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 후박나무 그리고 중국 후박(중국목련)과 일본 후박(일본목련) 후박나무 제주도와 남부지방 일부에서만 자생하는 또 하나의 남부수종 후박나무를 알아본다. 우선 후박나무라고 하면 키가 20m까지 자라고 잎도 거의 50cm까지나 되는 일본목련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연세가 드신 분들이거나 남부수종이 자라지 못하는 중부지방에서 그런 경..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10.03
166 육박나무 육박나무 육박나무 나무 수피가 얼룩말 무늬의 6각형 조각으로 벗겨진다고 그 이름이 붙었다는 또 하나의 녹나무과의 수종 육박(六駁)나무를 탐구한다. 여기서 박(駁)은 얼룩말 박자이다. 제주도와 전남 그리고 경남 일부에서만 자생하는상록 교목인데 그 수피가 과거 해병대 얼룩무늬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30
165 녹나무과 삼출맥 나무들 구분 포인트 - 녹나무, 생달나무, 참식나무, 새덕이 평안수 녹나무속 계피나무의 일종인 난서육계의 아름다운 삼출엽맥 중국인들은 이 나무가 집안의 평안을 가져다 준다고 화분에 많이 키운다. 녹나무과를 모두 마치기 전에 일단 정리를 좀 하고 가야겠다. 모두 상록이며 혁질에 주로 긴 타원형 그리고 결각이 전혀 없고 거치 또한 거의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9
164 새덕이 = 흰새덕이 새덕이 무척 아름답게 보이지만 이른 봄에 피는 꽃이므로 크게 주목을 받지는 못한다. 새덕이 이번에는 참식나무속 또 다른 우리 자생종 새덕이에 대하여 공부한다. 이 나무는 참식나무속 모두 수종이 그렇듯이 자웅이주인데 수꽃이나 암꽃 모두에 암술이 있는데 그 암술머리가 유난히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8
163 참식나무, 노랑참식나무, 식나무와는 전혀 다른 나무 참식나무 참식나무 참식나무 이번에는 학명의 속명이 Neolitsea로 까마귀쪽나무속의 litsea에 대비 신(新)이라는 Neo가 앞에 붙은 참식나무속을 탐구한다. 그래서 까마귀쪽나무속을 목강자속(木姜子属)이라고 부르는 중국에서는 이 참식나무속을 신목강자속(新木姜子属)이라고 한다. 일본도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8
162 까마귀쪽나무 = 구럼비나무와 엘롱가타까마귀쪽 까마귀쪽나무 추석에 달나라 계수나무의 정체를 파악하다가 계수나무, 월계수, 계피나무, 생달나무와 녹나무를 거쳐 여기까지 왔으니 내친김에 몇 개 안 남은 녹나무과 수종들을 모두 섭렵하고 가야겠다. 녹나무과는 전세계 45개 속에 2,850개의 수종이 있는 방대한 과인데 다행히도(?) 우..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6
161 녹나무 = 장목(樟木), 생달나무와 차이점 녹나무 이제 녹나무속 마지막으로 녹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녹나무속에는 전세계 약 300종이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아래 4종이 등록되어 있다. 생달나무와 로우레이로이녹나무(베트남 계피나무)는 앞에서 다뤘고 둥근잎녹나무는 밖에서는 녹나무의 이명으로 처리되고 있어 생략한다.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5
160 생달나무 - 우리 토종 계피나무 생달나무 학명 : Cinnamomum yabunikkei H.Ohba 이번에는 우리나라에도 자생하는 계피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전세계에 녹나무속으로 분류되는 나무가 약 300종이 되는데 그 중에서 계피를 채취할 수 있는 나무는 겨우 10여 종이다. 그 중 하나가 우리나라 제주도와 전남 및 경남지방에 자생하는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3
159 계피와 시나몬, 계피나무, 육계나무, 실론계피나무, 인도네시아계피나무, 사이공계피나무 실론계피나무(미등록종) 학명 : Cinnamomum verum 서구인들의 입맛에 가장 적합하여 이것만을 시나몬이라 부르기도 한다. 달나라 계수나무를 탐구하다가 계화(목서)와 계수나무 그리고 월계수를 거쳐서 이제 수정과를 만들거나 커피에 타서 먹는 계피를 채취하는 나무 즉 계피나무에까지 이..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22
158 월계수 - 지중해 원산, 승리와 영광의 상징 월계관의 소재 월계수(月桂樹) 암꽃 그 이름만 들어서는 달나라 계수나무인데 실상은 전혀 다르지만 이 또한 슬픈 서양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지중해 연안에서 온 월계수에 대하여 알아본다. 녹나무과 월계수속 소교목 또는 관목이다. 서양에서 온 외래종 나무를 어떻게 계수나무와 헷갈릴까? 하시는 .. 기타 과 식물/녹나무과 2016.09.18
