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전체 글 2120

192 소귀나무, 양매(楊梅)

앞에서 다룬 담팔수와 자라는 환경도 비슷하고 모양 특히 잎 모양이 너무나 비슷한 또 하나의 제주도 특산수종 소귀나무에 대하여 알아보자. 소귀나무과 소귀나무속 상록 교목이다. 소귀나무과에는 우리 자생종인 소귀나무 외에 미주대륙에서 건너온 두 개의 종이 더 등록되어 모두 3종의 나무가 국내 어디에선가는 자라고 있다고 보면 된다. 식물 분류체계상 일반적으로 "문강목과속종" 6단계로 분류하지만 실제로는 과 이상인 "문강목"은 별 의미가 없고 나라마다 제각기 달라서 평소 잘 쳐다보지도 않지만 이 소귀나무과는 그 정도가 좀 심한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가래나무목으로 분류하지만 미국 등 외국에서는 참나무목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아예 소귀나무목으로 분류하고 있다. 학명도 우리는 Myrica rubra로 표기..

191 담팔수과의 아름다운 외래 수종들 : 레티쿨라투스 담팔수, 파라구아 크리노덴드론, 후케리아눔 크리노덴드론, 칠렌시스 아리스토텔리아

이번에는 우리 자생종 담팔수를 제외한 담팔수과에 등록된 나머지 4개 수종에 대하여 알아본다. 호주와 칠레에서 들어 온 매우 아름다운 꽃이 피는 화목류들이다. 이런 멋진 나무들을 정원에 심지 못하는 것이 아쉽기만 하다. 먼저 저 멀리 호주에서 온 호주 고유종 레티쿨라투스 담팔수..

187 애기동백나무 (사잔카 : 山茶花), 다매(茶梅), 해홍(海紅)

애기동백나무 애기동백나무를 알아본다. 우리 기록이 아닌 중국의 문헌에 의하면 신라 때부터 우리나라에 많이 있었던 나무라서 우리 자생종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실상은 일본 원산이다. 대개 일본 원산으로서 애기라는 이름이 앞에 붙으면 원산지 일본 이름이 히메(姫)라던가 ..

185 동백나무 원조 논쟁, 애기동백 해홍 해류 해석류 산다 다매 쯔바키 사잔카

이 아름다운 동백나무는 일본 남쪽 오카야마현 국승사에 있다 우리나라 동백나무속에는 원종과 변종 그리고 원예종을 포함 무려 300종의 수종이 등록되어 있다. 그 모두를 탐구할 수는 없고 우리 자생종인 동백나무, 흰동백나무와 차나무 그리고 애기동백나무 등 많이 알려진 외래 재배..

181 프랭클리니아, 최고의 희귀 정원수 [프랑클리니아 알라타마하]

프랑클리니아 알라타마하 일반적으로 프랭클리니아로 발음하고 표기하지만 등록정명이 프랑클리니아로 되어 있어 어쩔 수 없이 따른다. 이번에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세계적인 희귀수종이면서 최고의 정원수 하나로 알려진 프랭클리니아를 알아본다. 차나무과 프랑클리니아속의 유일..

175 붓순나무 외래종 팔각, 홍회향, 망초 등 붉은 붓순나무들

헨리붓순 = 홍회향(红茴香) 이번에는 우리나라에 등록된 붓순나무 5종 중 앞에서 다룬 우리 자생종 붓순나무를 제외한 나머지 4종과 미등록종이지만 세계적으로 유명한 향신료의 원료이면서 신종플루 치료용 타미플루의 원료인 중국의 팔각에 대하여 알아본다. 등록종 4개 중 2개는 ..

169 녹나무과 외래 수종들 - 아보카도, 포이베, 사사프라스, 세손이

이제 우리나라에 등록된 우리 자생종이 아닌 외래 재배종 녹나무과 수종들을 알아본다. 등록된 수종은 모두 5종이며 아래와 같이 4개 속으로 분류된다. Phoebe(포이베속) --케키앙겐시스포이베(Phoebe chekiangensis C.B.Shang) Persea(페르세아속) --아보카도(Persea americana Mill.) --팔루스트리스후박나무..

167 후박나무 그리고 중국 후박(중국목련)과 일본 후박(일본목련)

후박나무 제주도와 남부지방 일부에서만 자생하는 또 하나의 남부수종 후박나무를 알아본다. 우선 후박나무라고 하면 키가 20m까지 자라고 잎도 거의 50cm까지나 되는 일본목련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연세가 드신 분들이거나 남부수종이 자라지 못하는 중부지방에서 그런 경..

165 녹나무과 삼출맥 나무들 구분 포인트 - 녹나무, 생달나무, 참식나무, 새덕이

평안수 녹나무속 계피나무의 일종인 난서육계의 아름다운 삼출엽맥 중국인들은 이 나무가 집안의 평안을 가져다 준다고 화분에 많이 키운다. 녹나무과를 모두 마치기 전에 일단 정리를 좀 하고 가야겠다. 모두 상록이며 혁질에 주로 긴 타원형 그리고 결각이 전혀 없고 거치 또한 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