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 목서(木犀)와 은목서 목서 우리나라 금목서 = 중국 단계 = 일본 금목서 목서 우리나라 금목서 또는 은목서 = 중국 금계 = 일본 박황목서 목서 우리나라 은목서 = 중국 은계 = 일본 은목서 지난 2016년 1월 올린 <18 목서와 계화 종류들>은 당시 나 자신이 매우 좋아하는 나무이지만 우리나라 국립수목원의 도감.. 물푸레나무과/목서(계화)속 2017.02.20
281 미국개나리와 서양개나리 미국개나리 미국개나리 장주화 미국개나리 단주화 개나리속은 유럽의 발칸반도에서 자생하는 구주개나리를 제외하면 모두 아시아가 원산지인데 이상하게 우리나라에는 미국개나리와 서양개나리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개나리가 있다. 이게 뭔 일인가? 그런데 이들의 학명을 보니 모두 Fo..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8
280 구주개나리, 발칸반도 원산 유럽 개나리 구주개나리 구주개나리 장주화 구주개나리 단주화 개나리속은 모두 우리와 중국 일본 등 아시아가 원산지이지만 유일하게 알바니아와 세르비아 등 유럽 남동부 발칸반도가 원산지인 종이 있는데 그게 바로 구주개나리이다. 여기서 구주(歐洲)는 구라파주 즉 유럽대륙을 뜻한다. 참고로 ..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7
279 기랄디아나 개나리 = 진연교(秦连翘) 기랄디아나 개나리 = 진연교(秦连翘) 장주화 기랄디아나 개나리 = 진연교(秦连翘) 단주화 우리나라에는 당개나리와 의성개나리외에 또 하나의 중국 원산 개나리가 있다. 그게 바로 기랄디아나 개나리로 등록된 중국의 진연교(秦连翘)이다. 중국의 자생지인 섬서성..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7
278 의성개나리 = 금종화(金钟花), 개나리와 의성개나리 구분법 의성개나리 = 금종화(金钟花) 줄기가 곧추서는 것이 개나리와는 확연하게 다른 모습이다. 의성개나리 = 금종화(金钟花) 장주화 꽃이 주로 아래로 향하는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 경북 의성(義城)지방에 가면 약용 작물로 많이 재배하는 개나리가 있는데 이는 우리 자생종은 아니고 ..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7
277 당개나리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이런 처지는 모습에서 영어명 weeping forsythia가 붙었다. 우리나라 일부에서도 이를 처진개나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당개나리, 중국명 : 연교(连翘) 꽃부리의 끝이 둥근 것이 특징 중 하나 당개나리로 우니..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6
276 장수만리화 = 장수개나리, 장수만리화도 향기는 없다. 장수만리화 사진출처 : 국생정 국생정 기재문과는 달리 거기에 첨부된 위 사진에는 잎 뒷면에 털이 있는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기재문에서 꽃받침열편은 밝은 황색이라고 하였는데 위에서 보이는 색상이 과연 밝은 황색인가? 또한 이 꽃잎의 어디가 비틀려 있다는 말인가? 참으로 황당하..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4
