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알바장미 = 백장미, 서양 4대 전통 장미 중 하나, 영국 요크가의 문장 알바장미 알바장미 직립하며 키가 큰 편이고 이름과는 다르게 분홍색 꽃도 있다. 서양 전통 장미 중에 Rosa x alba라는 것이 있다. alba는 white 즉 희다는 뜻이다. 따라서 우리말로 하면 흰장미, 백장미가 된다. 이 종은 교잡종인 것은 분명한데 아주 오래전에 자연상태에서 저절로 교잡된 것이..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7.19
349 센티폴리아장미 - 백엽장미(百葉薔薇), 서양 4대 전통장미 중 하나, 장미오일의 원료, 모스로즈(이끼장미)의 원종 센티폴리아장미 - 백엽장미(百葉薔薇) 센티폴리아장미 - 백엽장미(百葉薔薇) 이번에는 센티폴리아장미를 알아본다. 린네에 의하여 학명을 Rosa centifolia로 표기하는데 이는 만첩인 이 장미의 꽃잎이 무려 100장이나 된다는 뜻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도 이를 백엽장미(百葉薔薇)라고 부른다. ..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7.17
348 다마스케나장미 - 장미오일의 원료, 유럽 4대 전통장미 중 하나, 시리아 터키 원산 다마스케나 장미 다마스케나 장미 서양의 4대 전통장미 중 하나인 다마스케나장미는 Rosa damascena로 학명표기 되는데 실상은 서양이 아닌 서아시아 즉 중동지역이 원산지이다. 기원전부터 페르시아인들이 향수를 만들기 위하여 널리 재배하던 것을 십자군에 의하여 유럽으로 전파가 되었..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7.17
347 갈리카장미 = 프랑스장미 - 서양 전통장미 4대 기본종 중 하나 갈리카장미 = 프랑스장미 갈리카장미 = 프랑스장미 앞에서 무려 24개나 되는 포스팅에서 장미과 장미속의 우리나라 자생종들과 우리나라에 등록된 외래 원종들을 살펴 보았으나 아직 요즘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장미 원예종들은 그 근처에도 가지 못한 셈이 되었다. 장미속이 워낙 방..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7.17
346 노랑해당화 - 중국 황자매(黄刺玫) 노랑해당화 노랑해당화 모습은 해당화 비슷한데 노란 꽃이 피는 노랑해당화라는 나무가 있다. 여기 양평 우리 이웃집에도 있는데 중국인이 경영하는 서울 어느 중국집 마당에서 처음 보고 반하여 그 뿌리를 하나 얻으려고 수도 없이 짜장면을 사먹으면서 어렵게 구하였다고 자부심이 대..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7.16
345 록스부르기장미 - 중국원산 소사화(缫丝花), 노르말리스장미 - 중국원산 단판소사화(单瓣缫丝花)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록스부르기장미 중국명 : 소사화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록스부르기장미라고 등록된 수종이 있다. 그 이름만 들어봤을 때는 어디 서양에서 온 장미로 생각하기 쉬우나 실상은 중국에서 들어온 소사화(缫丝花)라는 야생 장미의 일종이다. 그 꽃과 잎 ..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7.15
344 루비기노사장미 - 유럽, 중동 원산 루비기노사장미 루비기노사장미 생소하지만 우리나라에 등록된 종이므로 탐구를 이어간다. 루비기노사장미는 유럽과 중동이 원산지이며 1771년 린네가 직접 학명을 Rosa rubiginosa L.로 표기하였는데 종소명 rubiginosa는 rusty 즉 녹슨이라는 뜻인데 녹색상의 가시를 두고 말하는 것인지 명확하..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7.14
343 글라우카장미 - 유럽원산 자엽장미, 카니나장미 - 유럽원산 개장미 이번에는 유럽에서 온 자엽 장미를 알아보자. 원래는 유럽 스페인이나 불가리아 등 남부 지역이 원산지이지만 높은 산지에서 자라기 때문에 추위에 매우 강하여 스칸디나비아나 필란드에서도 노지월동에 전혀 지장이 없는 종이다. 이 자엽장미는 학명이 Rosa glauca Pourret로 표기되어야 하..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7.09
342 팔루스트리장미 - 미국 원산 늪장미 팔루스트리장미 팔루스트리장미 이번에는 미국 원산 팔루스트리장미를 탐구한다. 주로 양지바른 물가의 습지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현지에서 swamp rose 즉 늪장미라고 부른다. 그다지 유명한 수종은 아니지만 습기가 많은 호수나 연못 주변에 심기에는 매우 적합한 수종이라고 할 수 있다..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7.09
341 월계화(月季花) - 중국 원산 서양 사계 장미의 조상, 중국10대 명화, 화무십일홍의 유래 월계화(月季花) 월계화는 장미과이므로 녹나무과 월계수(月桂樹)나 물푸레나무과 계화(桂花)와는 전혀 다른 나무이다. 월계수 ☞ http://blog.daum.net/tnknam/563 월계화(月季花) 일반인들이 인식하는 어떤 특정 식물과 식물분류체계상 그 식물이 거의 동일하여 별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지만 어..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7.08
