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 207

1968 수사해당(垂絲海棠) – 엉뚱한 서부해당으로 개명당한 정원수 지존

수사해당이라고 꽃사과나무 중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정평이 난 수종이 있다. 학명을 1890년 독일 식물학자인 Bernhard Adalbert Emil Koehne(1848~1918)이 명명한 Malus halliana Koehne로 표기하고 있다. 이 수종은 워낙 아름답기로 유명하여 사과나무속 수종들이 20여 종이나 자생하는 중국에서도 서부해당(西府海棠) 즉 Malus × micromalus와 더불어 가장 아름다운 꽃사과나무 두 종으로 선정된다. 여기에 명자나무속 명자꽃(산당화) 즉 첩경해당(貼梗海棠)과 중국명자꽃 즉 모과해당(木瓜海棠)을 포함하여 예로부터 사대해당(四大海棠)으로 불렸다. 근거는 명대인 1621년 완성한 400여 종의 재배식물을 다룬 식물학 대작인 왕상진(王象晋, 1561~1653)의 이여..

1967 털야광나무 – 야광나무를 닮았지만 전혀 다른 자생종

털야광나무라는 우리 자생종 꽃사과나무가 있는데 그 이름만 들어 봤을 때는 마치 야광나무와 무슨 연관이 있는 것처럼 들린다. 하지만 등록된 학명을 보니 Malus mandshurica (Maxim.) Kom. ex Skvortsov로 되어 있어 학명 Malus baccata (L.) Borkh.인 야광나무와는 전혀 다른 수종임을 나타낸다. 한중일이 원산지인 이 수종을 중국에서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털야광나무라는 의미로 모산형자(毛山荆子)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아무래도 야광나무와 어떤 연관성이 반드시 있어야 말이 된다. 그렇다. 알고 보니 얼마 전까지만 하여도 우리나라에 등록된 학명이 Malus baccata var. mandshurica (Maxim.) C.K.Schneid라고 야광나무의 변종으로 되어 있었..

1966 야광나무 – 토종 키 큰 꽃나무 중 최고의 정원수

필자는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자생종으로서 키가 큰 교목인 꽃나무 중에서는 야광나무 만한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양평군 단월면에 가면 키가 10m가 넘는 야광나무 약 100그루가 무리 지어 계곡 좌우로 늘어서 자생하는 곳이 있다. 매년 야광나무 꽃이 만개할 때면 지인들과 함께 거기를 방문하는데 동행하는 사람마다 털이 전혀 없는 선명한 녹색 잎 바탕에 수만 송이의 순백색 꽃과 꽃망울이 아름답게 어우러진 모습에 감탄을 자아내며 곧바로 야광나무의 열렬한 애호가가 된다. 그런데 이렇게 아름다운 수종이 왜 우리 주변에서는 흔하게 보이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오래되면 키가 최대 14m까지도 자라는 교목이라서 작은 가정의 정원에는 다소 부담스럽다고 하더라도 공원이나 부지가 넓은 관공서나 학교 등 공공시설 또는 전신주가 ..

1965 벚잎꽃사과나무 = (구)꽃사과, 애기사과, 추자(楸子) 내자(柰子)

벚잎꽃사과나무라는 수종이 있다. 학명을 Malus × prunifolia (Willd.) Borkh.로 표기되어 교잡종임을 밝히고 있다. 왜냐하면 유전자 분석 결과 이 수종은 능금나무와 마찬가지로 중국 신장 위구르 원산인 신강야평과(新疆野苹果) 즉 Malus sieversii와 중국 북방지역과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야광나무 즉 Malus baccata의 교잡 혈통임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 북방지역에서 워낙 오래 전에 교잡이 이루어졌기에 하나의 종과 같은 모습을 취하고 있어 교잡종으로 표기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국제적으로는 학명을 그냥 Malus prunifolia라고 표기한다. 이점에 있어서는 사과나무나 능금나무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 수종 벚잎꽃사과나무는 능금과는 부모종이 같은 형제관계이고..

1964 능금나무 = 임금(林檎), 정원수로 매우 적합한 수종

그는 그리움에 산다.그리움은 익어서스스로도 견디기 어려운빛깔이 되고 향기가 된다.그리움은 마침내스스로의 무게로떨어져 온다.떨어져 와서 우리들 손바닥에눈부신 축제의비할 바 없이 그윽한여운을 새긴다. 김춘수(金春洙, 1922~2004)시인이 1959년 발표한 능금이라는 시의 1연이다. 달콤한 향이 나는 새빨간 자그마한 능금이 저절로 떠오른다. 다음은 1968년 발표된 전설의 가수 배호(裵湖, 1942~1971)의 능금빛 순정이라는 노래의 가사이다. 사랑이 그립거든 손짓을 해요 말못할 순정은 빨간 능금알 수줍어 수줍어 고개 숙이다조용히 불러주는 능금꽃 사랑 사랑을 따려거든 발돋움 해요 꽃바람 지며는 빨간 능금알외로워 외로워 눈물 흘리다말없이 떨어지는 능금빛 순정     젊은 사람들은 수능 공부하던 기억이 나이..