275 만리화(萬里花)는 금강산에 자생하는 개나리의 일종 만리화 장주화 만리화 단주화 우리나라 특산 자생종 중에 만리화라는 이름을 가진 개나리가 있다. 금강산에서 발견되어 금강개나리라고도 불리는 이 만리화는 많은 사람들이 향기가 만리까지 간다고 만리화라고 부르는 줄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 향기를 맡아 본 사람이 없다. 왜냐하면 ..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2
274 산개나리, 털산개나리, 긴산개나리 그리고 장주화와 단주화, 이화주성 산개나리 단주화로 보인다. 산개나리 장주화 산개나리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개나리속 식물은 개나리 외에도 북한산에서 발견된 또 다른 종이 있다. 이 산개나리는 주로 암석지대에서 자라는 것이 발견되어 그런 취지의 학명 Forsythia saxatilis을 얻었는데 처음에는 주로 석회암지대..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11
273 개나리에게도 이런 깊은 내용이, 연교(連翹) 개나리 장주화 개나리 단주화 봄이면 우리나라 전역을 붉게 물들이는 것은 진달래요 노랗게 물들이는 것은 개나리인 것을 모르는 우리 국민은 없다. 우리 주변에서 너무나 흔하게 보는 꽃나무라서 개나리에 대하여 뭘 더 자세하게 알 필요가 있을까 싶어서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고 있었.. 물푸레나무과/개나리속 2017.02.09
272 버지니아 이팝나무 버지니아 이팝나무 버지니아 이팝나무 우리 자생종 이팝나무에 이어 또 하나의 낙엽성 이팝나무인 미국원산 버지니아 이팝나무는 학명이 Chionanthus virginicus로 표기되는데 종소명 virginicus는 원산지인 미국의 버지니아주를 말한다. 원래는 린네가 Chionanthus virginica로 기록하였지만 학명은 .. 물푸레나무과/물푸레나무과 2017.02.05
271 이팝나무 - 입하(立夏)에 꽃이 피는 세계적인 희귀수종 이팝나무 이팝나무 겨울에 피는 동백꽃을 제외하면 이름 봄 가장 먼저 피는 꽃은 아마 산수유와 생강나무가 아닐까 한다. 그 뒤를 개나리와 진달래, 매화 등이 봄 소식을 전하자마자 남녘에서는 벚꽃축제가 벌어진다. 화려한 벚꽃잔치가 끝나고 모든 나무들과 풀의 새싹이 돋아나 세상이.. 물푸레나무과/물푸레나무과 2017.02.05
270 푸베스켄스 포레스티에라(Forestiera pubescens) - 사막 올리브 푸베스켄스 포레스티에라 푸베스켄스 포레스티에라 북아메리카 대륙의 미국 남서부와 북멕시코의 사막지대에 자생하는 물푸레나무과 수종 하나가 우리나에 등록되어 있다. 그것은 바로 포레스티에라속의 푸베스켄스 포레스티에라라는 나무로서 미국에서는 주로 사막올리브(desert olive).. 물푸레나무과/물푸레나무과 2017.02.03
269 향선나무 - 미선나무 열매를 닮은 또 다른 희귀수종, 중국원산 향선나무 향선나무 물푸레나무과에는 미선나무속 외에도 단 한 종으로만 구성된 또 다른 속이 있다. 그게 바로 향선나무속인데 속명 Fontanesia는 프랑스 출신 식물학자 Rene Desfontaines(1750-1833)의 이름에서 왔다. 우리나라 자생식물은 아니고 남부유럽과 중동 그리고 중국이 원산지인데 이 중.. 물푸레나무과/물푸레나무과 2017.02.03
268 미선나무 우리나라 특산 세계적인 희귀종 미선나무 단주화 우리집 미선나무 충청도지역이 자생지이지만 내한성이 강하여 여기 양평은 물론 평양에서도 노지 월동한다. 미선나무 2015년 4월 2일 경기도에서 개화한 모습 산수유보다는 늦고 개나리 진달래와 비슷한 시기에 꽃이 핀다. 우리나라의 전국 방방곡곡의 식물을 조사하던 .. 물푸레나무과/물푸레나무과 2017.02.02
