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가막살나무 가막살나무 이번에는 산분꽃나무속(Viburnum) 나무들 중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 속의 기본종으로 취급받는 가막살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기본종이란 뜻은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 수종 즉 가막살나무를 이 나무가 속한 속명으로 하고 있다는 말이다. 즉 우리는 Viburnum을 산분꽃나무속으로 .. 인동과/산분꽃나무속 2016.05.22
111 덜꿩나무와 가새덜꿩나무, 개덜꿩나무 덜꿩나무 산분꽃나무속 중에서 어떻게 보면 가장 널리 알려진 나무가 덜꿩나무가 아닐까 한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덜꿩나무 자체가 전국 야산에 워낙 흔하게 자생하고 있는 점이고 또 다른 하나는 라나스 덜꿩나무로 알려진 털설구화 '라나스'가 조경수로서 인기가 높아 널.. 인동과/산분꽃나무속 2016.05.16
110 배암나무(Viburnum koreanum) 배암나무 산분꽃나무속 그 일곱 번째로 비록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은 아니지만 우리나라 이름이 들어간 희귀종 배암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중국에서는 길림성 장백산구에 분포하며 일본에는 북해도에만 자생하며 우리나라는 주로 북한에 자생하는데 남한에서는 설악산에.. 인동과/산분꽃나무속 2016.05.16
109 불두화(佛頭花)와 여타 Snowball 나무들 불두화 불두화 오늘 음력 4월 초파일 부처님오신날 해마다 이맘때쯤 꽃을 피우며 그 꽃 모양이 부처님의 머리를 닯았다고 불두화란 이름을 가진 나무를 목본 109번째로 탐구한다. 꽃이 햐얀 공같이 생겨서 아름다워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인기있는 흔한 나무이지만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 인동과/산분꽃나무속 2016.05.14
108 백당나무(白堂), 털백당나무 그리고 수입 백당나무들 야산에서 자생하는 백당나무 산분꽃나무속 목본탐구 그 다섯 번째로 백당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백당나무는 종류는 불두화를 포함 모두 10개 종이다. 목본탐구 여행은 결코 쉬운 법이 없다. 주변에서 흔하게 보는 우리나라 자생종 나무라서 이번 백당나무는 간단하.. 인동과/산분꽃나무속 2016.05.12
107 분단나무(粉團)와 분단나무 핑크 파라솔 그리고 털설구화 라나스와 차이점 분단나무 산분꽃나무속 목본 중 이번에는 앞에서 다룬 털설구화와 매우 비슷한 분단나무를 탐구한다. 분단이란 백분을 뜻하는 분(粉)자와 둥글단(團)자가 결합한 희고 둥근 꽃을 뜻하는 이름이다. 그런데 위에서 보듯이 분단나무에는 그런 꽃은 없다. 다만 넓고 편평한, 가장자리에 흰 장.. 인동과/산분꽃나무속 2016.05.10
106 설구화 소투스, 설구화 팝콘, 설구화 로제움 설구화 '팝콘' 이제 털설구화의 원예종 설구화(雪球花)를 탐구한다. 일본 에도시절에도 있었다니까 최소한 그 이전에 일본에서 개량된 것으로 보인다. 원종은 일본의 야생 털설구화인 야부데마리(ヤブデマリ : 藪手毬)인데 이 설구화는 털설구화와는 달리 가운데 양성화가 없이 모두 장.. 인동과/산분꽃나무속 2016.05.09
105 털설구화 라나스, 털설구화 핑크뷰티, 털설구화 다츠 레드 로빈, 털설구화 사스타 등 털설구화 '라나스' 산분꽃나무속(viburnum) 나무 탐구는 라나스로 대표되는 털설구화부터 시작한다. 우리나라 야산에서 볼 수 있는 나무는 아니지만 수목원이나 우리 주변 공원은 물론 가정의 정원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데 그 이름을 많은 사람들이 라나스덜꿩나무로 잘못 부르기 때문.. 인동과/산분꽃나무속 2016.05.08
104 백당나무 불두화 덜꿩나무 가막살나무 분단나무 설구화 분꽃나무로 대변되는 산분꽃나무속 이게 우리나라에 란타나분꽃나무로 등록되어 있는 원조 바이버넘(viburnum)이다. 이제 오늘부터는 장미과 벚나무속은 잠시 제쳐두고 산분꽃나무속으로의 목본탐구 여행을 출발한다. 개벚지나무나 사옥, 열녀목, 복사앵도나무 등 아직 벚나무속에는 내가 관심은 있으나 잘모르거나 제대로 .. 인동과/산분꽃나무속 2016.05.07
103 상록 카롤리니아나귀룽과 월계수귀룽 그리고 월계수 우리나라에 귀룽나무 종류로는 귀룽나무와 서울귀룽나무 등 자생종 5개와 외래종 3개가 등록되어 있는데 그 중 상록인 캐롤라이나귀룽나무 하나만 제외하고는 모두 앞에서 살펴 봤다. 이번에는 그 나머지 하나와 흑해원산인 또 다른 상록 월계수귀룽나무라는 것도 간단하게 알아본다. 추위에 약하여 우리나라서 노지 월동은 일부 남부지방을 제외하고는 어려운 수종들이다. 등록명 : 캐롤라이나귀룽나무 학 명 : Prunus caroliniana (Mill.) Aiton 분 류 : 장미과 벚나무속 상록 교목 신학명 : Padus caroliniana Mill. 1768 신분류 : 장미과 자두아과 귀룽나무속 원산지 :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주 등 영어명 : Carolina laurel cherry 수 고 : 5 ~ 13m 개화기 .. 장미과 벗나무속/귀룽나무아속 2016.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