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3 플라타너스단풍 - 유럽원산 단풍나무속 모식종 플라타너스단풍 플라타너스단풍 이번에는 단풍나무속의 모식종이며 중부 유럽과 서아시아에 걸친 넓은 지역이 원산지인 또 하나의 유럽 단풍인 플라타너스단풍에 대하여 알아보자. 모식종(模式種)이란 식물분류학에서 속(屬)을 정의할 수 있는 종을 말하며 영어로는 type species라고 한다..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3.15
452 노르웨이단풍 - 설탕단풍을 닮은 유럽원산 단풍나무 노르웨이단풍 노르웨이단풍 앞에서 북미원산의 설탕단풍과 은단풍 그리고 참꽃단풍을 알아봤다. 그런데 이들과 매우 흡사한 유럽원산의 단풍나무가 하나 있는데 이미 오래전인 18세기에 북미에 도입되어 60 ~ 70년대에 미국 전역에 가로수로 많이 심어졌다고 한다. 그 당시 미국에 가로수..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3.14
451 참꽃단풍(Acer rubrum) - 단풍이 꽃같이 아름다운 북미원산 인기수종 참꽃단풍(Acer rubrum) 이래서 이 나무 단풍이 현란하다고 한다. 참꽃단풍(Acer rubrum) 참꽃단풍(Acer rubrum) 신엽, 열매, 열매자루 심지어는 가지까지 붉은 색이다. 바로 앞 포스팅에서 북미 캐나다와 미국 원산 설탕단풍과 은단풍을 알아봤으며 지난해 11월에 네군도단풍이라는 또 다른 북미 원..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3.14
450 은단풍(Silver maple) - 북미 원산의 또 하나의 단풍나무 은단풍 은단풍 학명이 설탕단풍과 매우 흡사하며 원산지 또한 같은 미국과 캐나다라서 정말 혼동하기 쉬운 은단풍이라는 또 하나의 북미산 단풍나무가 있다. 그래서 일반인들은 물론 우리나라 백과사전에서도 설탕단풍과 은단풍 모두를 사탕단풍이라고 하거나 설탕단풍의 이명이 은단..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3.12
449 설탕단풍과 단풍 시럽(maple syrup) 설탕단풍 설탕단풍 당초 봄이 오기전에 이 거대한 단풍나무속 탐구를 모두 마치려고 하였으나 예기치 않게 두 달 가까운 공백이 생겨 차질을 빚게 되었다. 우리에게 다소 익숙한 이름인 설탕단풍이나 은단풍 등 미국이나 유럽에서 들어온 서양 단풍나무 몇 종만 더 탐구하고 나머지 30여 ..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3.11
448 큐슈사피단풍 - 일본 고유종 큐슈사피단풍(九州蛇皮丹楓) 큐슈사피단풍(九州蛇皮丹楓) 이번에도 사피단풍의 탐구를 이어간다. 단풍나무를 여러 개의 Section으로 세분하면 그 중 하나에 Acer sect. Macrantha라는 것이 있다. 이는 라틴어로 Large flowered 즉 대화(大花)라는 뜻이다. 이 section(組)의 대부분의 수종들은 수피에 세..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3.05
447 소봉사피단풍(小峰蛇皮丹楓) - 일본 고유종 소봉사피단풍 일본 사이타마현에 있는 수령 600년 수고 7.2m의 고목이다. 이번에도 사피단풍이라는 이름을 가진 일본에서 도입된 종을 알아본다. 소봉사피단풍이라는 이름은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갈피를 못잡게 하는 이름이지만 이를 한자로 소봉사피단풍(小峰蛇皮丹楓) 표기하면 사피(..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3.05
446 산사잎사피단풍 - 일본 고유종 산사잎사피단풍 산사잎사피단풍(楂叶蛇皮丹楓) 참고로 이런 모습의 수피를 가진 단풍나무는 산겨릅나무나 네군도단풍 등 매우 많지만 이들 모두를 사피단풍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단풍나무의 수피가 뱀의 껍질을 닮았다고 영어로는 snakebark maple로 우리말로는 사피(蛇皮)단풍이라고 불..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3.05
445 데이비드사피단풍 (David 蛇皮丹楓) - 중국 원산 데이비드사피단풍 한택수목원 잎모양만 봐서는 전혀 단풍나무 같지가 않다. 그러나 열매는 분명 단풍나무임을 말해준다. 데이비드사피단풍 수피가 이렇게 생겼다고 사피(蛇皮)단풍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제 우리 자생종 단풍나무들의 탐구를 마쳤으나 아직 우리나라에 등록된 외래종..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3.05
444 우산고로쇠 우산고로쇠 (국내서는 고로쇠나무로 통합 분류) 우산고로쇠 (국내서는 고로쇠나무로 통합 분류) 이제 우리나라 자생종 단풍나무 중에서 더 좁게는 고로쇠나무 중에서 마지막 남은 수종 우산고로쇠를 알아보자. 울릉도 식생을 조사하던 일본학자에 의하여 발견되어 일본 식물학자 나카이..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2.28
