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121

1651 노봉백산차 – 함경백산차, 참백산차 또는 백산차에 통합되어야

우리나라에 노봉백산차라는 학명 Ledum palustre var. latifolium Michaux.로 등록된 자생종이 또 하나 있다. 그 형식으로 봐서는 참백산차의 잎이 넓은 변종이라는데 이 또한 어디서 자생하는 어떤 수종인지에 대하여 명확하지 않다. 우선 노봉(鷺峯)이 정확하게 어디인지를 모르는 것 같다. 우리나라 식물 조사를 위하여 일본에서 온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 일본 약용식물학자인 이시도야 츠토무(石戸谷 勉, 1884~1958)와 함께 평안북도 강계군과 함경남도 장진군의 경계에 위치하는 높은 산인 노봉(鷺峯)을 탐사하고 그 결과를 정리한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한 조선노봉식물조사서(朝鮮鷺峯植物調査書)라는 이름의 46쪽짜리 보고서가 남아 있으며 우리 하은 정태현선생..

1650 함경백산차 – 국내 자생여부가 의문시 되는 Labrador tea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함경백산차라고 등록된 수종이 있는데 그 이름만 들어봤을 때는 우리 고유종이거나 국내서 신종이 처음 발견되어 학명이 부여된 종 같으나 실제로 Ledum palustre L. subsp. groenlandicum (Oeder) Hultén인 등록된 학명을 보면 전혀 다르다. 이 학명은 원래 독일계 덴마크 식물학자인 Georg Christian Edler von Oldenburg Oeder(1728~1791)이 덴마크 식물을 조사하면서 발견하여 1771년 Ledum groenlandicum Oeder이라는 독립된 종으로 명명한 학명을 스웨덴 식물학자인 Oskar Eric Gunnar Hultén(1894~1981)이 알래스카 식물을 연구하면서 1948년 참백산차의 아종으로 재명명한 ..

1649 좁은백산차 – 참백산차의 포복성 왜성 아종

우리 국표식에 좁은백산차라는 국명에 학명 Ledum palustre var. decumbens Aiton로 등록된 참백산차의 변종이 있는데 이 학명은 영국 왕실정원 큐에서 근무하던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William Aiton(1731~1793)에 의하여 1789년에 명명된 것이다. 여기서 변종명 decumbens는 포복성으로 자라면서 끝만 위로 솟아오른다는 뜻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백두산지역에서 발견된다는 이 변종을 우리나라에서는 누운백산차나 덩굴백산차 등으로 부르지 않고서 왜 좁은백산차라고 할까 하는 의문을 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좁은’이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뭐가 좁다는 것인지도 아리송하다. 무슨 이런 이름이 있나 하고 찾아보니 역시 이 이름은 1966년 이창복의 한국수목도감에 근거하고 있다. 그..

1648 참백산차 – 왕백산차와 좀백산차를 통합한 극한 지방 진달래 일종

백산차속 즉 Ledum속의 모식종이며 아시아 동북지역과 유럽북부 북극권 그리고 러시아와 북미대륙의 북부 등 북반부 한대 지방 거의 전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참백산차 즉 Ledum palustre L.는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하면서 명명한 학명이다. 속명 Ledum는 라틴어로 우리나라에 키스투스로 등록된 Cistus 즉 키스투스과 키스투스속의 상록관목들을 지칭하는 그리스어 ledon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하며 종소명 palustre는 습지를 좋아한다는 뜻이다. 실제로 이 식물의 자생지는 얼음이 얼었다 녹았다 하면서 이끼류들이나 자라는 습기가 많은 툰드라지역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영어로 marsh Labrador tea라고도 불리며 그린란드 등 거의 북극권에서 많이 자생하기에 northe..

1647 백산차속 - 이제는 진달래속으로 편입된 한대수종

우리나라 국표식에 속명 Ledum 즉 백산차속으로 등록된 수종이 학명 Ledum palustre인 참백산차와 그 아변종 6종을 포함 모두 7종이다. 전세계 Ledum 속은 모두 8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북반부 북극권 한대지방에서만 분포하는 상록 관목이므로 우리나라의 경우는 백두산을 중심으로 그 주변 함경도지역에서만 자생한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춥다는 백두산 인근 지역이 이 식물로서는 가장 따뜻한 거의 남방한계선이 되는 셈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참백산차 즉 Ledum palustre라는 하나의 원종과 그 아래 하나의 아종과 5개의 변종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그렇게 표기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우리나라 외에도 만주, 내몽고 및 시베리아와 그린란드, 캐나다북부에서도 자생하는 이들을 ..