자스민(영춘화)속 총정리 전세계 200여 종이 분포하는 자스민은 그 중 상당수가 꽃 모습이 매우 비슷하여 서로 구분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뭔가는 다른 점이 있기때문에 구분된 종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 아니겠는가. 다만 내가 일일이 모두 다를 직접 길러보지 않고서 그리고 시간이 없어서 그 차이점을 명확하게 일.. 물푸레나무과/영춘화(자스민)속 2017.01.31
267 별자스민(등록명 : 물티파르티툼 자스민) 식용가능한 자스민 별자스민 (등록명 : 물티파르티툼자스민) 학 명 : Jasminum multipartitum Hochst. 우리나라에 등록된 자스민 9개 중 마지막으로 시중에서 별자스민으로 통하고 있는 Jasminum multipartitum을 알아보자. 우리나라 등록 정명은 물티파르티툼자스민이다. 유통명 별자스민은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명명.. 물푸레나무과/영춘화(자스민)속 2017.01.31
266 플로리둠 자스민(탐춘화), 프루티칸스 자스민, 후밀레 자스민(왜탐춘), 후밀레자스민 '레볼루툼' 플로리둠자스민(Jasminum floridum), 탐춘화(探春花) 영춘화(자스민)속에는 영춘화외에도 노란 꽃이 피는 종들이 더러 있다. 그 중 하나가 중국 원산의 덩굴성 관목인 플로리둠 자스민인데 원산지 중국명은 탐춘화이다. 그 외에도 직립이며 향기가 있는 중국명 왜탐춘(矮探春)인 후밀레 자스민.. 물푸레나무과/영춘화(자스민)속 2017.01.30
265 소형화(素馨花) = 그랜디플로룸 자스민(미등록종) Jasminum grandiflorum 소형화(素馨花) = 그랜디플로룸 자스민 Jasminum grandiflorum 소형화(素馨花) = 그랜디플로룸 자스민 Jasminum grandiflorum 소형화(素馨花) = 그랜디플로룸 자스민 Jasminum grandiflorum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종은 아니지만 Jasmine Absolute로 알려진 자스민 향수로 유명한 Jasminum grandiflorum은 중국에서 인도, .. 물푸레나무과/영춘화(자스민)속 2017.01.29
화투에 등장하는 꽃과 나무 그리고 동물들 오늘 설날 대부분이 가정에서 가족들이 모여 앉아 화투놀이를 즐기는 것이 거의 전통이나 풍습으로 굳어져 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화투에 등장하는 식물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과거 화투 그림을 볼 때 우리 이름과 그림이 좀 다르다고 막연하게 생각했던 점을 이번 기회에 제대로 파악해 .. 기타 과 식물/식물상식 2017.01.28
264 오피키날레 자스민 = 소방화(素方花) : 자스민속 모식종, 아피네자스민 오피키날레 자스민 Jasminum officinale, 소방화(素方花) 오피키날레 자스민 Jasminum officinale, 소방화(素方花) 우리나라에서 영춘화속이라고 부르는 자스민속에는 모두 9개의 학명이 등록되어 있다. 그 중 영춘화속의 모식종은 Jasminum officinale도 포함되어 있다. 이를 우리나라에서는 별도의 명명.. 물푸레나무과/영춘화(자스민)속 2017.01.27
263 영춘화(迎春花) 맨 먼저 봄을 맞이하는 자스민 영춘화(迎春花) 우리나라에서 꽃을 별로 사랑하지 않는 사람들도 자스민을 모르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향이 매우 진한 꽃을 피우는 것을 내 집이 아니더라도 여기저기서 많이 보고 그 짙은 향기에 감탄하였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그 향기에 감탄하였던 그 꽃나무들이 실제로는 대부.. 물푸레나무과/영춘화(자스민)속 2017.01.26