443 왕고로쇠나무 왕고로쇠나무 왕고로쇠나무 우리 자생종 고로쇠나무 중 하나인 왕고로쇠나무를 알아보자. 지난 1월 10일 긴고로쇠를 포스팅한 이래 바쁜일이 있어서 거의 40일 동안 나무공부를 쉬었다가 돌아왔더니 리듬이 깨져 약간 감이 떨어지고 있다. 왕고로쇠나무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만 자생하..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2.28
442 긴고로쇠와 집께고로쇠가 과연 우리 자생종이 맞는가? 긴고로쇠 긴고로쇠 털고로쇠나무의 아종 중에 긴고로쇠라는 것이 우리 자생종으로 국표식에 등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낡은 학명 Acer mono f. dissectum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국제적으로는 학명을 Acer pictum subsp. dissectum으로 표기를 한다. 여기서 dissectum은 깊게 갈라졌다는 뜻으로 잎의 ..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1.10
441 털고로쇠나무 - 고로쇠나무들의 원종 털고로쇠나무 잎 뒷면에 털이 밀생하여 비로드같은 느낌이라고 한다. 털고로쇠나무 과거 한동안 고로쇠나무의 변종으로 분류되던 털고로쇠나무는 일본과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키가 매우 큰 단풍나무이다. 당초 식물분류학을 창시한 린네가 세계 각 지역의 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1.10
440 고로쇠나무 그리고 털고로쇠나무와 그 아종들 고로쇠나무 고로쇠나무 미국 아놀드수목원에 있는 나무이다. 고로쇠나무는 20m까지 자라는 매우 큰 나무이다. 고로쇠나무는 세상에 이만큼 학명 체계가 혼란스러운 수종도 있을까 싶을 정도로 복잡하다. 우리나라 자생종 고로쇠는 모두 8종이지만 국제적인 기준으로는 긴고로쇠의 이명..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1.09
439 만주고로쇠, 우리 자생종 고로쇠나무들의 분류 만주고로쇠 만주고로쇠 높이도 적당하고 수형이 아름답다. 앞에서 우리 자생종 단풍나무 종류는 거의 다 살펴 보았고 이제 고로쇠나무들만 남았으나 이 고로쇠들이 국제적으로 제대로 통일된 이론이 없어 나라마다 뒤죽박죽이고 국내 도감에서도 제대로 정리가 안되어 있어 그야말로 ..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8.01.03
438 신나무 신나무 이렇게 아름다운 단풍을 보려면 양달에 있어야 한다. 신나무 열매가 매우 좁게 벌어지며 아직 수꽃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단풍나무가 바로 신나무가 아닐까 한다. 우리 주변에 매우 흔한 단풍나무인데도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이유는 가을 단풍..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30
437 부게꽃나무 부게꽃나무 화서가 가지끝에서 나와 총상 원추화서로 직립하여 단풍나무로서는 특이한 모습을 보인다. 부게꽃나무 잎자루에는 짧고 부드러운 털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다. 단풍나무속으로 분류되지만 좁은 의미의 단풍나무와는 모습이 다른 또 하나의 우리 자생종 부게꽃나무라는 것..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26
436 청시닥나무 그리고 시닥나무와 구분 포인트 청시닥나무 잎이 얕게 갈라지며 5갈래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밑의 2갈래는 매우 작게 갈라진다. 청시닥나무 가을에 단풍은 여느 단풍나무 못지않게 아름답다. 시닥나무와 이름이 비슷한 청시닥나무라는 우리 자생종이 있다. 그 이름만 들어 봤을 때는 시닥나무의 근연종으로 누구나 생..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25
435 시닥나무 시닥나무 잎이 3~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 날카로운 톱니가 있으며 중렬편과 측렬편의 끝은 뾰족하다. 잎자루는 붉으며 초기에는 털이 있다. 산겨릅나무와 마찬가가지 만주와 극동 러시아 그리고 우리나라 이북지방에 자생하는 또 하나의 단풍나무 종류로 시닥나무라는 것이 있다. 시닥..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24
434 산겨릅나무 - 산청목 또는 벌나무라고도 불리지만 산겨릅나무라고 불러야 산겨릅나무 산겨릅나무 산겨릅나무라는 본래의 이름보다는 최근에 이 나무를 산중에서 발견한 약초전문가들이 이 나무가 산겨릅나무라는 우리 이름이 있는 줄을 모르고 나름대로 붙인 이름인 벌나무와 산청목으로 더 많이 불리는 나무이다. 그래서 벌나무나 산청목은 국가표준식물목..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20
