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5 미국낙상홍, 데키두아낙상홍, 아멜랑키에르낙상홍 미국낙상홍 한택수목원 2016.12 우리나라에 낙상홍이란 이름으로 등록된 식물은 4종의 원종에다가 27종의 변종이나 원예종을 더하여 모두 31종이다. 이중 우리 자생종은 하나도 없고 모두 외래종들이다. 우선 앞에서 살펴 본 중국과 일본 원산인 낙상홍과 8개 종의 원예종이 있고 그 다음은 ..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21
224 낙상홍(落霜红) 낙상홍 예쁜 열매를 보려면 암그루 외에도 주변에 반드시 수그루가 있어야 한다. 서리가 내릴 때 쯤 열매가 붉게 익은 모습이 보인다고 낙상홍(落霜红)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우리 독창적인 이름 같지는 않고 그 유래는 중국이름에서 따온 것이 분명해 보인다. 그런데 국내 거의 모..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9
223 대팻집나무 - 목공구 대패의 집을 만드는 나무 대팻집나무 대팻집나무 감탕나무속 대부분의 수종들은 감탕나무를 비롯 먼나무 꽝꽝나무 호랑가시나무 등과 같이 늘푸른 상록수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이번에 탐구할 대팻집나무나 낙상홍이 바로 낙엽수인 것이다. 식물 분류라는 것이 열매와 꽃 즉 식물의 생식기관을 최우..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9
222 꽝꽝나무 꽝꽝나무 감탕나무속 우리 자생종인 감탕나무, 먼나무, 대팻집나무 및 호랑가시나무와 더불어 실질적인 5개 수종 중 하나인 꽝꽝나무를 알아본다. 이 나무는 이름만 들어봐도 순수 우리말임을 알 수 있다. 나무잎에 포함된 수분이 불에 타도 배출되지 못하고 팽창하다가 급기야는 꽝하면..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8
221 동청목(冬靑木) - 중부지방 월동가능한 최고의 상록 정원수 동청목 열매를 보려면 반드시 주변에 수그루가 있어야 한다. 그럼 이번에는 우리나라에 동청목(冬青木)으로 등록된 Ilex pedunculosa에 대하여 알아본다. 원산지는 중국과 일본이다. 감탕나무과 상록수로서는 예외적으로 내한성이 매우 강하여 서울 경기 등 중부지방에서도 거뜬히 노지..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7
220 중국먼나무 - 동청목과 개동청목의 정체 중국먼나무 많은 사람들이 이 나무를 개동청목이라고 부른다. 감탕나무속으로 등록된 368종의 식물 중에서는 우리 자생식물은 단 7개 뿐이다. 앞에서 이미 살펴 본 감탕나무와 먼나무 외에 대팻집나무와 민대팻집나무 그리고 꽝꽝나무, 좀꽝꽝나무 및 호랑가시나무가 우리나라 자생종이..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6
219 먼나무 ← 먹나무 ← 먹낭 먼나무 감탕나무속 나무들 중에서 가장 크게 자란다는 먼나무는 우리나라 제주도와 보길도 등 극히 제한된 남부 지역에서만 자라는 수종이다. 겨울이면 아름다운 빨간 열매를 이듬해 봄까지 오랫동안 달고 있어 시선을 끄는 나무이다. 그래서 제주도 외에도 부산 여수 순천 함평 등 남부..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4
218 감탕나무 - 새 잡는 끈끈이를 만드는 나무 감탕나무 감탕나무 이제 참나무과는 뒤로하고 감탕나무과로 넘어간다. 우리나라 참나무과의 대표이랄 수 있는 참나무와 밤나무의 탐구는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한다. 학명 Aquifoliaceae로 표기되는 감탕나무과는 고대 화석에서는 발견되지만 현존하는 식물로는 유일하게 학명 Ilex로 표기.. 기타 과 식물/감탕나무과 2016.12.14
217 호랑잎가시나무 - 상록 참나무의 일종 호랑잎가시나무 유럽 원산의 상록 참나무 일종 이제 곧 연말이 다가오고 크리스마스 시즌이 된다. 서양에서는 크리스마스가 워낙 중요한 날이니까 식물 이름에도 크리스마스가 붙은 것들이 많다. 그 중 대표적인 나무가 바로 Christmas Holly라고 불리는 호랑가시나무이다. 감탕나무과의 감..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12
216 남너도밤나무 - 남반부에 자생하는 너도밤나무 안타르티카남너도밤나무 지나가는 길에 남너도밤나무라는 것을 알아보고 가자. 너도밤나무도 생소한데 그 앞에 남이란 접두사까지 붙은 이 나무들은 도대체 뭘까? 우리나라 식물목록에는 참나무과에 남너도밤나무속이란 것이 있으며 그 아래 3개의 수종이 등록되어 있다. 그냥 지나칠 ..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12
