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 산수국과 수국의 차이점 및 구분법 산수국 중부지방에서는 노지월동이 거의 불가능한 수국에 반하여 중부지방을 포함하여 우리나라 전역 산지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되는 내한성이 강한 수국이 있는데 이를 우리는 산수국이라고 한다. 얼핏 봐서는 수국은 공모양의 폼폼형 꽃이 피고 산수국은 평편한 레이스캡형 꽃을 피.. 수국과 수국속/산수국 Serrata 2018.07.23
509 수국(水菊) 폼폼형 원변종과 레이스캡형 변종인 백당수국 수국 식물을 사랑하여 꽃이나 나무 키우기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수국을 한두 그루 직접 재배하지는 않더라도 최소한 수국이라는 이름은 다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확하게 뭐가 수국인지에 대하여는 머뭇거리게 된다. 그만큼 수국이라는 꽃나무가 만만치 않다는 뜻이다. 수국은 넓.. 수국과 수국속/수국Macrophylla 2018.07.17
508 수국속 - 수국, 산수국, 등수국, 성널수국, 미국수국, 아스페라수국, 중국수국, 용수국, 나무수국, 떡갈잎수국, 라디아타수국 수국 이런 공모양 (mophead) 꽃과 아래와 같은 평편한 lacecap 모양의 꽃 두 종류가 있다. 수국 초여름 이맘때쯤 주변 정원에서 가장 흔하게 보이며 가장 인기가 높은 정원수는 뭐니뭐니해도 역시 특이한 색상의 둥근 공이나 넓고 평편한 모양의 아름답고도 큰 꽃을 오랫동안 피워주는 수국일 .. 수국과 수국속/수국Macrophylla 2018.07.13
507 노랑미국능소화, 미국능소화 '플라멩코', 미국능소화 '타카라주카 배리게이티드' 우리나라에는 능소화와 미국능소화 그리고 그 교잡종인 마담 게일런과 인디언 서머 외에도 노랑 꽃이 피는 변종인 노랑미국능소화와 두 개의 미국능소화 원예종이 등록되어 있다. 이들에 대하여 간단하게 구경하고 가자. 등록명 : 노랑미국능소화 학 명 : Campsis radicans (L.) Seem. ex Bureau f. f.. 기타 과 식물/능소화과 2018.07.09
506 나팔능소화 '마담 게일런' = 능소화와 미국능소화의 교잡종, 미국능소화 '인디언 서머 나팔능소화 '마담 게일런' 능소화와 미국능소화의 교잡종 능소화속에는 전세계 단 두 종 그러니까 중국 원산의 능소화와 미국능소화만 존재한다는 것은 앞에서 알아 봤다. 17세기에 그 당시 영국의 식민지였던 미국의 버지니아주를 통하여 유럽으로 건너간 미국능소화는 유럽인들의 많.. 기타 과 식물/능소화과 2018.07.09
505 미국능소화 그리고 능소화와 미국능소화의 차이점과 구분 방법 미국능소화 꽃이 신가지 맨끝에서만 모여서 핀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양반가 정원에서만 길러 왔다는 중국 원산의 능소화에 비하여 꽃이 작고 꽃부리가 길며 꽃 색상이 더 붉은 미국능소화라는 또 하나의 능소화가 요즘 우리 주변에 매우 흔하게 보인다. 개화기 이후 일본을 통하여 들어.. 기타 과 식물/능소화과 2018.07.04
504 능소화 - 한여름에 꽃피는 아름다운 정원수 능소화 꽃이 계속 피고지기 때문에 개화기간이 매우 긴 꽃으로 인식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개별 꽃의 수명은 겨우 2일 정도이다. 초여름부터 한여름까지 크고도 아름다운 주황색 꽃을 피우는 능소화는 우리 국민들에게 매우 친숙하면서도 가장 대표적인 목본성 덩굴식물이라고 할 수 있.. 기타 과 식물/능소화과 2018.07.02
502 산딸나무 '미스 사토미' 그리고 산딸나무와 미산딸의 차이점 산딸나무 '미스 사토미' 기본종 총포편은 백색이지만 사토미는 핑크색 자연 변이종이다. 산딸나무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 자생하며 사토미의 원종이다. 산딸나무 열매 열매가 딸기 같이 생겼다고 우리나라 이름이 산딸나무이다. 사토미의 열매도 이와 같으며 모두 효소 등으로 식용가.. 층층나무과/산딸나무 2018.06.25
501 운금만병초 - 잎과 수형도 아름다운 운금두견(云锦杜鹃) Rhododendron fortunei 운금만병초 작약과 식물을 탐구 중에 작약은 잠시 접어두고 몇 가지 급한 다른 나무들부터 탐구하려고 한다. 우선 첫 번째로 겨울에 중부지방에서도 월동을 거뜬히 하면서 평소 잎이 뒤로 말리지 않고 거의 항상 넓게 펴져 있어 꽃이 없더라도 잎과 수형 자체가 매우 아름다워 관엽 정원.. 진달래과 진달래속/만병초아속 2018.06.18
