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분류 전체보기 2096

2093 감자와 고구마 이름이 바뀌었다.

가지과 가지속은 전 세계 무려 1232종이 분포하는 거대한 속이다. 이 중에서 우리나라에는 20종이 등록되어 있다. 가지속은 목배풍등 같은 목본도 있지만 대부분 초본인데 이 중에는 가지와 감자 그리고 토마토 등 우리 일상생활에 중요한 채소들도 포함되어 있다. 가지속은 가지과의 모식속으로 가지과를 대표한다. 그리고 동양 3국에서는 가지가 바로 가지속을 대표하는 것처럼 속과 과의 이름을 붙이지만 서양에서는 까마중을 모식종으로 삼는다. 여하튼 이번 탐구 대상인 감자는 학명을 Solanum tuberosum으로 표기하는데 속명 Solanum은 진정이나 안정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온 것으로 일부 종에 그런 진정제 성분이 있기 때문이며 종소명 tuberosum은 줄기나 뿌리의 덩이를 말한다. 그런데 이 감자가 가지나..

2092 가지와 꽃가지

가지는 가지과 가지속으로 분류되는 직립으로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는 식용 및 약용 식물로서 우리나라와 같은 온대지방에서는 일년생 초본이라고 하지만 열대지방인 원산지에서는 다년생 초본 또는 아관목이라고 한다. 가지의 원산지에 대하여는 명확하지 않지만 대부분 인도라고 인정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동남아시아 및 중국 남방지역도 포함한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인도와는 달리 5000년 전의 화석이 발견되지도 않았고 야생에서 자생지가 발견되지도 않아서 자국이 원산지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재배기록은 아마 중국 남북조시대인 533~544년에 북위(北魏, 386~534)의 산동성 고양(高陽)태수였던 가사협(賈思勰)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농업서인 제민요술(齐民要术)에 가지의 재배방법과 식용방법에 관하여 기록된 것이 최..

2091 기타 다양한 땅꽈리들

땅꽈리속은 전세계 90여 종이 분포하지만 국내는 현재 5종이 등록되어 있다. 앞에서 다룬 2종 외에 국내 등록된 3종과 주변 일본이나 중국에서 재배하는 종들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본다.   등록명 : 노랑꽃누운땅꽈리학  명 : Physalis lagascae Roem. & Schult.분  류 : 가지과 땅꽈리속 일년생 초본원산지 : 멕시코 아르헨티나 쿠바 베네수엘라특   징 : 직립 또는 포복성으로 높이 1m까지 자람종소명 : 스페인 식물학자  Mariano Lagascay Segura (1776–1839의 이름에서 온 것으로 보임      등록명 : 긴잎땅꽈리학  명 : Physalis longifolia Nutt.분  류 : 가지과 땅꽈리속 다년생 초본원산지 : 북미 미국 캐나다 멕시코중국명 : 장..

2090 땅꽈리와 노란꽃땅꽈리 명칭 혼란

여러모로 꽈리를 닮았으나 키가 낮아 땅에 붙어서 자란다고 땅꽈리라고 불리는 일년생 초본식물이 있다. 우리 자생종은 아니고 약용으로 조선시대 이전에 중국에서 도입하여 재배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초본의 이름은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것으로 1937년 발간된 최초의 한글 식물목록집인 조선식물향명집에서부터 쭉 써오던 이름이다. 하지만 그 당시 즉 일제강점기에 처음 붙인 이름은 아니고 그 이전에 조선 후기 1800년대 초에 나온 어휘서인 광재물보(廣才物譜)와 조선후기 실학자인 유희(柳僖, 1773∼1837)선생이 1824년경에 펴낸 물명고(物名攷)에 이미 중국명 고직(苦蘵)을 우리말로 땅꽈리라고 한다고 수록하고 있었다. 물명고에서는 “고직(苦蘵)은 밭과 들에서 자라며 산장(酸漿) 즉 꽈리와 유사하지만 작고 열매를 ..

카테고리 없음 2025.01.21

2089 꽈리 – 산장(酸漿) 괘금등(挂金灯)

꽈리는 가지과 가지아과 땅꽈리족 꽈리속으로 분류되는 다년생초본이다. 꽈리도 얼마 전까지만 하여도 땅꽈리속 즉 Physalis속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19세기 초부터 꽈리는 별도의 꽈리속 즉 Alkekengi속으로 분류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 되었으나 큰 호응을 받지 못하다가 최근의 유전자 분석 덕분에 힘을 얻어 현재는 세계적으로 거의 모두 그 분리론을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꽈리속의 유일한 종이 되었다. 그래서 1921년 조선식물명휘나 1937년 조선식물향명집에서부터 표기해 오던 린네가 1753년 명명한 학명 Physalis alkekengi L.을 버리고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1802년 독일 식물학자인 Conrad Moench(1744~1805)가 발표한 학명 Alkekengi officinarum ..