262 올리브나무, 성경의 감람나무 그리고 중국 감람(橄榄) 올리브나무 올리브나무 우리나라에서는 물푸레나무과라고 하지만 원래 학명 Oleaceae는 올리브나무를 뜻하므로 올리브나무과로 불러주는 것이 일견 마땅해 보인다. 그러나 올리브나무가 자생하지 않는 동양에서는 과거에 올리브가 생소하였는지 올리브나무과로 부르지 않고서 달리 부르.. 물푸레나무과/물푸레나무과 2017.01.25
261 홍화하(紅花荷) 조록나무과에서 가장 아름다운 중국원산 미등록종 홍화하(红花荷) 이제 우리나라에 등록된 조록나무과 수종들은 원예종들을 제외하고 원종 기준으로는 모두 훑어 봤다. 조록나무과를 마치기 전에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종은 아니지만 꽃이 아름답기로 유명하여 중국에서 조록나무과 수종 중 가장 아름답다고 칭송하는 중국 원산의 열.. 조록나무과/조록나무과 2017.01.16
260 아칼리키나풍나무 Liquidambar acalycina, 결악풍향수(缺萼枫香树) 아칼리키나풍나무(Liquidambar acalycina) 결악풍향수(缺萼枫香树) 이번에는 우리나라에 등록된 풍나무 4종 중 마지막으로 중국 원산 아칼리키나풍나무를 탐구한다. 이는 2016년 102세로 세상을 떠난 중국의 유명한 식물학자인 중산대학교 장굉달(张宏达)교수가 1959년 최초로 .. 조록나무과/풍나무속 2017.01.15
259 동양풍나무 Liquidambar orientalis 소합향(苏合香)나무 동양풍나무(소합향나무) Liquidambar orientalis 터키와 터키 인근 그리스령 섬지방 주로 해발 400m 미만의 광활한 평지에서 자생하는 풍나무가 있다. 잎이 미국풍나무와 마찬가지로 5갈래로 갈라지는 것이 기본이기는 하지만 2차로 또 갈라지기 때문에 미국풍나무와는 쉽게 구분이 된다. 원산지.. 조록나무과/풍나무속 2017.01.15
258 미국풍나무 - 유럽 최초로 영국 왕궁에 심었던 귀한 나무 미국풍나무 영국의 왕궁에 유럽 최초로 심었던 귀한 나무 미국풍나무 이번에는 미국에서 온 풍나무를 알아보자. 미국 남동부와 멕시코 등이 원산지인 이 나무를 미국에서는 sweetgum으로 부르는데 이는 이 나무에서 달콤한 수지가 나오기 때문이다. 대부분 온화한 기후의 온대지방이나 아.. 조록나무과/풍나무속 2017.01.14
257 풍나무(대만풍나무) - 풍향수(枫香树), 중국단풍과 차이점 풍나무(대만풍나무) 풍나무(대만풍나무) 풍나무(대만풍나무) 세상은 넓고 나무의 종류는 참으로 많다. 잎모양은 누가봐도 완전하게 단풍나무 같이 생겼는데 밤송이나 플라타너스 열매 같은 것이 달리는 나무가 있는데 이번에는 이 나무들을 알아 본다. 아시아와 북중미가 원산지인 이 나.. 조록나무과/풍나무속 2017.01.12
256 케르키디폴리아 디산투스 Disanthus cercidifolius 쌍화목(双花木) 케르키디폴리아 디산투스 꽃잎 5장을 가진 꽃 두 개가 등을 마주하여 붙어 있다. 이래서 중국 이름이 쌍화목인데 매우 이해하기 쉽고 외우기도 쉽다. 그런데 왜 우리는 케르키디..... 하고 있어야 하나??? 케르키디폴리아디산투스 박태기보다는 계수나무잎을 많이 닮았다. 단풍이 매우 아.. 조록나무과/조록나무과 2017.01.11
255 시넨시스 포르투네아리아 Fortunearia sinensis = 우비전(牛鼻栓) 시넨시스 포르투네아리아 Fortunearia sinensis 중국명 : 우비전(牛鼻栓) 이제 조록나무과의 10번 째 속으로 중국 원산의 우비전을 알아본다. 중국에서 우비전(牛鼻栓)이란 단어는 쇠코뚜레를 말하기도 하지만 거의 이 나무의 이름 또는 생약명으로 통한다. 그 만큼 이 나무가 약재로 유명하기.. 조록나무과/조록나무과 2017.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