1646 소엽칼미아 – 북미 서부 습지에서 자생하는 칼미아

소엽칼미아의 학명은 Kalmia microphylla (Hook.) A. Heller인데 이는 1898년 미국 식물학자인 Amos Arthur Heller (1867~1944)가 그 이전에 영국 왕실정원 큐(Kew)의 초대 원장이었던 William Jackson Hooker(1785~1865)가 1834년에 북미 동부에서 자생하는 칼미아 폴리폴리아의 변종으로 명명한 학명 Kalmia glauca var. microphylla를 원종으로 승격시켜서 재명명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microphylla는 작은 잎이라는 뜻인데 이 수종이 잎 사이즈는 길이 1.5~4cm에 너비 0.3~1.8cm로 작기는 하다. 그러니까 소엽칼미아가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왜성종이고 잎이 좀 더 짧고 넓다는 점 외에는 겉 모습이 ..

1645 칼미아 폴리폴리아 – 북미 동부 늪지에 서식하는 칼미아

전세계 모두 10종이 분포하는 칼미아속 중 하나로서 캐나다와 미국 동북부에서 자생하는 칼미아 폴리폴리아의 학명 Kalmia polifolia는 독일 식물학자인 Friedrich Adam Julius von Wangenheim(1749~1800)이 1788년에 명명한 것이다. 그는 독일군 장교로서 미국 독립전쟁 당시 영국군 편에 서서 참전하기 위하여 1777년 미국으로 건너가 거기서 시간이 날 때 틈틈이 미국 수목들을 탐사 묘사하여 학명을 부여한 사람이다. 여기서 종소명 polifolia는 막대기 같은 잎이라는 뜻으로 이 수종의 잎이 돌돌 말려서 막대기 모습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그런데 이 수종은 영국 준남작 Sir Joseph Banks(1743~1820)에 의하여 그 이전인 176..

1644 좁은잎칼미아 – 잎도 키도 작은 왜성 칼미아

캐나다 온타리오와 퀘벡에서 미국 버지니아주까지 북아메리카대륙 동부에 자생하는 좁은잎칼미아는 앞 게시글의 칼미아와 함께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하면서 명명한 칼미아속 두 종 중 하나이다. 이 또한 스웨덴 왕립 과학아카데미의 파견으로 1747~1751까지 아메리카 신대륙 식물을 최초로 탐사한 식물학자이자 린네의 직계제자인 Peter Kalm이라고도 불리는 Pehr Kalm(1716~1779)이 채취하여 보낸 표본을 대상으로 명명한 것인데 그 둘 중에서 잎이 상대적으로 좁다고 그런 뜻의 종소명을 붙여서 Kalmia angustifolia라는 학명을 부여한 것이다. 실제로 이 수종의 잎의 사이즈는 길이 3~5cm에 너비 0.5~2.5cm에 불과하여 길이 3~12cm에 너비 1~4cm인 칼미아에 비하면..

1643 아름다운 칼미아 원예품종들

진달래과 칼미아속의 모식종인 칼미아는 꽃이 아름답고 사시사철 푸르름을 유지하는 상록인 잎도 아름다워 미국을 대표하는 관목답게 수많은 아름다운 원예품종들이 개발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우리나라에는 6종이 등록되어 있다. 이들의 상세한 탐구는 생략하고 그 겉모습만 구경하고 가는 것으로 한다. 등록명 : 칼미아 '클레멘타인 처칠' 학 명 : Kalmia latifolia 'Clementine Churchill' 등록명 : 칼미아 '리틀 린다' 학 명 : Kalmia latifolia 'Little Linda' 등록명 : 칼미아 '미뉴에트' 학 명 : Kalmia latifolia 'Minuet' 등록명 : 칼미아 '오스트보 레드' 학 명 : Kalmia latifolia 'Ostbo Red' 등록명 : 칼미아 ..

1642 칼미아 – 내한성 강한 아름다운 정원수

전세계 무려 120개 속(屬)에 4,600여 종(種)의 식물로 구성된 거대한 과인 진달래과의 학명 Ericaceae는 erica라는 속(屬)명과 과(科)를 뜻하는 라틴어 접미사 aceae가 합쳐진 말이다. Erica는 전세계 무려 800여 종이 분포하는 매우 거대한 속인데 영어로는 heath(히스) 또는 heather(헤더)로 불리는 주로 황무지에서 자라는 나지막한 관목으로서 느낌상 우리나라의 비수리 등 싸리속 수종들과 비슷하다. 실제로 라틴어 erica에는 빗자루 즉 broom이라는 뜻도 있다고 한다. 우리 동양에서는 주로 콩과 싸리속 관목으로 청소용 비를 만들었다면 서양에서는 주변에 흔한 진달래과 에리카속 즉 heath(히스)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바로 이 빗자루나 만들던 그다지 꽃이 아름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