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분류 전체보기 2224

2129 콜레티아 아르마타 = 콜레티아 히스트릭스로 변경되어야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콜레티아 아르마타라는 국명에 학명 Colletia armata로 등록된 갈매나무과 수종이 있는데 이 학명은 영국 식물학자인 John Miers (1789~1879)가 1860년에 명명한 것이다. 하지만 이 학명은 프랑스 식물학자인 Dominique Clos (1821~1908)가 1847년에 명명한 Colletia hystrix Clos와 동일한 것으로 밝혀져 1999년에 통합되면서 선순위인 후자의 이명으로 처리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서는 2011년에 처음 등록하면서 구학명으로 표기하고 국명도 학명 그대로 하였기에 올바른 학명을 찾아주려면 학명과 국명 모두를 변경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겉모습이 매우 특이한 이 속의 속명 Colletia는 1789년 프랑스 학자들이..

2128 케아노투스 팔리두스 '마리 사이먼'

케아노투스 팔리두스 '마리 사이먼'은 학명 Ceanothus × pallidus 'Marie Simon'로 표기되어 등록되어 있어 교잡종 형식의 학명 Ceanothus × pallidus의 원예품종 중 하나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 학명은 1840년 난초연구로 유명한 영국 식물학자이자 가드너인 John Lindley (1799~1865)가 Ceanothus × pallidus Lindl.이라고 명명한 것이다. 이 수종은 미국과 캐나다 그리고 멕시코가 원산지인 녹백색 꽃이 피는 Ceanothus herbaceus와 Ceanothus × delilianus의 교잡종으로 알려져있다. 후자 Ceanothus × delilianus는 캐나다와 미국 동부가 원산지인 백색 꽃이 피는 Ceanothus americanu..

2127 캘리포니아라일락 '딜라이트'

캘리포니아라일락 '딜라이트'는 영국의 Kingston-on-Thames에 있는 Messrs Burkwood and Skipwith 종묘사에서 1932년 경에 미국 캘리포니아와 멕시코가 원산지인 Ceanothus papillosus와 캘리포니아가 원산지인 Ceanothus cuneatus var. rigidus를 교잡시켜서 개발한 교잡종으로서 속성수로서 진한 청색 꽃이 긴 화서에 풍성하게 피는 것이 특징이다. 이 품종은 1933년 영국 왕립원예협회인 RHS로부터 우수 정원수 상인 AM를 수상한 바 있다. 이 수종은 케아노투스속 중에서는 내한성이 가장 강한 편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의 노지 월동은 어렵다는 것이 아쉽다. 등록명 : 캘리포니아라일락 '딜라이트'학 명 : Ceanothus 'De..

2126 눈캘리포니아라일락 – 포복성 아름다운 상록 관목

꽤 오래 전부터 다소 생소한 이름인 Ceanothus속으로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된 수종이 3종이나 있다. 국내는 원종은 없고 변종과 원예품종 그리고 교잡종 형식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그 이름이 각각 달라서 어리둥절하게 만든다. 그럼 먼저 국내 등록된 세 종의 학명의 이름을 먼저 살펴보자. Ceanothus thyrsiflorus var. repens McMinn눈캘리포니아라일락 Ceanothus 'Delight'캘리포니아라일락 '딜라이트' Ceanothus × pallidus 'Marie Simon'케아노투스 팔리두스 '마리 사이먼' 이렇게 가각 다른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어 국명만 봤을 때는 이들이 같은 속인 줄조차도 헷갈리지만 이 Ceanothus속을 국내서는 케아노투스속이라고 부른다. 그..

2125 캄보디아대추나무

최근인 2025년 4월에 새롭게 우리나라 국표식에 등록된 대추나무 세 종 중에 캄보디아대추나무라고 학명 Ziziphus cambodiana Pierre로 표기된 수종이 있다. 이는 1864년 사이공식물원을 설립했던 프랑스 식물학자인 Jean Baptiste Louis Pierre (1833~1905)가 캄보디아에서 처음 발견하여 1895년에 발표한 학명이다. 동남아시아 원산의 이 수종이 국내에 도입된 이유는 아무래도 이 수종이 다양한 약효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원산지인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수종의 수피를 달여서 전통적으로 부인병이나 위장병 치료제로 사용했다고 한다. 등록명 : 캄보디아대추나무학 명 : Ziziphus cambodiana Pierre분 류 :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속 낙엽 관목 소교..