500 노랑 모란 - 르모인 그룹과 노랑 작약의 탄생 - 이토 교잡종 요황(姚黃) 중국에는 약 천 년 전부터 이런 노랑색 꽃이 피는 모란 품종이 있었다. 아직도 우리나라에는 노랑 모란이나 노랑 작약이 드문편이다. 우리 국민들은 이들을 접하면 노란 색상의 모란이나 작약꽃도 있냐고 감탄을 자아낸다. 그런데 원산지 중국에서는 모란의 야생 원종 중에 노..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6.11
499 중국 작약의 품종 - 꽃모양에 따른 분류 작약의 품종 분류 단화류(单花类) 1.천층아류(千层亚类) 화판(꽃잎)이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 배열 정연, 형상 서로 비슷, 안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짐, 수술을 자방 주위에 착생, 화판이 증가하는 만큼 수술을 적어져 나중에는 소실함, 화형 편평 1.1 단판형(单瓣型):화판 2~3륜, 관대, 암수..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6.08
498 적작약과 작약 - 국명 논란에 대하여 작약 Paeonia lactiflora 유럽작약 Paeonia officinalis 작약과 작약속 모식종은 유럽 원산의 Paeonia officinalis로서 우리나라 등록명은 유럽작약이다. 아무래도 식물분류학의 창시자 린네가 유럽사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누가 뭐래도 우리 동양에서는 Paeonia lactiflora로 학명 표기되는 작약이 작약속..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6.08
497 참작약 호작약 민참작약은 모두 작약으로 통합되었다. 이건 참작약이 아니고 우리 정원에 있는 일반 작약이다. 참작약만 심피에 털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털이 많지도 않고 흔하지도 않을 뿐이다. 참작약 강원도 인제산 심피에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다. 우리나라 국표식(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적작약이라고 하는 Paeonia lactiflora 즉 일반적..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6.05
496 작약 = 적작약(赤芍藥), Paeonia lactiflora 작약 = 적작약 작약 = 적작약 작약 = 적작약 현재로서는 백색꽃이 피어도 적작약이 정명이므로 적작약이라고 해야 한다. 현재로서는 작약을 적작약이라고 불러야 한다. 모란이 진 다음 약 2주 후에 다양한 색상으로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 작약을 모르는 우리 국민은 드물것이다. 그러나 이..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6.02
495 작약이 왜 엉뚱하게 적작약으로 변경되었나? - 작약으로 되돌려야 마땅하다. 홍천 작약밭에 심어진 의성21호 품종 홍천 작약밭 의성21호 품종 우리나라에 작약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특정 수종은 현재 없다. 놀랍게도 현재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작약(芍药)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식물은 없다. 최근에 외국에서 도입된 소위 듣보잡 나무나 화초들도 어려..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28
494 작약과 모란의 구분법 작약 작약과의 유일한 속인 작약속에는 전세계 약 25~47종의 식물이 분포하는데 그 중 약 8종만 목본이고 나머지 대부분은 초본이다. 이 중 목본을 우리는 넓은 의미의 모란이라고 말하며 초본을 통틀어 작약이라고 칭한다. 분포 식물 종의 숫자가 다른 것은 아직 논란이 되는 부분이 많아..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25
493 러들로모란 = 대화황모란(大花黄牡丹) 티베트 고유 희귀 보호식물 러들로모란 = 대화황모란(大花黄牡丹) 야모란 즉 드라베모란과 그의 유사종 또는 아변종으로 분류되는 황모란(黄牡丹) 즉 루테아모란은 일찍이 1886년에 프랑스의 선교사 드라베와 식물학자 프랑쉐에 의하여 발견되었고 서양에 소개되었지만 이보다 한참 늦은 1951년에 영국의 식물학자인..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24
