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 아로니아 - 레드, 퍼플, 블랙 초크베리 그리고 윤노리나무 우리집 아로니아 레드 쵸크베리 등록명 : 아로니아, 학명 : Aronia arbutifolia (L.) Pers. 처음에는 섬개야광나무로 다음은 꼭지윤노리나무로 알았던 나무이다. 나뿐만 아니라 온 세상이 헷갈려하는 아로니아와 윤노리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몇 년 전에 섬개야광나무 화분을 하나 산 적이 있다.. 장미과 아몬드아과/사과나무족 2016.03.19
71 노린재나무, 검노린재나무, 섬노린재나무와 검은재나무 및 사철검은재나무 노린재나무 나에게 우리나라 야생 꽃나무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공부하게끔 계기를 만들어준 나무가 바로 노린재나무이다. 몇 해 전 어느 봄날 뒷산에 올랐다가 큰 나무 숲 사이에서 눈부시게 하얀 꽃을 소복하게 피우는 나즈막한 나무를 발견하게 되었다. 주위가 큰 나무 그늘로 약간 ..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3.16
70 분홍말발도리 등 수입 말발도리들 한택수목원에 있는 핑크색 말발도리의 멋진 모습이다. 말발도리는 잎의 털 유무와 모양 그리고 수술의 모양 등으로 구분하므로 꽃색상만 보고서 판단할 수는 없다. 분명 아래 등록된 품종 중 하나일 것인데 곧 정확한 품종을 알아서 수정할 계획이다. 이제 말발도리속(Deutiza) 나무 공부 .. 수국과 기타속/말발도리속 2016.03.15
69 빈도리와 만첩빈도리 그리고 각시말발도리 만첩빈도리 말발도리속 나무 중에서 우리 자생종은 아니지만 우리나라 자생종보다 더 많이 알려졌고 특히 정원수로서 더 널리 보급되고 있는 빈도리와 만첩빈도리 그리고 각시말발도리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는 다른 대부분의 정원수들도 그렇지만 우리의 산과 들에서 야생하는 아름다.. 수국과 기타속/말발도리속 2016.03.14
68 매화말발도리와 바위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말발도리속 나무의 두 번째로 매화말발도리와 바위말발도리 및 꼬리말발도리를 알아본다. 꼬리말발도리는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이며 매화말발도리도 우리 고유종으로 알았으나 최근 일본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바위말발도리는 중국에서도 구치수소 또는 이엽.. 수국과 기타속/말발도리속 2016.03.14
67 말발도리와 물참대 그리고 털말발도리 물참대 가끔 식물공부를 하다보면 참으로 부질없는 짓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뭐 별 중요하지도 않고 특별한 이유도 없이 그냥 어떤 사소한 부분에 집착하여 깊이 파고들어 운좋게 무엇인가를 찾아내면 무슨 대단한 것이라도 발견한 양 자기 스스로 도취되어 매우 만족하고 가.. 수국과 기타속/말발도리속 2016.03.12
66 생강나무속 나무들 감태나무 비목나무 털조장나무 뇌성목 생강나무(生薑) 주변에서 매우 흔하게 볼 수 있어 별 매력을 못 느끼는 나무 생강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내가 느끼는 생강나무는 잎에서 생강 냄새가 난다는 것과 봄에 일찍 꽃을 피워 비슷한 시기에 피는 산수유와 구분이 어렵다는 것 그리고 녹나무과 수종 중에서는 흔하지 않게 상록..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3.08
65 산수유와 미국산수유 그리고 그 원예종들 산수유(山茱萸) 오랫동안 우리 집에서 봄의 전령으로 대접받던 산수유에 대하여 알아본다. 서울이 지척인데도 한강의 거대한 인공호 팔당댐 때문인지 겨울이 매우 춥고 긴 양평에서는 봄이 무척이나 기다려진다. 아름다운 자연을 즐기려고 전원생활을 택한 사람들에게는 앙상한 가지만 .. 층층나무과/층층나무속 2016.03.07
64 호야(Hoya carnosa) = 옥접매(玉蝶梅) 호야 Hoya carnosa (L.f.) R.Br. 그 이름이 특이하고 꽃 모양 또한 특이한 호야에 대하여 알아본다. 덩굴성 다육 관목인 호야는 일본과 중국에도 자생하지만 주로 열대 아시아와 호주가 원산이다. 호야라는 이름은 최초 묘사자인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이 동료이자 친구인 영국의 저명한 식물..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3.05
63 포인세티아(Euphorbia pulcherrima) 관리방법 포인세티아(Euphorbia pulcherrima) 대부분의 사람들이 크리스마스 시즌에 매우 선명한 붉은 색을 뽐내는 이 나무에 반하여 관심을 갖지만 자세히 보면 그 건 꽃이 아니라 잎, 더 정확하게 말하면 포엽이라는 데서 놀란다.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너무나도 널리 사용되는 이 나무 알고보면 흥미로.. 기타 과 식물/대극과 2016.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