2124 로투스대추나무 – 율리시스 부하가 먹었다는 전설의 대추

로투스대추나무는 지중해를 둘러싼 유럽과 아프리카 그리고 중동이 원산지인 낙엽성 소교목이다. 내한성이 약하고 열매도 지름이 겨우 1~1.5cm에 불과한 이 대추나무가 유명한 이유는 바로 이 수종이 그리스 신화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 문학작품 중 가장 오래된 서사시인 기원전 8세기경 인물인 호메로스(Homer)가 쓴 오디세이(Odyssey)에 이타카의 왕 오디세이(라틴명 율리시스)가 트로이전쟁 참전 후 귀국 중에 풍랑을 만나 로토파고스족(Lotus-Eaters)의 땅에 들어갔다가 그들이 준 로터스라는 열매를 먹고 환각에 빠져 고국으로 돌아갈 것을 거부하게 되었다는 전설에 대한 내용이 있다. 오디세이 부하들이 먹었다는 그 열매가 바로 이 로투스대추라는 것이 현대 유럽인들의 생각이다. 글..

2123 굽은대추나무 – 히말라야 원산 교목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금년 4월에 새롭게 등록된 대추나무 세 종이 있는데 그 중 하나인 굽은대추나무는 인도와 네팔 부탄 그리고 중국 남서부 해발 1,000~2,500m의 고산지대가 원산지이다. 이 수종은 인도에서 오랫동안 일했던 스코틀랜드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William Roxburgh(1751~1815)가 네팔에서 발견하여 1824년 학명 Ziziphus incurva Roxb.를 명명한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종소명 incurva는 휘어지거나 굽었다는 뜻인데 글쎄 이 수종의 어디가 휘어졌다는 것인지가 궁금하다. 이 수종은 가지가 아치형으로 휘어지는 것이 아닌 직립으로 최대 15m까지도 자라는 교목이며 그렇다고 가시가 휘어진 것도 아니고 그 외 어디를 찾아봐도 특별히 휘어진 구석은 보이지 않는다..

2122 묏대추나무와 대추나무의 복잡한 학명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속으로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종은 5종인데 그 중에서 단 한 종이 우리 자생종이고 나머지는 모두 외래종이다. 바로 그 자생종 하나가 묏대추나무인데 이는 하나의 독립된 종은 아니고 대추나무의 하위 분류군인 변종으로 분류되어 학명 Ziziphus jujuba var. spinosa로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변종명 spinosa는 가시가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해외 일부에서는 이를 원종인 대추나무에 통합시키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하는 대추나무는 원종 외에도 두 개의 변종이 있는데 하나는 키도 작고 잎도 작고 열매도 작고 둥글며 핵의 양끝이 둔하며 맛이 신 자생종 이 묏대추나무이고 또 다른 하나는 가시가 없어 중국에서 무자조(無刺棗)라고 부르는 var. inermis로 표기하는 ..

2121 대추나무

대추나무는 현재 전 세계에서 재배하는 과일 나무이지만 원래는 중국이 원산지이다. 그 자생지는 한랭한 중국 동북지방에서부터 온난한 중국 남방지역까지 매우 광범위하다. 대추나무는 그만큼 기후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크다는 것을 말한다. 길림성과 요녕성도 그 원산지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과거 우리 선조들이 살았던 고조선이나 고구려 지역에서도 자생한다는 말이 된다. 하지만 지금 현재로서는 어쩔 수 없이 이를 중국에서 도입된 외래종으로 분류해야만 하니 단군이나 주몽할아버지가 안다면 매우 서운해 할 것 같다. 여하튼 이 수종 일찍이 아랍으로 건너가 거기서 그리스와 로마를 거쳐서 유럽으로 보급되었다. 그래서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인 1753년에 이를 갈매나무속으로 분류하고 종명을 고대 그리스에서 부르던 이..

2120 헴슬레이아누스갯대추나무 – 중국 원산 동전수(铜钱树)

갯대추나무는 지중해갯대추나무 한 종을 재외한 나머지 네 종은 모두 동아시아가 원산지인데 헴슬레이아누스갯대추나무 또한 중국 중남부지역이 원산지이다. 이 수종의 학명 Paliurus hemsleyanus는 미국 식물학자인 하버드대 Alfred Rehder(1863~1949)교수가 1931년 명명한 것인데 종소명 hemsleyanus는 영국 식물학자인 William Botting Hemsley (1843~1924)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그 이유는 이 종의 표본은 누가 별도로 어디에서 채집한 것이 아니고 1894년 헴슬레이가 명명한 또 다른 중국 원산의 학명 Paliurus orientalis (Franch.) Hemsl.의 표본 중에서 일부를 분리하여 독립된 종으로 명명한 것이기 때문이다. 후자는 국내 미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