340 목향장미 - 민찔레, 덩굴장미 '루테아' - 노랑민찔레 덩굴장미 '루테아' 중국명 : 황목향화, 유통명 : 노랑민찔레 이 품종은 향기가 없다. 목향장미 중국명 : 목향화, 향기가 좋다. 이번에는 중국 원산의 목향화에 대하여 알아보자. 겉모습만 봐서는 용가시나무와 같이 길게 덩굴성으로 자라는 덩굴장미의 일종인데 원래는 어린 가지에 짧은 ..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6.21
339 민생열귀 - 대청도에서 발견되었다는 의문의 토종 장미 Rosa silenidiflora Nakai 이런 모습으로 외국 사이트에 올려져 있지만 진위는 알 수 없다. 이제 토종 장미의 마지막으로 민생열귀를 알아보자. 앞의 대청가시나무와 마찬가지로 이 또한 1924년 하은 정태현박사가 대청도에서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일본 식물학자 나카이가 명명한 것을 1950년에 ..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6.16
338 대청가시나무 - 대청도에서만 발견된 신종 토종 장미 대청가시나무 정태현박사가 1924년 대청도에서 채집하였다는 표본. 대청도가 갈 수 없는 곳도 아닌데 이 표본외에는 그 어디에도 신뢰할 만한 사진을 구할 수 없다는 것이 이상하다. 또 하나의 미해결 학명인 대청가시나무를 알아보자. 1924년 정태현박사가 지금은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6.14
337 국경찔레 - 압록강 연안에 자생하는 붉은 장미 의목향(拟木香) Rosa banksiopsis 국경찔레의 유사종인 중국 의목향의 사진이다. 국제적으로 인정된 우리 자생 장미 8종은 앞에서 탐구를 마쳤고 이제 기존에 인정된 종의 유사종인지 아니면 독립된 새로운 종인지에 대한 분류가 아직 안된 즉 미해결(unresolved) 상태로 남아 있는 토종 장미..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6.14
336 제주찔레와 그 유사종 (돌가시나무, 홍돌가시나무, 긴돌가시나무, 흑산가시) 제주찔레(돌가시나무) 잎에 광택이 있고 바닥을 기는 포복성이며 꽃은 찔레꽃보다 크나 잎은 찔레꽃은 물론 용가시나무보다도 작다. 제주찔레(돌가시나무) 이제 우리 토종 장미들 중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한 종인 제주찔레를 탐구해 보자. 조금만 파고들어가 보면 참으로 황당하다. 그 ..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6.12
335 왕용가시, 털용가시 등 용가시나무 유사종들 우리나라에는 개별 독립 수종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국제기준을 따라 용가시나무의 유사종으로 취급받고 있는 왕용가시나무 및 털용가시나무 그리고 국경찔레를 잠시 훑어보고 가야 되겠다. 이제와서 보니 일부에서 용가시나무의 유사종으로 취급하고 있는 국경찔레는 포복성 덩굴식물..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6.10
334 용가시나무 - 덩굴성 토종 장미의 일종 용가시나무 포복성이며 꽃이 크다는 점에서 찔레꽃과 구분이 된다. 한동안 정원관리에 바빠서 오랜만에 장미속 우리 토종 수종들의 탐구를 이어간다. 이 난해한 장미속을 탐구하는 도중에 오랫동안 공백을 가졌더니 흐름이 끊어진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된다. 이번에 공부할 대상은 용가..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6.06
332 털찔레 - 토종 붉은 찔레꽃 털찔레 - 토종 붉은 찔레꽃 우리나라 식물 목록에는 우리 자생식물로 털찔레라는 나무가 있다. 그 꽃 색상이 백색이거나 연홍색이라고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런데 국생정을 비롯하여 그 어느 도감에도 이 나무의 사진은 없다. 그리고 대부분의 도감에는 털찔레라는 식물 자체를 다루지 않..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5.22
331 찔레꽃 - 별처럼 슬픈 달처럼 서러운 순박한 꽃 찔레꽃 찔레꽃 우리나라 전역에 봄이면 사람들로부터 별 주목을 받지는 못할 만한 산기슭 외진 곳이나 척박한 땅에서 매우 상큼한 향기가 나는 하이얀 꽃을 다복하게 피워주는 야생 떨기 꽃나무가 있는데 이를 찔레 또는 찔레나무, 찔레꽃이라고 부른다. 그 꽃 크기가 좀 작기는 하지만 ..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5.16
330 인가목 생열귀나무 해당화 흰인가목 둥근인가목 등 토종 직립 장미 5종 구분 포인트 바다를 배경으로 한 아름다운 장미 해당화 이번에는 그동안 탐구한 우리나라 토종 야생 장미들의 비교 구분 포인트를 알아보자.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우리는 서양에서 들어온 개량종 장미만을 주로 장미라고 부르며 우리 토종 장미들은 아예 장미라고 인식조차 하지않고 있었지만 서양..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5.04
