쯤 미국의 유명한 만병초 육종가인 오하이오주 데이비드 리치박사에게로 분양된 종자에서 ‘핑크 파라솔’과 ‘미스..

1377 야쿠시마만병초 '미스트 메이든'

야쿠시마만병초 ‘미스트 메이든’은 야쿠시마만병초의 원예품종으로서 꽃이 처음 분홍색으로 피었다가 나중에 백색으로 탈색되며 꽃이 진 다음 나오는 새 잎이 처음에는 회백색 털로 덮여 마치 분 바른 은색 모습으로 아름답게 나오다가 나중에 광택이 있는 녹색으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바로 그 회색 털로 덮여 있기 때문에 가뭄도 강하고 강한 태양에서도 강하며 내한성도 강하다고 한다. 이 품종은 미국 오하이오주에 있는 홀덴수목원 부설 연구기관인 David G. Leach Research Station의 대표이자 미국 원예협회장을 역임한 바 있는 세계적인 만병초 육종가 David G. Leach(1913~1998)박사가 그의 화원에서 처음 발견한 것인데 그 탄생 과정이 명확하지는 않다. 정확한 연도는 알려지지 ..

1376 야쿠시마만병초 - 일본 규슈 야쿠섬 원산 세계적인 인기종

앞의 대만 원산 미소만병초에 이어서 이번에는 일본 원산 아름다운 만병초 한 종을 알아본다. 학명 Rhododendron yakushimanum Nakai에 국명을 야쿠시마만병초라고 등록된 상록 관목이다. 이는 일본 규슈 가고시마현 남단 오스미반도(大隅半島)에서 약 60km 남쪽에 위치하는 면적 505km²의 야쿠시마(屋久島)라는 섬에서만 자생하는 일본 고유종이다. 그래서 일본이름이 야쿠시마 샤쿠나게(ヤクシマシャクナゲ) 즉 옥구도 석남화(屋久島石楠花)이고 종소명도 일본학자 나카이에 의하여 1921년 그렇게 명명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이름도 자연스럽게 야쿠시마만병초가 된 것이다. 제주도 면적의 1/3도 안 되는 작은 섬에 한라산급 높이의 산이 무척 많아서 일본에서는 팔중악(八重岳) 또는 해상알프스라고도 ..

1375 미소만병초 - 꽃과 잎이 아름다운 대만 특산 미소두견(微笑杜鵑)

이제부터는 우리나라에 등록종 만병초아속의 외래종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제까지 진달래속 만병초아속으로는 모식종인 유럽만병초와 우리 자생종 만병초 및 노랑만병초를 탐구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만병초아속 중에서도 꽃차례가 긴 조로 세분류되어 subsection Pontica를 구성하는데 중국에서 이를 알기 쉽게 장서두견아조(長序杜鵑亞組)라고 부른다. 꽃차례 즉 화서(花序)가 길다는 이야기인데 아직 짧은 만병초들을 만나보지 못하여 실감나지는 않는다. 여하튼 우리나라에 등록된 만병초 중에서는 이들 꽃차례가 긴 아조에 속하는 수종들이 가장 많아 무려 10종이나 된다. 이번에는 그 중 하나인 대만 원산의 미소만병초를 알아본다. 백색 꽃이 아름답게 피는 상록 관목인 미소만병초는 대만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인데 학명을 Rh..

1374 노랑만병초 - 백두산과 시베리아 등 극한지에서 생존하는 관목

전세계 만병초들은 대부분 아열대 기후인 중국 남서부지방에 자생하지만 특이하게 우리나라 백두산 인근 지역과 중국의 만주 그리고 극동러시아 사할린이나 캄차카반도 및 일본 홋카이도에서 중부까지의 그야말로 세계에서 가장 추운 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키가 겨우 주로 10~30cm인 왜성종이 있는데 이게 바로 노랑만병초이다. 이 수종은 온난한 기후에서는 잘 적응하지 못하여 우리나라 남한에서는 자생하지 않는 줄 알고 있었는데 2007년 설악산에서 자생지가 확인되어 40년 만에 문헌으로만 알려졌던 실체를 찾았다고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감격에 차서 발표한 바 있다. 일부 언론에서는 설악산이 노랑만병초의 남방한계선이라고도 했다. 그런데 글쎄 40년 전에 뭘 어쨌다는 것일까? 그래서 알아보니 1963년 성균관대 정태현교..

1373 만병초 = 홍만병초 - 독성이 있는 식용불가식물

만병초는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좁은 의미의 만병초로서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백두산에서부터 백두대간을 타고 내려와 지리산까지 고산지대에 자생하며 또한 울릉도에서도 많이 자라는 특정 상록 관목을 말한다. 또 다른 하나인 넓은 의미의 만병초는 전세계에서 자생하는 이와 비슷한 진달래속 수종들을 통칭하는 것인데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진달래속에서 주로 비늘이 없는 상록수들인 만병초아속으로 분류되는 수종들을 아우르는 말이다. 우리나라 국표식에는 이 아속으로 분류되는 수종 27종이 등록되어 있다. 이번에는 그 중에서 만병초라는 정명에 학명 Rhododendron brachycarpum으로 등록된 특정 수종에 대하여 파악해 본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만병초는 협의의 만병초와 홍만병초 그리고 노랑만병초 등 모두 3..

1372 유럽만병초 '바리에가툼'

유럽만병초인데 키가 전반적으로 작고 잎이 좁으며 가장자리 물결파가 있는데다가 크림색 무늬가 있는 원예품종이 유럽만병초 '바리에가툼'이라고 등록되어 있다. 등록명 : 유럽만병초 '바리에가툼' 학 명 : Rhododendron ponticum 'Variegatum'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만병초아속 원산지 : 유럽만병초의 원예품종 수 고 : 1.5~2m 개화기 : 5~6월 내한성 : 영하 23도 주 의 : 꽃과 꿀에 독성이 있어 식용을 삼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