492 황모란(黄牡丹) = 루테아모란 , 노란색 모란과 작약의 조상 루테아모란 = 황모란(黄牡丹) 야모란(野牡丹) 즉 학명 Paeonia delavayi로 표기되는 우리나라 등록명 드라베모란의 한 변종 또는 아종으로 노란색 꽃이 피는 종이 있는데 이를 원산지 중국에서는 황모란(黄牡丹)이라고 한다. 이 또한 분류체계상 논란이 많아 다양한 학명을 가지고 있다. 당초 1..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23
491 드라베모란 = 자모란(紫牡丹) = 야모란(野牡丹) 그리고 그 아종 협엽모란(狭叶牡丹) 드라베모란 중국에서 엄청 왕성하게 식물 채집 활동을 하던 프랑스 카톨릭 선교사 Jean Marie Delavay (1834 -1895)가 운남성 리장(丽江)의 해발 3,500m에서 새로운 야생 모란을 발견한다. 그는 이 표본을 프랑스 자연사박물관으로 보내고 이를 토대로 검토한 결과 새로운 종임을 확인한 프랑스 식..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22
490 봉단(凤丹) = 양산모란(杨山牡丹) - 모란의 야생 원종으로서 모란피의 약성이 가장 우수함 봉단(凤丹) = 양산모란(杨山牡丹) 위 봉단분(凤丹粉) 아래 봉단백(凤丹白) 중국 모란의 4대 권역별 분류 중 강남품종군의 원조상이라고 할 수 있는 양산모란(杨山牡丹)을 알아보자. 이 종은 비교적 최근인 1992년 중국 식물학자 장가훈(张家勋)에 의하여 낙양시 숭현에 있는 양산에서 발견되..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20
489 자반모란 = 록키모란 - 모란의 야생 원종 록키모란 = 자반모란(紫斑牡丹) 록키모란 = 자반모란(紫斑牡丹) 왜모란에 이어 또 다른 모란의 야생 원시종인 자반모란을 알아보자. 이는 우리나라에도 록키모란이라고 등록되어 있다. 중국 이름 자반모란을 따랐으면 이름만 들어도 단번에 자색 반점이 있는 모란이라고 인식될 터인데 ..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19
488 왜모란(矮牡丹) - 모란의 야생 원종 왜모란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종은 아니지만 요즘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란의 조상 즉 야생 원시종 중 하나로 인정을 받아 연구가치가 많은 왜모란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자. 중국 섬서성 화산(华山)과 산서성 여량산 등지에서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고 있으나 그 뿌리 즉 ..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19
487 모란의 색상별 품종 분류와 중국 지역별 품종군 모란꽃 작약속에는 전세계 약 40여 종의 식물이 분포하며 이들 거의 대부분이 초본이지만 특이하게 중국에는 목본인 작약속 식물이 약 8종이나 있다. 목본인 이들 모두를 우리는 넓은 의미로 모란이라고 통칭한다. 그러나 좁은 의미의 모란(牡丹)은 학명 Paeonia suffruticosa로 표기하는 특정 ..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18
486 모란의 품종 (5) - 꽃모양에 의한 분류 중국 모란의 품종 - 꽃송이(花朵)에 의한 분류 이제까지 4번의 포스팅에 걸쳐 소개한 모란의 품종은 식물형태상 이론적으로 그렇게 분류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대부분이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전혀 와닿지 않는 것이었다면 이번에 소개하는 모란의 분류법은 실제로 느낌이 제대로 오는 실용적인 분류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모란꽃은 크고 아름다우며 품종이 매우 다양하다. 사하련(似荷莲)과 봉단백(凤丹白) 같은 품종들을 꽃의 각 기관을 온전하게 다 갖추어 꽃받침이나 수술 암술 등이 정상적으로 발육을 한다. 한편 어떤 품종들은 수술과 암술이 꽃잎(花瓣)으로 변하거나 퇴화하여 오로지 매우 아름다운 꽃모양을 만들기에만 집중하여 그 결과 오채빈분(五彩缤纷) 즉 오색찬란한 꽃을 피우기도 한다. 즉 전자는 당연히 결실능력이 있어 종자..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13
