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전체 글 2129

381 개오동 - 노나무

오동나무를 매우 많이 닮은 또 하나의 나무가 있는데 이 또한 중국 원산으로서 우리나라 이름은 개오동이라고 한다. 이 개오동은 학명을 Catalpa ovata로 표기하며 능소화과 개오동속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오동나무과인 오동나무나 아욱과인 벽오동과는 거리가 먼 전혀 다른 나무이다. 우리나라 개오동속에는 개오동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온 두 종과 미국에서 들어온 두 종이 더 있으며 그들의 변종과 원예종들을 합하여 무려 9종이 등록되어 있다. 개오동이 원산지 중국 이름은 梓인데 이 한자 梓는 옥편에 의하면 노나무 자 또는 가래나무 자인데 왜 재로 변하였는지는 알 수가 없으나 자 못지 않게 재로도 많이 읽는다. 대개 한자의 음(音)이 다르면 훈(訓) 즉 그 뜻도 달라지는데 이 글자는 동일한 훈에 음만 두 개를 쓰..

380 벽오동(碧梧桐) - 중국 원산 오동(梧桐), 봉황이 깃드는 상서로운 나무

벽오동(碧梧桐) 오동나무를 논하자면 벽오동을 빼놓을 수가 없다. 오동나무에 비하여 내한성이 좀 약하여 중부지방에서는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는 아니지만 원산지 중국에서는 이 벽오동을 오동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벽오동은 그 수피가 푸르면서도 아주 매끈하여 오동보다도 더 아..

아욱과/아욱과 2017.09.10

377 오동이라 불리는 나무들 - 오동나무, 벽오동, 개오동, 유동, 당오동

부안 내소사 벽오동 중국에서는 이 나무를 오동(梧桐)이라고 한다. 오동(梧桐)나무의 梧는 오동나무 오자이며 桐 또한 오동나무 동자이다. 우리나라에서 오동나무 외에도 오동(梧桐) 또는 동(桐)으로 불리는 나무들이 여럿이 있다. 참오동나무와 벽오동 그리고 당오동, 유동, 개오동 등이 ..

375 라시오카르파포플러 = 중국 원산 대엽양(大叶杨) - 이나무잎을 닮은 포플러

라시오카르파포플러 = 중국 원산 대엽양(大叶杨) 사시나무 중에서 가장 잎이 크며 열매는 융모로 덮여 있다. 라시오카르파포플러 = 중국 원산 대엽양(大叶杨) 우리나라에 등록된 사시나무속 중에서 마지막으로 중국 남쪽에서 온 라시오카르파포를러를 알아보자. 학명이 Pop..

372 양버들 - 흔히 그냥 포플러라고 불리는 롬바디포플러

양버들 좁고 높게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사시나무속을 다시 6개 절로 세분하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종들은 모두 백양(사시나무)절이나 청양(황철나무)절에 속한다고 앞에서 알아본 바 있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탐구는 앞에서 마쳤다. 그럼 이번에는 우리 자생종은 아니지만 자생종 ..

369 물황철나무 Korean poplar, 황철나무와 물황철나무의 차이점

물황철나무 황철나무와 매우 비슷하여 구분하기 어렵다는 물황철나무는 중국 요동 등 동북지방과 러시아 그리고 우리나라 북한지역이 원산지이다. 그런데 최근 2012년에 남한에서는 최초로 오대산에서 집단서식지가 발견되었다고 떠들석하였던 나무이다. 이 나무는 1917년 평안북도 운산..

364 사시나무, 사시나무는 왜 떨고 있는가? 긴잎사시나무, 털사시나무

사시나무 = 산양(山杨) 백양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수피가 진한 백색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청양과 흑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희다는 것이다. 사시나무를 알아보자. 우리나라에서는 사시나무속 즉 Populus의 대표수종은 당연히 사시나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시나무속에서 세분..

363 버드나무와 사시나무의 구분, 양속(杨属)과 유속(柳属)의 차이점

우리나라 버드나무과에는 3속 96종의 식물이 등록되어 있다. 이 중 새양버들속이 1종 1변종이고 사시나무속이 모두 12종 3변종이고 나머지 79개 원변종은 버드나무속으로 분류된다. 버드나무과와 그 아래 3개 속들의 학명과 중국명은 다음과 같다. 버드나무과 Salicaceae 양류과(杨柳科) 3속 96종 버드나무속 Salix 유속(柳属) 79종 - 충매화 사시나무속 Populus 양속(杨属) 15종 - 풍매화 새양버들속 Chosenia 찬천류속(钻天柳属) 2종 - 풍매화 이 중 새양버들속은 우리나라와 중국과 몽고에 자생하는 세계적인 희귀식물인 새양버들 단 한 종과 그 변종 하나로 구성된 1속 1종 식물로서 버드나무와 사시나무의 중간 형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버드나무와 사시나무는 세계적으로 널리 매우 많..

361 우리정원의 장미 품종 알아보기 - 찰스턴, 함부르크 피닉스, 안젤라, 섬머 스노우 등

장미 마니아가 아니라서 우리 정원에는 장미가 별로 없는 줄로만 알았는데 자세히 찾아보니 제법 여러 그루가 있다. 그동안 약 4개월에 걸쳐 장미를 공부하였으니 이제 제대로된 정확한 이름을 찾아줄 수 있을런지 모르겠다. 그 어느 화원에서도 팔 때 이름을 알려주지 않았던 것들이다. ..

360 국산장미 품종들 - 햇살, 필립, 아이스윙, 핑크뷰티, 피치벨리, 핑크하트, 연지곤지 등

국산 장미 주요 품종 출처 : 한국소비자신문 앞에서 서양 장미의 품종 개량에 사용되는 원종들을 살펴본 바가 있다. 모두 12 종 중에서 7종이 아시아 원산이며 2종은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지역이 원산지이며 또 다른 2종은 오래 전에 이들과 교잡된 종이므로 확실하게 유럽지역이 원산지인..

359 장미 품종개량에 많이 사용된 원종들 - 찔레꽃, 돌가시나무, 해당화, 월계화, 프랑스장미, 백장미, 사향장미, 백엽장미, 다마스케나장미 등

데이비드 오스틴장미 서양 전통장미와 현대장미의 교잡 개량종이다. 앞에서 장미속 우리 자생종들과 우리나라에 등록된 종 그리고 주요 서양 전통장미와 현대장미까지 살펴 보았다. 그럼 이번에는 서양 장미를 개량할 때 많이 사용되는 주요 원종들을 알아본다. 이들 종목에서 거의 모든..

358 캐나디안 하디 장미, 조경장미, 파티오장미 - 현대장미의 분류

캐나디안 하디 장미(Canadian Hardy roses) Morden Centennial 파크랜드 시리즈 캐나디안 하디 장미(Canadian Hardy roses) 야생장미에서 전통장미로 전통장미가 다시 중국 등 동양에서 온 사계장미들을 만나 교잡으로 만들어진 것이 현대장미가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서양 전통장미가 가진 강한 향기를 ..

355 대화장미(大花蔷薇 : Grandiflora)와 미니장미(Miniature) - 서양 현대장미들

대화장미(大花蔷薇 : Grandiflora rose) 하이브리드 티에서 비롯되는 서양 현대장미는 찔레꽃과 중국 원산 월계화의 교잡종인 폴리안사와 그 폴리안사에 하이브리드 티를 교잡하여개발한 플로리분다로 이어졌음을 앞에서 탐구한 바 있다. 이제 그 뒤를 이은 품종들의 탐구를 이어간다.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