329 둥근인가목 - 우리 토종 장미 둥근인가목 꽃색상이나 잎의 크기면에서는 흰인가목과 비슷하나 가시나 열매의 모양이 많이 다르다. 둥근인가목 열매가 거의 구형이다. 잎의 크기가 인가목이나 생열귀나무에 비하면 매우 작다. 이제 직립 토종 야생 장미의 마지막으로 둥근인가목을 알아보자. 열매가 둥근데다가 꽃의 ..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5.03
328 흰인가목 - 우리나라 야생 장미 흰인가목 가장자리에 분홍색 빛을 띠고 있기도 한다. 흰인가목 흰인가목 묵은 가지에는 가시가 많다. 흰인가목 열매가 길쭉하고 잎이 작으며 소엽수가 많은 것이 특징 또 하나의 우리나라 토종 장미인 흰인가목에 대하여 알아보자. 그 이름만 들어 봤을 때는 인가목인데 흰꽃이 피는 것..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5.03
327 생열귀나무 - 우리나라 토종 장미 생열귀나무 주로 강원이북에서 자생하는데 2015년 한라산 정상부근에서도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생열귀나무 입자모양의 샘점이 잎 뒷면과 잎자루, 열매자루, 꽃받침 등 곳곳에 있다. 그 이름이 생소한 또 하나의 토종 야생 장미를 알아보자.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야생장미는 모두 8..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5.01
325 해당화(海棠花) - 우리 토종 장미 해당화 해당화 우리나라 국생정에는 진한 분홍색 꽃이 핀다고 되어 있으나 흰색도 해외서는 해당화로 본다. 이제 우리 토종 장미 중 하나인 해당화를 알아보자. 거듭 해당화를 토종 장미라고 반복 강조하는 이유는 우리나라서 아무도 이 해당화를 장미라고 불러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4.22
324 해당화(海棠花)의 어원, 중국 해당(海棠)과 우리 아가위, 아가위나무 수사해당(垂絲海棠) = 할리아나꽃사과 중국 해당4품 중에 하나 해당화(海棠花)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토종 장미이다. 중국 해당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사과나무속 꽃사과나무들에 붙이는 이름인 해당화로 부르는 우리 토종 장미나무가 있다. 한자로 海棠花(해당..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4.21
323 장미의 정의, 우리 자생종 장미의 종류 및 분류 해당화 우리가 이 토종 장미를 해당화라고 하는 것은 주로 해변가에서 많이 자라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서양에서도 Beach Rose라고 하며 일본에서도 하마나스(浜梨)라고 같은 맥락으로 부른다. 이제 전세계 거의 모든 사람들이 친숙하게 알고 있을 법한 장미를 탐구하러 간다. 너무나도 ..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4.17
322 일본의 모과(명자나무속) 원예종들 일람 일본에는 우리나라에도 널리 알려진 장수매나 동양금 또는 흑광 외에도 이런 다양한 인기 품종들이 많다. 그 대부분이 일본 원산의 풀명자보다는 중국 원산의 산당화를 개량한 품종들이다. 빛나는 봉우리(輝の嶺) 미야비(みやび) 雅 모나리자 유메(夢) 고령금(高嶺錦) 김치전(金鵄殿) .. 장미과 아몬드아과/명자 모과속 2017.04.10
321 서장모과(西藏木瓜)와 명자나무속 교잡 원예종들 서장모과(西藏木瓜) 이제 명자나무속의 마지막으로 중국의 티벳지방에서 자생하는 서장모과와 명자나무속의 인기있는 4대 교잡 원예종들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고 마무리하려고 한다. 이런 다양한 교잡 원예종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이 명자나무속의 세계적인 인.. 장미과 아몬드아과/명자 모과속 2017.04.10
우리집 노지월동 정원수들의 식목일 현재 모습 감나무나 배롱나무가 견디지 못하는 비교적 겨울이 매우 추운 경기도 양평이므로 여기 우리 정원에 심어진 나무들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모두 국내 어디서도 노지월동이 가능한 것으로 보면 된다. 미선나무 - 우리나라 특산식물 미선나무를 서양에서는 흰개나리라고 부른다. 개나리보..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7.04.05
316 수수꽃다리와 라일락 그리고 개회나무, 털개회나무, 꽃개회나무의 구분법 이제 수수꽃다리속을 마치면서 우리 자생종들 서로간의 차이점과 서양에서 온 라일락과의 구분 방법을 알아본다. 원래는 아래와 같이 무려 15종의 자생종이 등록되어 있으나 유사종으로 통합된 것을 정리하면 크게 4종으로 분류가 된다. 이 중에서 원종은 들정향나무 단 한 종에 불과하고..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