215 일본너도밤나무 중국너도밤나무 미국너도밤나무 유럽너도밤나무 등 외래 너도밤나무들 유럽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속에 등록된 외래 재배종들을 간락하게 훑어보자. 일본계 두 종과 중국계 한 종 그리고 미국계와 유럽계가 등록되어 있다. 그 중 유럽너무밤나무는 유럽에서는 매우 인기있는 수종으로 수많은 원예종들이 개발 보급되어 있는데 그 중 15종이 우리나라에도 들..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12
214 너도밤나무 - 울릉도 특산 수종 너도밤나무 열매자루가 매우 길다. 잎이 밤나무를 닮아서 너도밤나무가 되었다. 그러나 꽃이나 열매는 밤나무와는 많이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나무라서 별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럽에서는 매우 유명한 나무인 너도밤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식물 분류체계상..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11
213 돌참나무 - 참나무과 리토카르푸스속 상록수, 헨리돌참 돌참나무 돌참나무 천리포수목원 국어사전에 돌참나무라고 치면 신갈나무가 나온다. 왜냐하면 신갈나무를 부르는 여러 다른 이름 중 하나가 돌참나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 공부할 대상은 우리 자생종 참나무인 신갈나무가 아니라 늘 푸른 상록수이며 잎 모습은 후박나무를 닮았..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09
212 졸가시나무 - 외래 상록 참나무 졸가시나무 졸가시나무 마치 우리 자생종 종가시나무나 붉가시나무 등의 가시나무 일종인 양 이름이 졸가시나무로 불리는 상록 참나무를 알아본다. 우리 자생종이 아니고 중국과 일본이 원산지인데 우리나라에는 아마 일본에서 처음 들어온 것 같다. 우리나라에는 참나무 종류가 많지..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06
211 구실잣밤나무, 둥근잎구실잣밤나무 구실잣밤나무 구실잣밤나무는 모밀잣밤나무보다는 추위에 강하여 상대적으로 더 넓게 많이 분포하는 수종으로서 일본의 경우 혼슈 거의 최북단까지 분포하고 있어 관동지방의 서부지역까지만 분포하는 모밀잣밤나무와 비교되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구실잣밤나무는 태안 천리포수목원..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06
210 모밀잣밤나무 모밀잣밤나무 참나무과에는 참나무속 외에도 7개 속이 더 분포하지만 우리나라에는 밤나무속과 너도밤나무속 남너도밤나무속 그리고 리도카르푸스속과 모밀잣밤나무속 등 5개 속이 더 등록되어 있다. 이 중 이번에는 모밀잣밤나무속을 탐구한다. 가시나무아속과 매우 흡사하여 한의학..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05
209 가시나무 종류 구별법 개가시나무 이제 참나무과 가시나무아속 우리 자생종을 모두 탐구하였으므로 이들을 정리하고 그 차이점을 파악해 본다. 우리나라에는 제주도나 극히 제한된 남부지방에서만 자생하는 수종들이므로 개체수가 많지 않지만 그 중에서는 붉가시나무와 종가시나무가 비교적 흔한 편이다. ..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03
208 개가시나무 - 어울리지 않는 이름 개가시나무 도토리는 물론 잎 뒷면과 신 가지 등 많은 부분이 황갈색 털로 덮여 있어 여타 가시나무와 구분이 된다. 개가시나무 보다는 털가시나무라는 이름이 더 잘 어울리겠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참나무과 가시나무아속의 가시나무들 중에서 마지막으로 개가시나무를 알아보자. ..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03
207 참가시나무, 넓은잎참가시나무 참가시나무 잎이 좁고 버들잎 같이 길고 얇으며 뒷면이 백색이라서 그 특징에 따라서 학명과 중국명 및 일본명이 각기 지어졌다. 우리 자생종 가시나무 다섯 중 네 번째로 참가시나무에 대하여 알아보자. 식물은 여러 개 중에서 가장 아름답다거나 먹을 수 있다거나 하는 뭔가는 좋은 점..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02
206 붉가시나무(북가시나무), 개붉가시나무 붉가시나무 잎자루가 길고 잎에 톱니가 거의 없으며 다른 가시나무들에 비하여 사이즈도 좀 큰 편이라서 구분이 된다. 붉가시나무는 겉으로 보이는 열매나 잎 또는 수피가 아닌 나무를 잘랐을 때 그 목재가 붉은 색을 띠고 있다고 붉가시나무라고 하는데 이 이름은 일본의 아카가시(アカ..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2.01