157 계수나무는 달나라에도 계림에도 한시나 불교 경전에도 없다. 계수나무 Cercidiphyllum japonicum 이름은 계수나무이지만 달나라의 계수나무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일제강점기 일본에서 들여온 계수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이 나무는 중국과 일본이 원산지인데 국가 2급 보호수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중국이름은 향기가 ..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9.17
156 달나라 계수나무는? 계수나무, 월계수, 계피나무, 육계나무, 계화, 목서 어제 한가위 보름달을 쳐다보고 각기 다른 생각을 하고 나름대로 소원을 빌었겠지만 달 가운데 검은 그림자를 보고서는 우리는 아무래도 윤극영의 동요에 나오는 계수나무 한 그루와 토끼 한 마리를 연상할 것이다. 일본에서도 우리와 비슷하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조금 다르다. 건장한 ..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9.16
155 비파나무 비파나무 이름이 정감이 가고 잎모양이 좋아 주로 관상용으로만 재배되는 줄로 알았더니 알고보니 뛰어난 약효로 인도와 중국에서 오래전부터 거의 만병통치약으로 불리면서 다양한 치료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열매까지 먹는 유실수인 비파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중국원산인데 .. 장미과 아몬드아과/사과나무족 2016.09.11
154 멀구슬나무 멀구슬나무 이번에는 참죽나무와 같은 멀구슬나무과의 또 다른 나무 멀구슬나무를 탐구한다. 우리나라 멀구슬나무과에는 멀구슬나무속과 참죽나무속 그리고 투나속이 존재하는데 참죽나무속과 투나속은 앞에서 다룬 바 있고 이번에는 멀구슬나무속의 유일 등록종 멀구슬나무를 알아..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9.08
153 참죽나무, 삼색참중나무 그리고 가죽나무와 구분법 참죽나무 참죽나무 양평 용천리 어느 민가에 있는 참죽나무의 멋진 개화기 모습 이번에는 가죽나무에 이어 참죽나무를 탐구한다. 우리 뿐만아니라 다른 나라 사람들도 가죽나무와 참죽나무를 구분하기 어려워 한다. 원산지 중국에서도 모두 춘(椿)으로 참죽나무는 향기가 난다고 향춘(..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9.07
152 가죽나무의 명과 암 가죽나무 가죽나무 이번에는 앞의 소태나무와 같은 소태나무과인 가죽나무속에 대하여 알아본다. 주로 아시아와 호주가 원산지인 이 가죽나무속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약 10종 안팎의 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가죽나무와 그 변종인 붉은가죽나무 그리고 중국에서 온 ..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9.05
151 소태나무 소태나무 사진 출처 : 국생정 나무보다도 그 이름이 더 친숙한 소태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소태나무는 몰라도 소태라는 말을 모르는 사람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의외로 소태라는 말이 국어사전에는 없다. 다만 소태나무의 껍질로만 나온다. 소태나무 이름의 유래를 알아보려는데 소태..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9.03
150 통조화, 기부시, 정절화 통조화 이렇게 잎이 나기도 전에 꽃을 피운다. 이번에는 그 이름이 참으로 특이한 통조화에 대하여 알아본다. 천리포수목원에서 처음 본 적이 있는데 매우 인상적이었다고 기억하고 있었던 차에 이번에 어린 묘목 하나를 구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나무 이름만 독특한 것이 아니라 꽃 ..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8.27
148 수막(Sumac), 미국옻나무, 티피나옻나무, 글라브라옻나무 티피나옻나무 붉은 것은 꽃이 아니라 열매이다. 이번에는 옻나무과 붉나무속 수종 중 마지막으로 미국에서 건너온 수막(Sumac)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아직 옻나무속과 붉나무속이 분리되지 않은 우리나라 국표식의 붉나무속에 등록된 수종은 10개 종인데 이 중 6개는 옻나무속이며 나머지 .. 기타 과 식물/옻나무과 2016.08.19
147 붉나무, 오배자 붉나무 오랫동안 옻나무의 한 종류로 취급받아 오다가 최근에 분리된 붉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우리나라 산천에 그야말로 흔해 빠져서 그런지 아니면 겉 모습이 옻나무를 닮아서 기피 대상이라서 그런지 또는 이 나무의 잎에 생기는 특유의 울퉁불퉁한 벌레혹 때문에 혐오감을 주기 .. 기타 과 식물/옻나무과 2016.08.18