1963 사과나무 - 내(柰) 멋, 빈과(頻果) 사과(査果)

우리나라에 사과나무속으로 등록된 수종은 모두 14종이다. 이들 이름 중에는 사과나무, 능금나무, 이노리나무와 해당(海棠)이 각각 한 종씩 있으며 야광나무와 아그배나무가 각각 2종씩 있고 꽃사과나무가 6종이 있다. 모두가 넓은 의미의 사과나무인데 그 이름은 제각각 7가지나 되어 어지럽다. 이들 모두를 한꺼번에 탐구할 수는 없으므로 우선 가장 먼저 정식 명칭이 사과나무인 과수원 재배용 사과부터 알아본다. 사과나무는 우리가 먹는 사과를 생산하는 나무이므로 매우 중요한 만큼 일찍이 원시시대부터 품종이 개량되어 왔을 터이기 때문에 지금에 와서 그 원종을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다고 한다. 우리뿐만 아니라 전세계인들이 식용하는 재배용 사과는 거의 대부분 아프가니스탄과 중앙아시아 그리고 중국 신장이 원산지인 신학명 ..

1962 사과의 중국이름 내(柰) 임금(林檎) 사과(沙果) 해당(海棠) 화홍(花紅) 평과(苹果)의 어원

재배용 개량사과나무의 학명 우리나라에서 사과나무속 수종들을 부르는 이름은 매우 다양하다. 사과와 능금 그리고 해당, 꽃사과 및 야광 또는 아그배, 이노리나무 등 무려 7가지나 된다. 이들 이름은 순수 우리말도 있지만 대부분 중국에서 유래된 말이기에 먼저 중국의 사과나무속 수종들의 명칭 변경 역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러지 않으면 너무 복잡하여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먼저 학명 Malus domestica 또는 Malus pumila로 표기하는 사과나무는 우리 인간들이 식용하기 위하여 과수원에서 재배하는 사과를 말한다. 천산산맥에서 실크로드를 따라 유럽으로 건너가면서 워낙 오랜 세월 동안 여러 나라를 거치면서 다양하게 교잡 등을 통하여 개량된 것이므로 그 원종을 쉽게 파악할 수가 없어서 그..

1961 사과나무속 - 사과 능금 해당화 꽃사과

사과나무속은 무수한 아름다운 꽃나무들이 포진한 거대한 장미과(family)에 속하며 그 중에서 진짜 장미가 속하는 장미아과(亞科)가 아닌 아몬드아과(subfamily)로 분류된다. 아몬드가 바로 서양복숭아라고 말할 수 있으므로 아몬드아과를 다른 말로 하면 복숭아아과가 된다. 그 아과에서 벚나무속을 구성하는 동양의 전통적인 꽃나무인 매(梅)와 행앵도리(杏櫻桃李)는 아몬드족(tribe)으로 분류되고 나머지는 사과나무족과 가침박달족 황매화족 조팝나무족 국수나무족 쉬땅나무족 등으로 세분되는데 사과나무는 당연히 배나무와 모과나무 명자나무 팥배나무 산사나무 마가목 등과 함께 사과나무족(tribe)로 분류된다. 다시 정리하자면 크게 봐서 장미과는 아몬드아과와 장미아과로 분류되고 아몬드아과에서는 아몬드족과 사과나무족이..

1960 버들잎배나무 '펜둘라'

학명 Pyrus salicifolia 'Pendula'로 등록된 버들잎배나무 '펜둘라'는 원래 중동 원산의 배나무의 일종으로서 잎이 버들을 닮았다고 독일 식물학자인 Paul Hermann (1646~1695)이 1776년 학명 Pyrus salicifolia Pall.로 명명한 수종의 원예품종이다. 1850년대에 독일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나 1980년에 와서 미국에서 인기가 높아진 품종이다. 등록명 : 버들잎배나무 '펜둘라' 학 명 : Pyrus salicifolia 'Pendula' 분 류 : 장미과 배나무속 낙엽 소교목 원예품종 원산지 : 터키 이란 영어명 : Weeping Willow-leaved Pear 수 고 : 4.5m 특 징 : 버들잎을 닮은 중동 원산 배나무의 가지가 처지는 품종 육 종 : ..

1959 눈배나무 – 유럽 원산 설리(雪梨)

눈배나무라고 중서부 유럽과 터키가 원산지인 소교목 배나무가 있는데 이 수종은 네덜란드 식물학자인 Nikolaus Joseph Freiherr von Jacquin(1727~1817)이 1774년 눈 즉 snow라는 의미의 종소명을 사용하여 Pyrus nivalis Jacq.라고 명명한 것이다. 서양에서는 특별히 교잡종이라 하지 않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마치 교잡종인 것처럼 학명을 표기하고 있어 수정이 요구된다. 종소명 nivalis가 영어로 snowy라는 뜻이므로 우리 말로 하면 ‘눈에 덮인, 눈이 많이 내리는, 눈처럼 하얀’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영어 일반명도 snow pear인데 문제는 구체적으로 뭐가 눈(snow)이라는 지에 대하여는 의견이 갈린다. 우선 동아와 잎이 온통 백색 융모로 덮여 있으며 꽃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