205 종가시나무, 민종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종가시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참나무과 참나무속 가시나무아속의 다섯 종 중 하나인데 그 이름의 종은 벨(bell)을 뜻하는 한자어 종(鐘)이라는데 왜 종이 붙었는지에 대하여는 어디에도 언급이 없다. 학명은 Quercus glauca로 표기되는데 종소명 glauca는 회청색..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1.30
204 가시나무 정의 그리고 좁은 의미의 가시나무 = 소엽청강 가시나무 우리나라에는 [가시]라는 이름이 들어간 식물이 무려 약 270종이나 된다. 이 들 중 대부분이 나무이지만 그래도 그 범위를 [가시나무]라는 이름이 들어간 목본으로 한정하여도 약 60종이나 된다. 그 중 가장 많은 것이 호랑가시나무들이고 돌가시나무, 용가시나무 등 찔레나 장미 ..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1.29
203 참나무의 분류 및 가시나무 로부르참나무(Quercus robur) 이 것이 참나무속을 대표하는 모식종으로서 영국참나무 프랑스참나무 등으로 불린다. 로부르참나무(Quercus robur) 그저께 첫눈도 내렸고 아침에 서리가 내리는 추운 겨울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므로 나름대로 마무리 월동대책에 바쁘다. 노지월동이 불가능한 .. 기타 과 식물/참나무과 2016.11.28
202 송양나무 - 2016년 여수 거문도에서 군락지가 발견된 희귀 남부수종 송양나무(松楊--) 제주도와 여수 거문도에서 자생하는 희귀 남부수종 이번에는 금년 6월에 여수 거문도에서 대규모 자생지 군락이 발견되었다고 떠들석하였던 송양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제주도 돈네코 등지와 전남 도시지방에 산발적으로 자생한다고 알려졌던 송양나무가 약 50여 그..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11.23
201 빌레나무 - 2006년 제주에서 발견된 우리나라 희귀종 빌레나무 열매가 숙성하는 기간이 거의 1년이 걸려서 이듬해 꽃대와 함께 보인다. 또 하나의 남부지방 희귀수종을 알아본다. 불과 몇 년 전인 2006년 제주도 곶자왈에서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보지 못하던 나무 한 그루가 발견된다. 국내 오직 한 그루만 있는 식물이라서 조사해보니 국내..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11.22
200 바위모시 = 비양나무, 비양도 특산수종 바위모시 육질의 화피가 열매를 감싸고 있는 특이한 모습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비양도에서만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어 비양나무라고 널리 알려진 바위모시를 알아보자. 쐐기풀과 비양나무속 관목 또는 드물게 소교목인 이 나무의 학명은 Oreocnide fruticosa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비양..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11.21
199 조도만두나무 - 우리나라 고유의 세계적인 희귀보호종 조도만두나무(鳥島饅頭-) 우리나라 진도군 조도면에서만 발견된 우리나라 고유종으로서 조도에서 발견된 만두같은 열매가 달리는 나무라고 조도만두나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우리는 조도만두나무속을 대극과로 분류하지만 APG체계를 따르는 서양에서는 여우주머니과로 분류한다. 우.. 기타 과 식물/대극과 2016.11.21
198 죽절초 - 유망 원예작물, 멸종위기 2급 죽절초 산호수, 자금우, 백량금 등 자금우과 자금우속 나무들과의 차이점은 죽절초 열매는 잎 위로 올라와서 달린다는 것이다. 오늘은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식물 2급으로 지정된 희귀 수종인 죽절초를 알아본다. 이름이 죽절초(竹節草)로 초본 즉 풀이라고 부르..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11.19
겨울 수피 모음 광릉 국립수목원에 식재된 나무들의 겨울 모습이다. 가래나무 낙우송 이스라지 개서어나무 서어나무 비술나무 추정 비술나무 추정 계수나무 암그루 계수나무 암그루 계수나무 수그루 계수나무 암수 한 쌍 좌 : 수그루, 우 : 암그루 두충 추정 두충 갈참나무 다릅나무 찰피나무 풍게나무 ..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6.11.18
197 둥근잎다정큼, 긴잎다정큼, 외래종 다정큼들 이번에는 우리나라의 다정큼나무속으로 등록된 나머지 나무들을 살펴본다. 모두 6종이 등록되어 있는데 그 중 다정큼나무는 앞에서 다뤘고 이제 두 개의 자생종과 3개의 외래종이 남았다. 우리 자생종이라는 둥근잎다정큼이나 긴잎다정큼을 미국 등 서양에서는 다정큼나무에 통합 그 유.. 장미과 아몬드아과/사과나무족 2016.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