485 모란의 품종 (4) - 엽편에 의한 분류 모란 - 품종 미상 모란 - 품종 미상 중국의 모란 품종 - 엽편에 의한 분류 모란의 잎은 어긋나며 모양과 크기 및 색상, 질감 등이 각기 달라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개의 도감이 그렇듯이 예시된 그림이 설명과 일치하지 않는 것도 더러 보여 짜증나지만 그래도 이..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12
484 모란의 품종 (3) - 분지에 의한 분류, 모란의 배아 영락보주(瑛珞宝珠) 모란의 배아(胚芽) 모란의 맹아에는 6~8개의 인편이 있어 모란아를 인아(鱗芽)라고도 부른다. 모란 맹아의 기능과 분화과정에 따라서 화아와 엽아 그리고 잠복아, 부정아로 구분한다. 화아(花芽) 모란의 화아는 혼합아이다. 가지와 긴 잎 그리고 꽃이 나온다. 가지 끝에..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11
483 모란의 품종 ( 2 ) - 뿌리와 잎자루에 의한 분류 모란 중국의 모란 품종 - 근계(根系)에 의한 분류 모란은 뿌리가 발달하여 다수의 심근형 육질 주근과 측근이 있다. 초기에는 뿌리가 백색이지만 점차 황색이나 갈색으로 변한다. 뿌리의 육질은 백색이지만 드물게 붉은색도 있다. 육질 중심은 목질화가 되어 속칭 목심이라고 한다. 육질..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11
482 모란의 품종 (1) - 수형에 의한 분류 모란 서양에서 장미를 가장 사랑한다면 동양에는 모란을 가장 사랑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현대 서양 장미는 사실 찔레꽃과 돌가시나무 해당화 등 우리 자생종을 포함한 다수의 동양에서 도입된 품종에다가 소수의 서양 전통장미를 교잡시켜서 태어난 것이다. 그런데..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11
481 모란(牡丹) - 부귀의 상징이며 천하제일의 아름다움에 천상의 향기를 겸비한 화중지왕 모란은 원산지 중국은 물론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도 가장 사랑받는 꽃 중의 하나일 것이다. 실제로 우리나라 나무시장에서 모란은 웬만한 사이즈라면 가격이 수십 만원을 하고 아주 큰 고목은 수백 만원이 넘는 경우도 허다하다. 아무리 나이가 많아도 2m를 넘지 않는 키를 감안할 때는 사이즈 대비 가장 비싼 꽃나무가 아닐까 한다. 학명 Paeonia suffruticosa는 영국 식물학자 Andrews에 의하여 아관목 peony 즉 목작약이라는 뜻으로 붙은 것이고 원산지 중국의 이름은 牡丹(모란)인데 이는 뿌리에서 새순이 잘 나와 무성생식(수컷생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중국의 신농본초경과 본초강목에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한자 牡丹은 원래 모단인데 우리나라에서 관습적으로 모란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모란..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07
480 모란(牡丹)을 목단(牧丹)으로 부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바야흐로 모란의 계절이 와서 이미 지나가고 있다. 모란만 수십 그루 심어서 가꾸는 매우 대단한 모란정원을 가진 이웃이 있어서 개화 절정기에는 하루가 멀다하고 가서 세상에 제일 아름답다는 모란꽃을 한없이 구경하고 나서야 낙은재는 모란을 탐구해야겠다는 마음이 들어 이제야 나선다. 우리나라 국민들 중에서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이 목본 식물의 올바른 우리나라 이름은 모란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목단이라고 부르고 있다. 실제로 화투놀이를 하는 분들은 6월 목단이라고 하지 6월 모란이라고 하는 분은 거의 없다. 하지만 우리나라 산림청에서 관리하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모란이 정명이며 목단은 모란의 이명으로 처리되고 있다. 왜 그럴까? 게다가 모란은 분명 중국 원산이며 이름 또한 중국에서 왔는데 중국 한자명은 모단(.. 기타 과 식물/작약과 2018.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