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분류 전체보기 2123

2050 산국수나무 - 희귀 우리 자생종

산국수나무속은 북미 원산 양국수나무를 모식종으로 삼아서 1838년 터어키 태생 프랑스 박식가인 Constantine Samuel Rafinesque(1783~1840)가 창설한 속이다. 산국수나무속 수종들은 전세계 모두 7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극동러시아에 자생하는 산국수나무 1종 외에 나머지 6종은 모두 북미대륙이 원산지이다. 이들은 모두 초창기에는 조팝나무속으로 분류되었는데 그 당시 프랑스 식물학자인 Jacques Cambessèdes (1799~1863)가 1824년 이들을 조팝나무속의 하위 분류군인 산국수나무조 즉 Physocarpus라는 section(조, 組)을 신설하여 세분류한 바 있었다. 나중인 1838년에 Rafinesque가 이 section 수종들을 분리하여 별..

2049 티베트나도국수나무 - 정원수로 인기

티베트나도국수나무는 중국 사천성과 운남성이 원산지인 나도국수나무의 일종인데 영국 빅토리아시대의 자연학자이자 탐험가이며 유명한 동식물채집가인 Antwerp Edgar Pratt (1852~1924)가 1890년 사천성 강정(康定)에서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프랑스 의사겸 식물학자인 Édouard Bureau(1830~1918)와 프랑스 식물학자인 Adrien René Franchet (1834~1900)가 1891년 Neillia thibetica Bureau & Franch.라는 학명을 부여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thibetica는 당연히 티베트 원산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현재 중국 행정구역으로 볼 때는 정확하게는 티베트가 아닌 사천성과 운남성이 원산지이다. 하지만 과거에는 그 지역을 서강(西康)이라고..

2048 까치밥나도국수나무

까치밥나도국수나무의 학명 Neillia ribesioides Rehder는 독일 태생으로 미국 아놀드수목원에서 근무하던 당대 최고의 수목학자 중 한명인 Alfred Rehder(1863~1949) 하버드대 교수가 1913년에 명명한 것이다. 이는 1907년 그 유명한 식물채집가인 어네스트 윌슨이 사천성 도강언(都江堰)에서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ribesioides는 까치밥나무속 즉 Ribes를 닮았다는 뜻이다. 그래서 우리 이름도 까치밥나도국수나무라고 붙인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모엽수선매(毛叶绣线梅)라고 한다. 그런데 나중인 1963년에 이 수종이 중국의 또 다른 나도국수나무인 중화수선매(中华绣线梅)의 변종으로 편입되어 학명 Neillia sinensis va..

2047 나도국수나무

나도국수나무속은 한중일 3국 외에도 히말라야 인근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장미과 아몬드아과의 1개 속으로 1825년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인 David Don(1799~1841)이 히말라야 인근 네팔에서 채집한 표본으로 명명한 Neillia thyrsiflora를 모식종으로 삼으면서 창설하였다. 참고로 국내 미등록종인 이 수종은 중국에 자생하는 수선매속 10여 종의 대표격으로 중국에서는 이를 수선매(绣线梅)라고 한다. 현재 국수나무속 즉 Stephanandra속을 통합한 나도국수나무속 즉 Neillia속은 전세계 모두 16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리나라는 국수나무와 나도국수나무 두 종이 자생한다. 나도국수나무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을 제외한 남북한 거의 전지역에서 자생한다. 이를 처음 발견한 서양인은 미국 일리..

2046 일본국수나무 - 타나캐국수나무

일본국수나무의 학명 Stephanandra tanakae Franch. & Sav.는 1878년 프랑스 식물학자 Adrien René Franchet(1834~1900) 등이 명명한 것인데 이 수종은 초창기부터 국수나무속과 나도국수나무속 및 심지어는 산국수나무속을 오락가락 하다가 당초에는 1873년 나도국수나무속으로 분류한 학명 Neillia tanakae Franch. & Sav.로 이름을 붙였다가 1878년 국수나무속으로 분류한 학명을 발표한 것이다. 이 수종은 일본 혼슈에서만 발견된 일본 고유종인데 여기서 종소명 tanakae는 메이지시대 식산에 노력한 박물학자 다나카 요시오(田中芳男, 1838~1915)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그러다가 이 수종도 2006년 우리나라 식물학자 오상훈교수의 연구에 의..