146 덩굴옻나무 - 유독식물 덩굴옻나무 이번에는 우리나라 자생종 중 마지막으로 덩굴식물인 덩굴옻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우리 자생종이라고는 하지만 1980년대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하백도 등 무인도에서만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었을 뿐 그동안 국내 자생지가 없는 줄 알고서 일본에서 1930년대에 도입하.. 기타 과 식물/옻나무과 2016.08.16
145 옻나무와 개옻나무, 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구별법 옻나무 사진 출처 : 국생정 잎과 열매에 털이 전혀 없고 광택이 난다. 여기 블로그에 있는 사진들은 직접 촬영한 것도 있지만 대부분 식물 공부를 위하여 여기저기서 퍼온 것들이므로 복사나 전재에 대한 허가 권한이 저에게는 없습니다. 따라서 함부로 사용할 경우 원저작권자로부터 항.. 기타 과 식물/옻나무과 2016.08.13
144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사진출처 : 국생정 이번에는 우리 자생종 옻나무 중 마지막으로 산검양옻나무를 알아본다. 이 나무 또한 생소한 이름이지만 의외로 한반도 중부 이남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나무이다. 검양옻나무가 실질적으로 거의 제주도에만 자생하는 것과는 대조된다. 이 나무의 .. 기타 과 식물/옻나무과 2016.08.11
143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사진 출처 : 국생정 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는 우리나라 제주도와 전라남도에 자생한다는 검양옻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나무에 관심을 두면서 느낀 점인데 그 이름이 특이하고 수종이 희귀하더라도 나름대로 특징이 뚜렷하여 쉽게 기억되며 구분하기 쉬운 나무가.. 기타 과 식물/옻나무과 2016.08.10
142 개옻나무 개옻나무 이번에는 개옻나무를 탐구한다. 아무래도 참보다 못한 것에다가 개를 붙여서 이름을 짓는데 식물의 경우 개살구 개복숭아 등 이런 이름이 수 백종은 될 듯 하다. 그런데 여기 옻나무는 좀 궁금한 것이 있다. 개옻나무는 우리나라에 원래 자생하던 토종식물이고 옻나무는 중국에.. 기타 과 식물/옻나무과 2016.08.08
141 옻나무 옻나무 과거에는 산성이나 알칼리성에도 강하고 고온에도 잘 견디며 쉽게 변하지 않는 최고의 천연 도료 소재로 우리 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었지만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그저 보양식 옻닭의 재료인 줄로만 알고 있는 옻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물론 그때나 지금이나 약재로 사.. 기타 과 식물/옻나무과 2016.08.07
(8) 삼잎국화, 겹삼잎국화 겹삼잎국화 Rudbeckia laciniata var. hortensis Bailey 양평 지평에 있는 수곡서원 앞 요즘 같은 삼복더위에 황금색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 키가 매우 큰 다년생 초본식물 삼잎국화에 대하여 알아본다. 개인적으로 어린 시절 우리 집 마당과 어릴 때 내가 다니던 국민학교 화단에 있던 꽃이라서 매우 .. 기타 과 식물/기타초본 2016.08.06
140 매화오리나무 외래종들 비록 우리나라 자생종이기는 하지만 매화오리나무도 생소한데 외래종들이야 말해서 무얼하랴. 그러나 이왕 시작하였으니 이 매화오리나무속이라고 그냥 지나칠 수는 없다. 이미 국내에 들어와 등록되고 어느 수목원에서인가 자라고 있는 외래종들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8.04
139 매화오리나무 매화오리나무 이번에는 우리 자생종 매화오리나무에 대하여 탐구한다. 매화오리나무는 진달래목 매화오리나무과 매화오리나무속의 소교목인데 이 매화오리나무과에는 매화오리나무속 외에도 Purdiaea속이 하나 더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매화오리나무속이 유일하다. 그 매화오리나무속에..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7.30
138 알니폴리아매화오리 '루비 스파이스', '핑크 스파이어', '로제아' 알니폴리아매화오리 '루비 스파이스' 유난히 습도가 높아 마치 동남아 아열대 기후를 보이는 올 여름 이 더운 날씨에 매우 진한 핑크색 꽃을 피우는 저 멀리 미국에서 온 매화오리나무 한 종류를 알아본다. 오리나무잎에 매화꽃이 피는 나무라고 우리나라에서는 매화오리나무라는 이름..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