433 파베르단풍 - 중국 나부산 원산 상록 단풍나무인 나부축(罗浮槭)의 특이한 모습 파베르단풍 붉은 열매가 꽃 못지않게 아름답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홍시축(红翅槭)이라고도 한다. 우리는 가을에 붉거나 노랗게 잎이 변하여야만 단풍인 줄로만 알고 있는데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세상에는 상록 단풍나무도 많기 때문이다. 단풍나무가 상록이라면 당연히 가을..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17
432 중화축(中华槭)과 장남축(藏南槭) - 미등록 중국 장상엽 단풍나무들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종 외에도 중국에는 잎이 손바닥 모양을 하고 있는 장상엽(掌狀葉) 단풍나무들이 많은데 그 중에서 중국에서 중화축이라고 부르는 나무와 그 원종인 장남축에 대하여 간단하게 구경하고 넘어가자. 우리는 중국에서 삼각축(三角槭)이라고 부르는 단풍나무를 중국..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17
431 윌슨단풍 - 중국 장강삼협 원산의 삼협축(三峡槭) 윌슨단풍 윌슨단풍 원추화서가 아래로 처진다. 단풍나무속은 정말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 속이다. 전세계 약 140종이 분포하지만 제각기 그 특성이 달라서 한두 개 또는 몇 개의 그룹으로 세분이 불가능한 매우 난해한 속이다. 그리고 세분할 뚜렷한 기준도 찾을 수가 없어서 일부는 잎모..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16
430 스테놀로붐단풍 - 중국 원산 세열축(细裂槭) 스테놀로붐단풍 3개로 갈라진 잎이 매우 좁다. 스테놀로붐단풍 스테놀로붐단풍 잎이 갈라진 양측 렬편이 수평으로 벌어져 특이하게 거의 T자 형을 이루고 있다. 이번에도 단풍나무의 종류 중에서 열매가 작다는 소과축조(小果槭组)의 중화축계(中华槭系)에 속하는 중국명 ..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15
429 솜털꽃단풍 - 중국 원산 모화축(毛花槭) 솜털꽃단풍 단풍나무에서는 보기 힘든 위로 직립한 원추 꽃차례를 보인다. 우리나라에는 등록되지 않았지만 중국에서 중화축이라고 부르는 단풍나무가 있는데 이 단풍나무를 닮은 나무들을 단풍나무 분류에서 소과축조(Sect. Microcarpa)로 분류하고 다시 중화축계(Ser. sinensia)로 더 세분을 ..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15
428 멋쟁이단풍 - 중국 원산 수려축(秀丽槭) 멋쟁이단풍 멋쟁이단풍 중국 절강성과 안휘 강서성 해발 700~1,000m의 숲속에 자생하는 중국오열단풍이나 중화단풍과 유사한 수려축(秀丽槭)이라는 단풍나무가 있다. 1979년 중국 단풍나무 전문 식물학자 방문배(方文培) 등이 절강성 창화(昌化)현에서 발견하여 학명도 중국명과 같..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14
427 팍스단풍 - 중국단풍을 닮은 중국 원산 상록 단풍나무 금사축(金沙槭) 팍스단풍 상록이므로 당연히 가을 홍엽 즉 단풍을 볼 수는 없다. 여름에 잎모습만으로는 중국단풍과 구분이 쉽지않다고 한다. 중국단풍을 닮은 팍스단풍이라고 등록된 중국원산 단풍나무가 있다. 중국명은 금사축(金沙槭)으로서 사천성 서남부와 운남성 서북부를 흐르는 금사강(金..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13
426 중국단풍 변종과 원예종 그리고 겨울에도 낙엽지지 않는 희귀한 나무 중국단풍은 낙엽교목이지만 중국 호남성 서포현에 있는 거대한 고목은 특이하게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고 색상만 분홍색으로 변한 상태로 그대로 유지되다가 봄에 다시 녹색으로 변하는 나무가 있어 화제이다. 높이 28m 지름이 105cm이며 수관이 180㎡달하는 이 거대한 나무가 이런 현..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12
425 중국단풍 - 중국원산 삼각축(三角槭) 중국단풍 중국단풍 중국단풍 중국에서는 삼각축(三角槭)이라고 하는 나무를 우리는 중국단풍이라고 한다. 중국단풍이라고 등록된 단풍나무가 있다. 식물의 이름에 특정 국가의 이름을 붙이는 경우는 그 나라에 같은 종류의 다른 나무가 없던가 아니면 있더라도 그 나라의 대표성이 .. 무환자나무과/단풍나무속 2017.12.12
뒤죽박죽 우리나라 식물 이름 - 일관성도 없고 명명 사유도 없다. 낙은재는 식물 특히 목본인 나무들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면서 공부를 시작하자마자 곧바로 국내의 도감들은 너무나도 내용이 간단하고 피상적인데다가 오류가 넘쳐나서 별 도움이 안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상세하지도 정확하지도 않는 국내의 수십 년 전에 쓰여진 도감을 금과옥조로.. 기타 과 식물/식물상식 2017.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