2045 국수나무 – Neillia(나도국수나무)속으로 변경되었으나

앞에서 금강인가목속 페트로피툼속 홀로디스쿠스속 그리고 조팝나무속으로 구성된 장미과 아몬드아과 조팝나무족으로 등록된 43개 수종의 탐구를 마치고 이제부터는 국수나무족의 탐구를 시작한다. 국수나무족은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국수나무속과 나도국수나무속 그리고 산국수나무속 등 3개 속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최근인 2006년 우리나라 학자의 발표에 의하여 국수나무속이 나도국수나무속으로 흡수 통합되는 바람에 이제는 두 개의 속만 남았다. 이를 서양과 일본 등 해외에서는 거의 모두 통합을 인정하고 이미 수정하고 있지만 어쩐 일인지 국내서는 아직까지 수정하지 않고 있다. 이제까지 거의 10년간 목본을 탐구하면서 우리나라 식물학자에 의하여 명명된 학명을 거의 본 적이 없다가 이번에 만나게 되니 매우 반가워 우리나라에도 식물학..

2044 긴잎조팝나무(털긴잎조팝나무) - 조팝나무 구분법

긴잎조팝나무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는 긴잎조팝나무의 학명 Spiraea media Schmidt는 1792년 독일 식물학자인 Franz Schmidt (1751~1834)가 명명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media는 중간 또는 평균수준이라는 뜻인데 글쎄 뭐가 중간이라는지는 알 수 없다. 구체적으로 나무의 사이즈인지 잎의 크기인지 아니면 수술의 길이를 말하는 것인지 모른다. 이 수종은 우리나라 백두산 인근 외에도 유럽의 중부와 남동부에서부터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를 거쳐 중국 북방지역에까지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서 자생한다. 그러므로 일찍이 18세기에 이미 학명을 부여받은 것이다. 하지만 분명 유럽에서도 꽤 넓은 지역에서 자생한다는데 어쩐 일인지 린네의 1753년 식물리스트에는 누락되고 1792년이 되어서야 독..

카테고리 없음 2024.10.21

2043 화관조팝나무 '그레프쉐임' – 세계적인 인기 조팝나무

화관조팝나무 '그레프쉐임'이라는 국명에 학명 Spiraea × cinerea 'Grefsheim'로 등록된 원예품종이 있는데 이 나무가 바로 앞 반호우트조팝나무 게시글에서 언급한 바 있는 서양에서 반호우트조팝나무보다 더 인기가 높은 조팝나무 중 최고 수종이라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은 물론 일본보다도 국토면적이 좁아 자생식물이 적은 데다가 식물분류학은 일찍이 서양 신문물을 배운 일본은 물론 전통적인 본초학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중국에도 한참 뒤쳐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양에서 핫(hot)한 정원수 품종들의 도입 재배는 중일 양국을 앞서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는 바로 서양 정원수에 정통한 천리포수목원의 설립자인 미국 출신 Carl Ferris Miller (1921~2002)선생의..

2042 반호우트조팝나무 '핑크 아이스'와 ‘골드 파운틴’

반호우트조팝나무는 서양에서 가장 인기있는 조팝나무인 만큼 원예품종도 몇 종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 중하나가 국내에 '핑크 아이스’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Spiraea × vanhouttei 'Pink Ice'이다. 이 품종은 영국 햄프셔에 있는 육종회사인 Liss Forest Nursery의 책임자인 Peter Catt가 1990년에 처음 발견하여 선종한 것인데 잎에 마치 찬 서리가 내린 것과 같은 흰색 반점이 있고 신엽은 핑크색으로 나온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품종명을 'Pink Ice'라고 붙인 것이다.  등록명 : 반호우트조팝나무 '핑크 아이스’학   명 : Spiraea × vanhouttei 'Pink Ice'분   류 : 장미과 조팝나무속 낙엽 관목원산지 : 반호우트조팝나무의 원..

2041 반호우트조팝나무 – 서양에서 인기 최고 조팝나무

오래전에 한택수목원에 들렸을 때 입구를 지나 조금 들어서면 개울가에 나지막한 조팝나무가 보이는데 그 명패가 반호테조팝나무라고 되어 있었다. 그 당시는 우리 자생종이나 가까운 중국이나 일본에서 들여온 조팝나무도 많은데 왜 서양의 평범한 조팝나무까지 들여다 심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천리포수목원과 더불어 우리나라 양대 수목원인 한택수목원은 경기도 용인에 위치하고 있어 노지에 심어진 나무들은 모두 내한성이 강하다. 따라서 매년 한두 번씩은 들리는데 길목에 있는 그 반호테조팝나무를 수도 없이 많이 보아 왔지만 제대로 꽃이 만개한 모습을 보고서 그 아름다움에 취하여 깊은 감명을 받은 기억은 없는 것 같다. 그저 그런 왜성 조팝나무 중 하나쯤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제 조팝나무속을 탐구하는 과정에..