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 152

941 회화나무 '콜룸나리스' - 원주형으로 직립하는 회화나무 원예품종

회화나무 '콜룸나리스' 회화나무 '콜룸나리스'는 라틴어로 된 학명 Styphnolobium japonicum 'Columnaris'을 그대로 따라서 부른 이름이다. 라틴어 Columnaris는 영어로는 Columnar(컬럼너)인데 원주형 즉 원기둥 모양이라는 뜻이다. 식물에서 이런 형태를 가진 변종들이 더러 있는데 이를 서양에서는 Colum..

938 회화나무 - 중국에서 국괴(国槐) 옥수(玉树) 선수(仙树)로 불리며 숭상받는 나무

회화나무 회화나무 회화나무는 우리나라에 언제부터 생존하고 있었는지 정확히는 모르지만 이미 삼국시대 백제 2대왕인 다루왕 시절에 궁궐의 회화나무가 스스로 말라 죽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 제23권 백제본기에 등장한다. "多婁王 二十一年, 春二月,(다루왕 21년 춘2월) 宮中大槐樹自..

937 클라드라스티스 켄터키 = 클라드라스티스 루테아 - 미국향괴(美国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켄터키 = 미국향괴(美国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켄터키 = 미국향괴(美国香槐) 이런 만개하는 모습은 해를 걸러 2~3년에 한 번씩 볼 수 있다고 한다. 클라드라스티스 루테아는 유달회화나무속 중 유일하게 미국에서 자생하는 수종이다. 속을 구성하는 9종의 식물 중 8종이 동..

936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유달회화나무속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클라드라스티스 시넨시스 = 중국 소화향괴(小花香槐) 분홍색 또는 담황색 꽃도 있어 유달회화나무 즉 시협향괴(翅荚香槐)와 구분이 된다. 유달회화나무라고 부르다가 최근에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라고 부르는 중국과 일본 원..

935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 유달산에 자생하는 것으로 오동정한 외래종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클라드라스티스 플라티카르파 = 유달회화나무 우리나라 목포 유달산에 가면 그동안 국내서는 못 보던 회화나무 유사한 특이한 콩과 교목이 있는데 이를 콩과 콩아과 회화나무족 Cladrastis platycarpa로 학계에서 동정하였다. 이 수종은 그동안 ..

933 개물푸레나무(털다릅나무) - 물푸레나무가 아닌 다릅나무의 변종

개물푸레나무 = 털다릅나무 개물푸레나무 = 털다릅나무 줄기 잎자루 잎 특히 뒷면에 털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다릅나무는 회화나무의 근연종이라서 중국과 일본에서는 각각 조선회화나무나 개회화나무라는 뜻으로 부르고 있는데 우리나라만 겉과 속이 다르다는(?) 뜻을 가진 독창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