2088 구기자나무 - 지골피, 영하구기자

가지과는 대부분 초본으로 구성되어 있고 극히 일부가 관목인데 구기자나무가 바로 그 중 하나이다. 구기자속은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및 오세아니아까지 전세계 열대와 아열대 거의 전 지역에 걸쳐 100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는 구기자나무 단 한 종만 등록되어 있다. 구기자는 가지과 가지아과 구기자족으로 세분류되는데 구기자속이 구기자족의 유일속이므로 결국 국내는 가장 가까운 근연 식물이라야 같은 가지아과로 분류되는 고추족과 독말풀족 사리풀족 꽈리족 및 가지족 식물들이다. 따라서 국내는 비슷한 식물이 없다는 말이 된다. 가지속의 학명 Lycium는 린네가 1753년 식물분류학을 창설하면서 붙였다. 이는 고대 로마제국의 작가이자 자연학자이며 장군이던 Pliny the Elder(23~79)와 고대 그리스 ..

2087 피소클라이나 오리엔탈리스 - 포낭초(脬嚢草)속 독초

피소클라이나 오리엔탈리스라고 학명 Physochlaina orientalis G.Don로 등록된 가지과 사리풀족 피소클라이나속 다년생 초본식물이 있다. 피소클라이나속은 온대 아시아가 원산지인데 속명 Physochlaina는 부풀어 오른 방광(膀胱) 즉 오줌보를 말한다. 꽈리들과 같이 열매를 감싸는 반구형 덮개가 마치 오줌보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 속의 모식종은 시베리아에서 중국 흑룡강성까지 북방지역이 원산지인 중국명 포낭초(脬嚢草)인데 원래는 린네가 이를 사리풀속으로 분류하여 1753년 Hyoscyamus physaloides L.이라고 명명하였던 것을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인 George Don(1798~1856)이 동명의 새로운 속을 창설하여 분리하면서 Physochlaina physaloides (L..

2086 미치광이풀 – 사리풀 낭탕(莨菪) 대용약으로 쓰는 자생 독초

미치광이풀속 Scopolia가지과 사리풀족에는 세계 10대 맹독식물로 뽑히는 아트로파속과 사리풀속 외에도 유독성 초본으로 구성된 미치광이풀속도 있다. 전세계 단 4종으로 구성된 이 속의 모식종은 중남부 유럽과 카르파티아 산맥지역이 원산지이며 다른 한 종은 코카서스지방이 원산지인데 특이하게 또 다른 두 종은 멀리 떨어진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자생한다. 그게 바로 미치광이풀과 일본미치광이풀이다. 속명 Scopolia는 네덜란드 태생으로 오스트리아에서 활동한 식물학자인 Nikolaus Joseph Freiherr von Jacquin(1727~1817)이 1764년에 이탈리아 자연학자인 Giovanni Antonio Scopoli (1723~1788)의 이름으로 명명한 것이다. 모식종이 중남부 유럽에서 자생하고..

2085 사리풀 – 천선자(天仙子) 낭탕(莨菪) 맹독초

가지과 사리풀 또한 앞 게시글에서 다룬 아트로파 벨라도나 못지않게 강한 독성을 가진 식물인데 이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 초본도 남부유럽과 서아시아 그리고 북아프리카 등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데 학명 Hyoscyamus niger L.은 1753년 린네가 명명한 것이다. 속명 hyoscyamus는 hys (pig) + kyamos(bean) 즉 돼지콩이라는 뜻인데 이는 맹독초이기에 사람은 물론 가축이나 조류 곤충 등 거의 모든 동물들에게 치명적임에도 불구하고 돼지들은 면역이 되어 있는지 잘 먹기 때문에 고대 그리스 의사이자 본초학자인 Pedanius Dioscorides(40~90)가 붙인 명칭이라고 한다. 아트로파 벨라도나를 예외적으로 소와 토끼가 잘 먹는 것과 유사한 사례이다. 반면에 영어 일반명인 H..

2084 아트로파 벨라도나 – 맹독초 deadly nightshade

가지과는 5개 아과(sub-family)로 세분되는데 국내 등록된 기준으로 볼 때 그 중 가지아과가 가장 크다. 가지아과는 다시 7개 족(tribe)으로 세분할 수 있는데 앞에서 맹독성 식물인 독말풀족의 2개 속 탐구를 마쳤다. 이번에는 내친김에 독말풀족보다 더 강한 독성을 가진 종들로 구성된 사리풀족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사리풀족은 아트로파속과 사리풀속 피소클라이나속 그리고 미치광이풀속 등 4개 속의 4개 종이 등록되어 있는데 모두 독초들이다. 특히 그 중에서 아트로파 벨라도나와 사리풀은 지구상 가장 강한 독성을 가진 식물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 흥미를 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하여 차례차례 간략하게 파악하려고 한다. 가지과의 학명 Solanaceae는 가지속의 학명 Solanum에서 온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